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화 이후의 도시

106p
구매 가능한 곳

코멘트

3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프롤로그 ; 건축가의 눈으로 본 사회주의 도시 1 _ 산업 도시의 종말 4차 산업혁명과 도시 디트로이트와 보스턴 사회주의 도시에서 배운다 2 _ 이상을 꿈꾼 도시 평양 평양 마스터플랜 생산의 도시를 그리다 공공을 위한 도시 3 _ 살아 있는 도시의 조건 도시 공간의 불평등 생산이 밀려난 자리 도시 생산 주거 4 _ 미래 도시 상상하기 서울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파트 개발과 기억의 리셋 이야기가 있는 도시로 주와 참고 문헌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미래 도시에 필요한 질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성장의 시대를 지난 도시는 어떤 미래를 꿈꿔야 할까. 생산과 주거가 공존하는 미래 도시의 이상이 사회주의 도시에 있다. 탈산업화 시대의 도시는 생기를 잃고 있다. 도시 경제를 지탱하던 핵심 산업은 무너지고, 생산 공장과 노동자는 도심 밖으로 밀려났다. 이웃과 단절된 빽빽한 아파트 단지, 녹지 없는 도심에서 삶은 메말라 간다. 성장이 끝난 도시에서 우리는 어떤 미래를 꿈꿀 수 있을까. 북한 건축을 연구한 건축가 임동우는 사회주의 도시 모델에서 해법을 발견한다. 사회주의 국가들은 도시의 중심부에 시민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녹지를 이용해 도심의 팽창을 제한한다. 생산과 주거, 휴식의 기능을 도시 전체에 동등하게 배분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생활에 필요한 소비재를 지역 안에서 생산하고 소비하며 ‘살아 있는 도시’의 조건을 갖춰 간다. 사회주의 도시의 이상이 반영된 도시, 평양을 통해 생산에 기반을 둔 커뮤니티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삶의 양식을 제안한다. 미래 도시가 산업화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생기를 되찾으려면 성장보다 지속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사회주의 도시와 북한의 도시 계획에 그 가능성이 담겨 있다. 우리는 어떤 도시에서 살고 싶은가. 미래 도시를 논할 때 기술 발전만큼 중요한 것이 구성원의 삶이지만, 한국은 여전히 경제 성장과 효율이라는 논리로만 도시 문제를 바라본다. 재개발, 재건축 이외의 도시 계획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다. 사회주의 도시 평양은 한국과 달랐다. 평양 설계의 토대가 된 사회주의 도시는 주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주민이 빈부 격차 없이 동등한 수준의 삶을 향유하는 도시를 목표로 삼았다. 공원과 같은 녹지는 도시 전체가 균등하게 공유했고, 시민들은 지역에서 만든 물건과 서비스를 구매했다. 사회주의 도시가 목표로 삼은 공동체에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가 있다. 새로운 기술에 관한 전망은 많지만, 달라질 삶의 방식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미래 도시를 에 대한 상상력에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공동체의 생활 방식이 담겨야 한다. 사회주의 도시에서 더 나은 삶의 여건을 보장할 수 있는 유기적인 도시 공간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