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영화의 탄생과 초창기 영화 -뤼미에르 형제에서 D. W. 그리피스까지 1-1 영화 이전의 영화 1-2 뤼미에르 형제와 시네마토그래프 1-3 조르주 멜리에스와 <달세계 여행> 1-4 토머스 에디슨과 키네토스코프 1-5 에드윈 S. 포터와 <대열차 강도> 1-6 D. W. 그리피스와 <국가의 탄생>, <불관용> 2장 시점 숏을 이용한 주관적 편집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과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2-1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서스펜스의 대가 2-2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주관적 편집 2-3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 알프레드 히치콕의 수제자 3장 러시아 몽타주의 창시자 -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과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3-1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감독: 충돌 몽타주 3-2 프세볼로트 푸돕킨 감독: 연결 몽타주 4장 <전함 포템킨>과 <언터처블>의 계단 장면 스타일 비교 분석 4-1 몽타주의 활용 4-2 주관적 편집과 사운드의 사용 4-3 카메라 포지션, 카메라 앵글, 카메라 움직임 5장 미장센 영화 언어와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1 미장센 영화 언어의 방법과 목적 5-2 오슨 웰스 감독의 <시민 케인> 5-3 오슨 웰스 감독의 작품 6장 연극에서 영화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거미의 성>, <란> 6-1 <거미의 성> 6-2 <란> 7장 사실주의와 표현주의 영화 언어의 통합과 확장 -스탠리 큐브릭 감독 7-1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작품 세계와 영화 언어 7-2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미래 삼부작: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계태엽 오렌지> 7-3 테크놀로지의 마술사: <배리 린든>, <샤이닝> 8장 공상과학(Science Fiction) 영화 -테크놀로지의 상상력 9장 공포 영화의 묵시록 -웨스 크레이븐 감독과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9-1 공포 영화에 관한 이론 9-2 공포 영화의 궁극적 목적 9-3 웨스 크레이븐 감독의 공포 영화 9-4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공포 영화 10장 누벨바그와 작가주의 10-1 누벨바그의 탄생 배경과 특징 10-2 《카예 뒤 시네마》와 작가주의 10-3 누벨바그 감독의 영화 11장 장 뤽 고다르 감독 -형식의 메시지 11-1 장 뤽 고다르 감독 영화의 특징 11-2 고다르의 영화 미학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11-3 고다르 감독의 <네 멋대로 해라>, <비브르 사 비>, <주말>, <만사형통> 12장 짐 자무시 감독 -장 뤽 고다르와 낯선 곳으로의 여행 13장 이탈리안 뉴 시네마의 영화 작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과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 13-1 네오리얼리즘과 이탈리안 뉴 시네마 13-2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200 13-3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 세계와 작품 14장 아메리칸 뉴 시네마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 14-1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탄생 배경과 특징 14-2 아메리칸 뉴 시네마의 작품 15장 서부극 -황야를 떠도는 전설 15-1 서부극 탄생과 성장 배경 15-2 고전적 서부극과 존 포드 감독 15-3 심리적 서부극과 전문가 서부극 16장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 16-1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 16-2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대부>, <대부 2>와 <지옥의 묵시록> 16-3 필름 누아르의 정의와 특징 16-4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 16-5 고전적 필름 누아르 영화의 쇠퇴와 유산 16-6 네오 누아르: 필름 누아르의 재등장 17장 고전적 할리우드 갱스터 영화와 필름 누아르의 현대적 수용과 해석 17-1 폴 버호벤 감독의 <원초적 본능> 17-2 <좋은 친구들>과 <저수지의 개들> 18장 코엔 형제 ―관습을 거부하는 인디영화 작가 19장 왕가위 감독 ―홍콩 영화의 모더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