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여는 글 광년의 계보학: 『82년생 김지영』의 아주 사적인 연대기_민혜영 82년생 김지영, 누가 왜 그녀를 미치게 했는가? 1990년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의 영신: 자살이라는 이름의 타살 1940년대 강신재의 「얼굴」: 이데올로기에 충실하게 복무하지만 결국엔 기만당하는 1920년대 백신애의 「광인일기」: 가부장제의 바깥은 없다 나는 네가 미친 이유를 알고 있다 왜 아직도 ‘미친 여자’들이 현실 곳곳에서 출몰하는가? 참고문헌 ‘여성 문인’의 탄생: 근대 미디어와 문학 장의 젠더 정치학_강남규 ‘남성문단’과 ‘여성문학’ 글 쓰는 여성들의 탄생 근대 미디어의 성별정치와 남성적 의미화 경제 저널리즘과 여성 작가 여성 문인의 형성과 ‘여류 문사’ 여성성에 대한 문단의 이중적 태도 여성, 근대에 뿌리를 내리다 참고문헌 낭만과 현실, 그사이 어딘가에서 이루어지는 여성의 선택_김태형 고전 속에 살아 있는 여성들 그 나라 그 시절 여성들 엘리자베스 이야기, 『오만과 편견』 엘리자베스, 여성이 처한 현실 ∥ 기회인가 낚시인가 제인 이야기, 『제인 에어』 제인과 경제적 현실 ∥ 흙수저 그 자체인 인생 수동성과 주체성: 개인의 자질 vs 환경과 조건 누가 이들을 벌할 수 있으리 참고문헌 로맨스, 전복의 가능성을 묻다_손진원 로맨스 독자는 사랑의 노예? ‘로맨스’는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대한민국 로맨스 성장기 해적판 ‘할리퀸 문고본’의 등장 ∥ 한국 로맨스의 등장과 매체에 따 른 변화 ∥ 장르의 젠더화 현상과 ‘로맨스=여성(향)’이라는 공식 로맨스, 욕망을 포용하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