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추얼 펀드 상식

존 C. 보글
72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1(7명)
0.5
3.5
4.5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7명)
코멘트
더보기

저자 존 보글은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뮤추얼 펀드 회사인 뱅가드 그룹의 설립자로 인덱스 펀드와 낮은 수수료로 금융의 혁신을 이룩했다. 주식시장은 이길 수 있는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르는 인덱스 펀드야말로 그가 제시하는 가장 상식적이면서도 효율적인 투자 방법이다. 그는 시장의 평균 수익률이라는 안정된 수익을 추구하는 단순성을 유지해야 할 것을 주문한다. 아울러 주당순이익, 배당성향, 이자수익 등 경제적인 요소를 중시하고, 시장의 변동성, 심리적인 영향, 주가 수익률 등 시장의 상황에 따라서 변하는 비경제적인 요소는 배제하는 집중성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4.1(7명)
0.5
3.5
4.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10주년 기념판 추천사 _ 5 역자 서문 _ 9 초판 머리말 _14 10주년 기념판 서문 _ 17 초판 서문 _ 21 10주년 기념판 감사의 글 _ 30 초판 감사의 글 _ 31 PART 1 투자전략 Chapter 1 장기투자―찬스와 정원 _ 41 10년 후:투자의 역설|찬스, 정원, 장기투자|10년 후:불만의 겨울|우리의 정원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10년 후:1999년-2009년 총수익|주식시장 수익률|10년 후:주식 수익률과 리스크|10년 후:채권 수익률과 리스크|성장을 위한 씨 뿌리기|금융시장은 매매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실무 관행은 원칙에서 벗어난다|10년 후:뮤추얼 펀드 투자자들의 마켓 타이밍|10년 후:펀드 투자자들은 여전히 단기 투자자로 머문다|10년 후:펀드 포트폴리오 회전율은 여전히 높다|10년 후:투자 규칙을 바꾼다고? Chapter 2 수익의 본질―오컴의 면도날 _ 87 10년 후:25년 주식 수익률|오컴의 면도날과 주식시장|10년 후:투자 수익률 - 주식 시장 총 수익률 대 펀드멘탈 수익률|10년 후:지식의 열매|10년 후:과거에서 미래로|적중과 이상 행태|10년 후:향후 10년의 주식 수익률|10년 후:향후 10년의 채권 수익률|미래 수익률 예측은 얼마나 중요한가?|10년 후:수익의 본질 Chapter 3 자산 배분―성과 귀인의 수수께끼 _ 123 탈무드에서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까지|리스크를 가장 앞에 두라|10년 후:리스크와 자산 배분|균형에서 얻는 이익|10년 후:리스크, 시간, 그리고 자산 배분|10년 후:자신의 자산 배분 균형 잡기|세 번째 차원|10년 후:경비율|10년 후:혼합형 펀드 비용과 수익률|비용에 관한 세 가지 관점|10년 후:주식 리스크 프리미엄|비용인가, 자산 배분인가?|10년 후:자산 배분 Chapter 4 단순성―목적지에 도달하는 방법 _ 159 10년 후 단순성의 가치|다른 모든 방법이 실패할 경우, 단순성에 의지하라|10년 후:혼합형 펀드에서의 단순성|주식 포트폴리오에서의 단순성|10년 후:주식형 펀드에서의 단순성|규칙 1: 저비용 펀드를 선택하라|10년 후:저비용 펀드 선택하기|규칙 2: 추가되는 자문 비용을 주의 깊게 고려하라|규칙 3: 과거의 펀드 운용 성과를 과대평가하지 마라|10년 후:평균으로의 회귀|규칙 4: 과거의 운용 성과를 사용해서 일관성과 리스크를 결정하라|10년 후:일관성과 리스크|규칙 5: 스타들을 주의하라|규칙 6: 자산 규모를 주의하라|10년 후:자산 규모에 관해|규칙 7: 너무 많은 펀드를 보유하지 마라|10년 후:너무 많은 펀드 선택하기|규칙 8: 당신에게 적합한 펀드 포트폴리오를 매입했다면, 이를 유지하라|단순성의 패러다임|10년 후:단순성에 관한 업데이트 PART 2 투자 대안 Chapter 5 인덱스 투자―희망에 대한 경험의 승리 _ 201 10년 후:인덱스 투자의 승리|인덱스 펀드 투자는 장기 전략이다|10년 후:장기 전략으로서의 인덱스 투자|S&P 500 지수는 시장이 아니다|10년 후:S&P 500 지수는 시장이 아니다|인덱스 투자는 주로 비용 때문에 이긴다|10년 후:인덱스 투자와 비용|인덱스 펀드는 보기보다 좋다|10년 후:세금 효율성|리스크라는 곤란한 문제|10년 후:리스크|인덱스 펀드라고 해서 다 같은 것은 아니다|인덱스 투자는 모든 시장에서 통한다|인덱스 투자의 승리|10년 후:인덱스 펀드 투자의 승리 재고찰|10년 후:인덱스 펀드 투자의 미래 Chapter 6 주식 스타일―3목 게임 _ 251 3목 게임(Tick-Tack-Toe) 입문|사과와 사과의 비교|10년 후:스타일 유형, 수익률, 리스크|주식형 펀드―리스크, 수익률, 그리고 비용|10년 후:리스크, 수익률, 비용|10년 후:인덱스 펀드|신(神), 파스칼, 그리고 전쟁 게임|10년 후:주식 스타일 Chapter 7 채권―망각으로 향하는 쳇바퀴인가? _ 281 10년 후:채권형 펀드|동병상련(同病相憐)|10년 후:적극적 운용 채권형 펀드|파렴치한 예|비용은 얼마나 중요한가?|10년 후:장기 지방채|10년 후:단기 국채 채권형 펀드|10년 후 중기 국채 펀드|10년 후:중기 회사채 펀드|관리 기량은 어떠한가?|판매 수수료가 비용 문제를 악화시킨다|과도한 비용을 피하는 방법|10년 후:향후 10년의 채권 펀드 Chapter 8 글로벌 투자―다이아몬드 광산 _ 317 글로벌 포트폴리오에 대한 상반된 견해|10년 후:글로벌 포트폴리오|환리스크와 수익률|10년 후:환 리스크와 수익률|글로벌 효율적 프런티어|10년 후:글로벌 효율적 프런티어|국제 경제와 금융시장|10년 후:국제 금융시장|글로벌 투자자의 실적|자신의 글로벌 포트폴리오 구성하기|해외시장 인덱스 투자―더 나은 방법인가?|10년 후:해외 시장 - 인덱스 투자가 더 나은 방법이다|우연한 여행자|“다이아몬드 광산” 재방문|10년 후:글로벌 투자 Chapter 9 우수한 펀드 선택―성배 찾기 _ 345 주식형 펀드의 실적|10년 후:주식형 펀드 실적|인덱스 펀드 입문|인덱스 펀드가 펀드 산업의 새로운 주문을 끌어낸다|이기는 펀드 선택하기―학계의 활동|시장 수익률을 초과했던 펀드들 - 실망스러운 현실|10년 후:시장 수익률보다 우수한 성적을 낸 펀드들|펀드를 선정하는 투자 자문사 - 또 다른 실망|10년 후:펀드를 선택한 투자 자문사들|펀드 오브 펀드의 수익―또 다른 실망|10년 후:펀드에 투자하는 펀드|성배는 없다―학문 연구에서도 실제 세계에서도 |10년 후:우수한 펀드 선택하기 PART 3 투자 성과 Chapter 10 평균으로의 회귀 ―월가에 대한 아이작 뉴턴의 복수 _ 375 뮤추얼 펀드 챔피언들이 땅에 떨어지다|10년 후:뮤추얼 펀드 챔피언?|중력과 주식시장 부문들|10년 후:주식 시장 부문에서의 평균 회귀|보통주 수익률도 땅으로 돌아오다|10년 후:보통주 수익률도 하락한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현명한 투자자란 새로운 이론과 기법으로 무장한 사람이 아니라, 기본적인 상식에 건전한 판단력을 더한 정도면 충분하다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뮤추얼 펀드 회사인 뱅가드 그룹을 성장시킨 존 보글의 투자 철학은 다음 한마디로 정리할 수 있다. “현명한 투자자란 새로운 이론과 기법으로 무장한 사람이 아니라, 기본적인 상식에 건전한 판단력을 더한 정도면 충분하다.” 1949년, 프린스턴 대학의 젊은 학생이던 존 보글이 졸업논문으로 쓴 짧은 논문 한 편에서 시작한 인덱스 펀드는 펀드업계의 일대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1980년대 이후 장기호황 국면에서 인덱스 펀드의 승리라는 결과를 얻었다. 인덱스 펀드의 핵심인 저비용과 높은 위험 조정 수익률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진가를 발휘한다. 미국의 경우 장기투자 자산일수록 인덱스 펀드를 선호하며, 장기적인 투자를 해야 하는 연금 펀드나 기금 운영자들은 인덱스 운용 자산을 기반으로 자산 배분의 원칙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식 종목 선정에 일생을 보낸 후 나는 인덱스 펀드가 우월하다는 보글의 주장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기보다는 동조할 수밖에 없음을 시인하게 되었다”라고 제임스 크래머가 이야기한 것처럼 이 책에는 투자자가 알아야 할 민감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가감 없이 다루고 있다. 주식의 가치는 시대의 흐름이나 경기의 부침에 따라서 달라지며, 이는 일시적으로 주가를 상승시키거나 하락시키는 투기적 요인이 된다.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은 투기가 아니라 투자 시장이며 장기투자를 통해서만 투기에 가까운 일시적인 변동성을 제거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장기투자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뉴스나 정보, 전문가들의 견해는 끊임없이 투자자를 유혹하여 무엇인가 사거나 팔도록 유도하고 있다. 개인적인 욕심과 두려움 역시 투자자들로 하여금 커다란 실수를 유발하게 한다. 장기적으로 훌륭한 투자임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성과가 저조하다고 해서 팔아치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시장의 단기적인 움직임에 흔들려서도 안 되고, 높은 수익을 올릴 펀드를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해서도 안 되며, 현명한 펀드를 찾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 이러한 원칙에 잘 들어맞는 것이 바로 비용이 저렴한 인덱스 펀드에 장기투자하는 것이다. 이것이 보글이 제시하는 가장 상식적이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투자 방법이다. 이 책은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오직 한 권의 투자관련 서적을 추천하라고 한다면, 그 책은 바로 뮤추얼 펀드 상식 개정판이 될 것이다.”라고 번스타인이 이야기한 것처럼 투자자가 알아야 할 정수만을 담고 있다. 워런 버핏은 『뮤추얼 펀드 상식』을 읽고는 “설득력 있고, 정직하며, 직설적인 조언들로 가득한 모든 투자자들의 필독서다.”라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 책의 특징은..... 가족과 친구에게 권할 수 있는 유일한 투자관련 서적이다 -윌리엄 번스타인(William J. Bernstein) 존 보글은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이자 세계에서 가장 큰 뮤추얼 펀드 회사인 뱅가드 그룹의 설립자로 인덱스 펀드와 낮은 수수료로 금융의 혁신을 이룩했다. 주식시장은 이길 수 있는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르는 인덱스 펀드를 개발했고, 이를 장기투자하는 게 보글의 핵심 전략이다. 장기투자는 복리의 마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엄청난 수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투자 전략은 수수료를 포함한 각종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투자회사들은 높은 비용 부과, 잦은 종목교체, 판매 중시와 같은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 보글이 이 책에서 주장하는 네 가지 투자 원칙은 다음과 같다. 주식시장은 이길 수 없는 게임이기 때문에 일반투자자들이 시장의 평균 수익률을 능가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시장의 평균 수익률이라는 안정된 수익을 추구하는 단순성을 유지해야 한다. 투자에 있어 주당순이익, 배당성향, 이자수익 등 경제적인 요소를 중시하고, 시장의 변동성, 심리적인 영향, 주가 수익률 등 시장의 상황에 따라서 변하는 비경제적인 요소는 배제하는 집중성을 가져야 한다.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고 투자한다면 투자 수익은 적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투자에서는 수수료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데 투자자들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덱스 펀드는 수수료가 아주 적은 효율성이 높은 펀드다. 투자회사는 투자자의 이익을 우선하는 성실성을 가져야 한다. 고객의 이익보다 투자회사의 배만 불리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면 ‘성실한 관리자’라 할 수 없다. 투자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회사만이 좋은 관계를 오래도록 유지할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