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행동원리

오구라 기조 · 인문학/사회과학
16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한국을 이해하고 있는 몇 안되는 일본인으로 손꼽히는 교토 대학의 오구라 기조 교수는 <한국의 행동원리>에서 한국인의 기질로 끝없는 ‘도덕성의 추구’를 말한다. 역동성 있는 한국 사회는 바로 이러한 기질 위에서 이루어졌다고 보고 그 의미의 실타래를 풀어놓는다. 이 책의 존재이유는 분명하다. 그것은 내부의 사정을 잘 아는 외부인이 던지는 날카로운 질문과 해석이기 때문이다. 그는 아첨과 은유의 가면 뒤에 숨은 채 돌려까기를 하기보다는 직선적이고 정공법적인 방법을 취한다. 그래서 때로는 엉뚱한 결론을 내기도 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논란이 될 소지도 있을 것이다. 정치적 지형도의 상대방을 ‘사악한 타자’로 몰아 증오의 정치로 만들어왔다는 오구라 기조의 발언과 진단은 그 자신의 말대로 한국과 일본 모두의 문제점일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에 번역된 오구라 기조의 책들이 모두 학술적인 성격이 강했다면 이 책은 대중적인 눈높이에 맞춰서 쓰여진 것이다. 작년 여름에 일본에서 출판된 <한국의 행동원리>는 한국 사회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드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한국어판 서문 뒤떨어지는 한국 인식 일본 내 한국 연구의 문제점 15 새로운 인식을 향해 19 머리말 한국을 멸시한다니 무슨 말인가? 1부 한국의 행동 원리 제1장 한국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01 일본은 한국을 너무 안이하게 인식한다 ‘한반도 인식’이 기만이었던 시대 29 도덕 지향성의 연원이 된 주자학 30 인식과 멸시는 다르다 31 02 일본보다 앞선 한국 왕조 전통의 한국, 봉건 전통의 일본 32 한국의 법조 능력은 높다 34 법에 보수적인 일본, 혁신적인 한국 36 03 근대 쪽인가, 대항 근대 쪽인가? 불평불만 국가 38 한국은 글로벌한 정의의 쪽에 서고자 한다 38 제2장 누가 한국의 주역인가? 01 초조한 ‘노빠꾸’ 국가 ‘땅콩 회항’ 사건 41 가속도가 너무 강해 사고가 정지되었다 42 02 진짜 권력을 쥔 존재 왜 자신과 여유를 가질 수 없을까? 43 대통령을 통제할 수 있는 힘 44 03 한국 시민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군인형 엘리트에 대한 대항축으로서 45 사회 전체의 사대부화 47 민주주의란 ‘도덕적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 49 제3장 동학과 북학-다이너미즘의 동력 01 한국인의 역사관 한국의 지식인이 안고 있는 부채 51 조선왕조에 대한 재평가 52 02 동학이라는 동력 청일전쟁을 낳은 ‘변혁사상’ 53 “자발적 발전의 길은 가능했을까?”라는 질문과의 관계 54 03 북학이라는 동력 소중화사상을 내건 노론의 환상 55 청을 배우자 57 04 동학과 북학의 각축 전근대화하는 포스트모던 58 왜 삼성은 높게 평가받지 못할까? 61 제4장 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치관 01 국민과 정치의 거리 거버넌스를 가진 일본인, 정치적인 한국인 64 일본인의 동아시아화 66 02 주자학화=주체에 의한 서열화가 진행되는 사회 한국 사회와 비슷해진 일본 68 주자학에 저항했던 미시마 유키오 71 제5장 한일 군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01 양호했던 한일 군사관계 한일 관계 전문가 사이에서는 이러한 생각이 상식이다 74 02 전환점이었던 이라크 파병 이라크 파병 때 한국의 반응 76 매우 감정적인 파병 반대론 76 역사적으로 조성된 미국을 향한 불신 78 ‘국익’, ‘이익’에 대한 집착 79 헌법 9조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82 03 한일 군사연대의 가능성 한일 관계는 ‘유사동맹 관계’ 85 일본과 한국의 국익이 접근했다 86 한일의 ‘제3의 길’ 87 제6장 북한이라는 요소 01 북한에 열등감을 느끼는 한국인 북한에 심리적으로 대항할 힘이 없는 한국 89 한국인도 끌어들이는 ‘주체사상’ 91 02 북한과 미국, 북한과 중국 평양의 유원지 92 김정은 정권과 군의 흥정 93 북한과 중국의 관계 94 03 한국과 북한은 완전히 대칭적인가? 국명에 ‘민주주의’가 들어간 이유 95 민주주의를 둘러싸고 어긋나는 한일 97 북한의 반격과 일본의 역할 97 2부 ‘전후 최악의 한일 관계’를 어떻게 봐야 할까? 제7장 니힐리즘의 동아시아에 미래는 있는가? 01 우울하고 니힐리스틱한 동아시아 특히 위험한 것은 자포자기와 허무감이다 101 세계 정상급이 되고 만 ‘유치한 동아시아’ 103 ‘젊음’인가, 니힐리즘인가? 104 02 동아시아 각국의 니힐리즘 중국의 니힐리즘 106 한국의 니힐리즘 107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니힐리즘 109 03 한국은 국가인가? 한국이란 ‘운동단체’이다 111 일본은 ‘국가 없는 불변의 단체’이다 112 일본의 젊은이에 대한 좌파의 정신폭력 113 제8장 언론의 한일관 01 전 ‘서울지국장’ 네 명의 한일론 신간 네 권에 대한 서평 116 ‘단절’에 대한 인식 118 한국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