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1차대전은 일본인에게 무엇이었나 작가 오가와 미메이의 고뇌 ‘강 건너 불구경’과 ‘벼락부자 기분’ 도쿠토미 소호, 일본인을 꾸짖다 2장. 물량전으로서의 칭다오 전투 - 일본 육군의 1914년 체험 가미오 미쓰오미 장군의 새로운 전쟁 이세 기노스케 중령의 탄환 효력 조사 3장. 참모본부의 냉정한 ‘관찰’ 4장. 타넨베르크 신앙의 탄생 5장. ‘갖지 못한 나라’에 걸맞는 전쟁 - 오바타 도시로의 섬멸전 사상 1928년의 정신주의 섬멸전 사상의 밀교와 현교 황도파란 무엇인가 6장. ‘갖지 못한 나라’를 ‘가진 나라’로 만드는 계획 - 이시와라 간지의 세계 최종 전쟁론 「은하철도의 밤」과 『법화경』 통제파란 무엇인가 팔굉일우의 구상과 좌절 7장. 미완의 파시즘 - 메이지 헌법에 저지당한 총력전 체제 8장. '갖지 못한 나라'가 '가진 나라'를 이기는 방법 - 나카시바 스에즈미의 일본적 총력전 사상 『투전경』과『전진훈』 어째서 ‘천황 폐하 만세’로 죽을 수 있는가 1941년의 생사관 옥쇄라는 필승 철학 9장. 월경·창의·원폭 - ‘갖지 못한 나라’의 최후 지은이 후기 / 옮긴이 후기 / 주요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도서 찾아보기 /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