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그리스 도시국가: 공동체 속의 인간 2. 탈레스 3.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 4.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 헤라클레이토스 - 파르메니데스 - 제논 5. 중재적 철학자들: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6. 데모크리토스 7. 피타고라스학파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 소피스트들 - 고르기아스 - 트라쉬마코스 - 프로타고라스 2. 소크라테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3장 플라톤: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1. 지식과 존재 - 이데아와 지식 - 이데아와 좋음 - 에로스와 교육 - 이데아론에 대한 몇 가지 반론 - 이데아와 총체성 - 비유들 - 이데아론과 인간의 역할 2. 플라톤의 『국가』와 좋음 - 교육과 사회적 계급 분화 - 권력과 능력 - 남성과 여성 3. 예술의 윤리적 책임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4장 아리스토텔레스: 자연 질서와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 1. 이데아인가 실체인가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실체와 속성 2. 존재론과 인식론 - 기본 개념들 - 네 가지 원인 - 변화와 우주론 - 현실태-잠재태와 위계적이고 유기적인 세계관 3. 아리스토텔레스와 생태학 4. 지식과 실천 - 지식의 형식들 - 인간학과 사회학 - 좋은 삶 - 정의로운 사회 5. 예술 ─ 모방과 카타르시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5장 후기 고대 철학 1. 개인의 행복의 확보 - 그리스 도시국가에서 헬레니즘 제국으로 - 새로운 구도: 개인과 보편법 2. 에피쿠로스학파 ─ 개인의 안녕의 확보 3. 스토아학파 ─ 개인의 행복의 확보 - 스토아철학의 주요 내용 - 퀴니코스학파 - 그리스-헬레니즘의 스토아학파 - 로마의 스토아학파 4. 신플라톤주의 5. 회의주의 6. 고대의 과학과 학문 - 역사 서술 - 의학 - 법학 - 수학 - 물리학과 화학 - 천문학 - 문헌학 - 고대의 여성 과학자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6장 중세 1. 기독교와 철학 2. 교황과 왕: 한 나라 안의 두 지배자 3. 아우구스티누스 ─ 신앙과 이성 - 철학과 신학 - 회의주의 논박 - 기독교적 신플라톤주의자 아우구스티누스 - 지식과 의지 4. 보편자 문제와 스콜라철학 - 플라톤적 실재론 -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재론 5. 토마스 아퀴나스 ─ 조화와 종합 - 법과 정의 - 존재론 - 인식론 - 인간론과 도덕철학 - 신과 세계 - 악의 문제 6.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오컴의 윌리엄 ─ 종합에서 회의주의로 7. 마르틴 루터 ─ 주의주의와 유명론: 오직 신앙만이 8. 대학의 전통 9. 아랍의 철학과 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7장 자연과학의 발흥 1. 방법 논쟁 2. 천문학 ─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 과학과 경험개념 - 코페르니쿠스와 태양중심설 - 케플러와 행성의 궤도 3. 물리학 ─ 갈릴레이와 뉴턴 - 새로운 발견들 - “갈릴레이 사건” - 우주의 해체와 자연의 수학화 - 뉴턴: 물리학의 대성공 4. 생물학적 과학 5. 수브-툼으로서의 인간 - 천문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 역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 광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8장 르네상스와 레알폴리틱: 마키아벨리와 홉스 1. 마키아벨리 ─ 조작으로서의 정치 2. 계약에 의한 정치와 자연법에 의한 정치 ─ 알투지우스와 그로티우스 3. 홉스 ─ 개인과 자기 보존 - 시계 장치와 같은 사회 - 이성의 규칙으로서의 자연법 - 운동 이론 - 리버럴리티와 자유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9장 의심과 믿음: 중심에 선 인간 1. 데카르트 ─ 방법적 회의와 이성에 대한 신뢰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신과 합리주의 - 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관계 2. 파스칼 ─ 가슴의 이성 3. 비코 ─ 본보기로서의 역사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0장 체계로서의 합리주의 1. 스피노자 ─ 신은 자연이다 - 실체와 속성 - 필연성과 자유 2. 라이프니츠 ─ 단자와 예정조화 - 목적과 원인 ─ 새로운 종합 - 가능한 모든 세계 가운데 최선의 세계 질문 더 읽어볼 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