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얼굴을 그리다
-나는 나를 알지 못한다
-할머니의 초상화
-“저건 내가 아닙니다”
-초상화의 평가 기준
초상화가, 그 수난의 기록들
-헨리 어빙의 초상화
-포효하는 사자
-모던 아트의 훌륭한 모범
-진실 대 진실
-클리브스의 앤
-‘모두가 비평가다’
자화상
-내 얼굴의 초상화
-결점의 아름다움
-거울
-알브레히트 뒤러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희미한 푸른 점
사랑하는 사람의 초상화
-얼굴을 ‘생각한다’
-평균적인 얼굴이 매력적이다
-연인을 그리는 화가
-군대 그림
-피카소의 폭력
-프랜시스 베이컨과 조지 다이어
-신이 된 안티누스
-회화의 기원
사회와 초상화
-조선의 초상화
-데스마스크
-정부 표준 영정
-화폐와 초상화
-은행권에 새겨진 한국 근현대사
-지폐, 사회의 자화상
-관제 초상화
-독재자의 초상화
-저항하는 초상화
-초상, 사회의 기록
2부
초상화의 의의
-인물화 그리고 초상화
-인물을 지탱하는 그림
-존재하지 않는 대상의 초상화
-화가와 모델
-영화감독 노먼 록웰
-캐스팅 디렉터
-호메로스
페르소나의 초상
-배우가 그리는 초상
-‘호기심을 자극하는’ 초상화
-페르소나
-자유 의지
-페르소나의 초상화
최첨단 초상화, CGI
-CGI
-언캐니 밸리
-CGI 초상
-부활한 피터 쿠싱
-딥페이크와 재현의 윤리
실재와 재현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하이퍼리얼리티
-하이퍼리얼리즘
-뒤바뀐 순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화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