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그리스 철학
제1장 자연 철학
1. 초기 그리스 사상의 기원과 발전
그리스 철학의 역사-환경-정치-문학-그리스 철학의 종교적 기원-그리스 철학의 개관
2. 소피스트 이전 철학의 발전
3. 실체의 문제
탈레스-아낙시만드로스-아낙시메네스-피타고라스와 그의 학파
4. 변화의 문제
항구성과 변화-헤라클레이토스-엘레아학파
5. 질적 이론들
변화의 수수께끼에 대한 해결책-엠페도클레스-아낙사고라스
6. 양적 이론들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형이상학과 원자론-영혼학과 인식론-신학과 윤리학
제2장 인식과 행동의 문제
7. 소피스트의 시대
사유의 발전-그리스의 계몽-소피스트
8. 소크라테스와 소크라테스학파들
소크라테스의 문제-소크라테스적 방법-소크라테스의 윤리학-소크라테스 학파들
제3장 위대한 체계들의 시대
9. 플라톤
플라톤과 그의 문제-변증법과 인식론-학문의 위계질서-이데아론-자연 철학-우주론-영혼론-불멸성 이론- 윤리학-정치학-플라톤의 역사적 지위-플라톤의 학교
10.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제-철학과 과학-논리학-형이상학-사원인론-신학-물리학-생물학-영혼학-윤리학-정치 학-아리스토텔레스의 천재와 영향-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철학
제4장 윤리 시대
11. 전망
12. 에피쿠로스 학파
윤리적 정향-논리학과 인식론-형이상학-영혼학-윤리학-사회철학과 정치철학
13. 스토아주의
제논과 그의 학파-논리학과 인식론-형이상학-우주론-영혼학-윤리학-정치학-종교-그리스 윤리학의 개요
14. 회의론과 절충주의
회의론 학파-이 학파의 이론들-후기 회의론 학파-절충주의
제5장 종교 시대
15. 유대-그리스 철학
철학과 종교-유대-그리스 철학의 출발-필론
16. 신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의 피타고라스적 원천-신플라톤주의-플로티노스-후기 신플라톤주의-아테네 아카데미의 폐교
제2부 중세 철학
제6장 중세 철학의 등장
17. 중세철학으로의 이행
중세의 시기 결정-교부 시대-스콜라주의 시대
18. 그리스도교의 출발
초기 그리스도교-그리스도교와 고전문화-신조로서 그리스도교
19. 그리스도교 신학의 발전
초창기 신학-영지주의자-변증가-변증가들의 가르침-로고스 교리-자유 의지와 원죄-니케아 신조
20. 성 아우구스티누스
인식론-신학-악의 문제-영혼학-윤리학-의지와 자유-역사 철학
제7장 스콜라주의의 형성 시기
21. 중세 철학의 정신
중세 문화의 등장-학문의 출발-시대의 정신-스콜라주의의 목적-스콜라주의의 특징-스콜라주의의 단계-스 콜라주의의 원천
22. 스콜라주의 그 본질과 문제들
“스콜라주의”의 의미-스콜라주의의 문제들-신앙과 이성-의지와 지성의 관계-보편자의 문제
23. 요한네스 스코투스 에리게나: 신플라톤주의적 전회
범신론-신비주의
24. 보편 논쟁의 시작
초기 스콜라주의자-로슬랭의 유명론-실재론의 의미
25.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초최의 스콜라주의적 종합
신존재증명-안셀무스의 동시대인들
26. 피에르 아벨라르와 12세기 스콜라주의
샤르트르 학파-“명제집”-솔즈베리의 존
27. 12세기에 나타난 반스콜라주의적 경향들
신비주의-범신론
28. 동요의 징후
스콜라주의에 대한 반대-학문의 조직-아리스토텔레스의 발견
제8장 스콜라주의의 절정
29. 아랍철학
그리스적 원천-상충하는 학파들-합리론자들-동양에서 철학의 몰락-스페인 학파-유대 철학
30.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스콜라주의와 아리스토텔레스-아우구스티누스주의 신학-알레브투스 마그누스
31. 성 토마스 아퀴나스: 스콜라주의의 절정
철학과 신학-인식론-형이상학-신학-영혼론-윤리학-정치학-성 토마스의 추종자들
32. 몇몇 반(反)스콜라주의적 경향: 신비주의, 범신론, 자연과학
신비주의-논리학-자연과학-이중진리론-레이몬드 룰리
제9장 13세기 이후의 스콜라주의 몰락
33. 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
성 토마스에 대한 반대-신앙과 지식-보편자론-신학-영혼학-하느님과 도덕법
34. 유명론의 부흥
오컴의 윌리엄-유명론 대 실재론-오컴의 추종자들
35. 14세기 신비주의
정통파와 이단적 신비주의자들-마이스터 에크하르트
36. 세속주의와 자유 사상의 진보
중세 합리주의-민족주의의 발흥-이단적 경향들-자유로운 탐구의 정신
제3부 근대 철학
제10장 르네상스의 철학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