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제1장 자고 싶은 아기는 몸으로 말한다
1 아기에게도 수면 욕구가 있다
수면 교육이 필요할까? | 수면 교육이 어려운 이유 | 시행착오는 수면 교육 성공을 위한 과정 | 얕은 잠과 깊은 잠 | 모로 반사
2 자고 싶다는 표현을 읽자
자고 싶은 아기가 보내는 신호 | 아기의 수면 신호를 읽는 방법 | 아기마다 다른 수면 신호의 표현 방법
3 아기의 욕구를 파악하자
시계를 관찰하자 | 행동을 관찰하자 | 행동 언어를 관찰하자 | 수유를 관찰하자 | 울음소리를 관찰하자
4 수면 신호에 대처하자
수면 신호를 모르는 부모 | 수면 신호에 반응하는 방법을 모르는 부모 | 수면 신호가 짜증나는 부모 | 아기의 잠투정에 대처하는 방법
제2장 아기에게 올바른 수면 환경을 제공하자
1 정서적 환경
눈 맞춤 | 부드러운 터치 | 따뜻한 목소리 | 배부름
2 공간적 환경
놀 때는 밝게, 잘 때는 어둡게 | 자고 일어나는 것은 같은 장소에서 | 동일한 환경만큼 중요한 몸 경험 | 같은 장소에서 재울 수 없는 상황이라면 | 잘 때는 선선하게 | 애착 인형을 만들어줘라
제3장 통잠을 부르는 우리 아기 생체 시계 설정법
1 태어난 순간부터 시작하자
신생아실의 현실 | 모자동실이 필요한 이유 | 자는 시간과 먹는 시간을 찾아내자 | 하루 생활 일지 기록하기 | 수면 시간 정해주기 | 울음과 잠투정 | 먹는 시간과 노는 시간을 찾아내자 | 행동과 시간으로 아기의 생체 시계를 파악하자
2 가르치자
먹는 도중 잠들면 안 된다고 가르치자 | 표현하도록 가르치자 | 아기도 감정과 의견을 표현한다 | 아기의 감정 표현이 중요한 이유 | 정서 지능이 높은 사람으로 키우려면 | 아기 스스로 조율하는 방법을 가르치자 |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가르치자
3 교감하자
안전하다는 느낌을 주자 | 감각을 이용해 정서적 환경을 제공하자 | 아기가 고요할 때 | 아기가 강하게 울 때 | 아기의 몸을 보면서 교감하자 | 교감의 중요성 | 현실 이야기를 해주자 | 존재 이야기를 해주자 | 환상 이야기를 해주자 | 잠에서 깬 아기를 바로 안아주지 말자 | 잠에서 깬 아기의 울음을 관찰하자 | 기저귀 교환은 아기의 기분이 좋아진 후에 | 너무 오래 자는 아기는 깨우자
제4장 육아는 함께 하는 것이다
1 엄마는 절대적 권력자
나쁜 엄마라는 죄책감 | 불안이 회피로 | 비교로 인한 불안 | 친정 엄마 눈치
2 양육에 대한 의문
남편에 대한 불만 | 이혼을 부르는 아기 수면 문제 | 아기 탓이라는 생각 | 외로운 아빠
제5장 현실 밀착 상황별 수면 교육 Q&A 77
1 예민한 아기에게도 수면 교육이 가능한가요?
2 수면 교육은 언제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3 수면 교육이 성공할 때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4 통잠의 기준이 뭔가요?
5 잠 연관과 수면 의식은 어떻게 다른가요?
6 24개월이 지난 아기에게도 수면 교육이 가능할까요?
7 아빠가 수면 의식을 담당해도 되나요?
8 수면 교육이 아기와의 애착 형성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요?
9 둘째가 태어난 후 첫째가 잠을 못 자요
10 조리원에서 모자동실이 중요할까요?
11 쌍둥이 수면 교육은 어떻게 하나요?
12 아기 침대가 꼭 필요할까요?
13 아기가 배 위에서만 자려고 해요
14 역류 방지 쿠션이나 바운서에서 재워도 되나요?
15 온도와 습도가 아기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나요?
16 아기가 잘 때 백색 소음이나 노래를 들려줘도 괜찮을까요?
17 아기에게 양말을 신겨서 재워도 될까요?
18 손 싸개를 계속 사용해도 되나요?
19 수면 교육 중인데 집이 아닌 곳에서 재워야 할 때는 어쩌죠?
20 낮잠 때도 밤잠처럼 수면 의식을 해야 하나요?
21 원래는 거실에서 아기와 잤는데, 아기 방에서 수면 교육을 시작해도 될까요?
22 젖이 없으면 못 자는 아기, 단유가 해결책일까요?
23 분리 수면은 언제부터 해야 할까요?
24 낮에는 환하게, 밤에는 어둡게 하라는 의미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25 속싸개 없이 재워도 될까요?
26 자장가를 불러주고 싶은데, 어떤 노래를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27 산후 관리사나 친정 엄마가 안아주면 괜찮은데, 엄마와 아빠가 안아주면 아기가 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