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문: 무엇이 우리를 다정하게 만드는가 프롤로그: 부지런한 어미 쥐가 보여준 신기한 사례 제1장 이타적 욕구란 무엇인가 새끼를 돌보는 포유동물들의 유사점|이타주의 유형 구분|본능의 본질|이타주의의 기반이 된 새끼회수와 신경학|반응을 촉진하는 피해자의 특징|반응을 촉진하는 목격자의 특징|이타적 반응 모델이란 무엇인가|요약 제2장 쥐의 새끼돌봄과 인간의 이타주의 사이 유사성 상사성 대 상동성|설치류 새끼회수와 인간 구조행동의 표면적 공통점|포유류 사이의 뇌 상동성|새끼회수와 구조행동의 생리학적 공통점|어미만 하는 행동이 아닌 새끼돌봄|설치류만 하는 행동이 아닌 새끼돌봄|새끼를 돌보는 수컷|혈연관계가 아닌 경우의 새끼돌봄|요약 제3장 다양한 형태의 이타주의 심리학과 이타주의 분류체계|설치류의 새끼돌봄과 수동적 돌봄, 능동적 돌봄|이타주의와 수동적 돌봄|이타주의와 능동적 돌봄|요약 제4장 본능이란 무엇인가 고정행동패턴과 새끼회수|새끼회수와 각인된 행동|낯선 사람을 돕는 것이 오류가 아닌 이유|진화된 뇌 시스템의 구조적 오류|요약 제5장 신경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이타주의 이타주의를 설명하는 새끼돌봄 신경회로의 중요한 특징|신경계에서 찾은 인간 이타주의에 관한 증거|요약 제6장 이타적 반응을 촉진하는 피해자의 특징 취약성|즉각성|유형성숙|고통|요약 제7장 이타적 반응을 촉진하는 목격자의 특징 전문성|자기효능감|다른 목격자의 존재|성격|요약 제8장 이타적 반응 모델과 다른 이론의 비교 진화론적 이론들|근사적 차원의 이론들|요약 에필로그: 왜 지금 이타적 반응 모델을 고려해야 하는가 감사의 글 미주 참고문헌 그림 출처 신경학 용어 및 약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