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학교를 넘어서』, 『탈학교의 상상력』,『너의 의무를 묻는다』를 통해 진정한 교육의 의미에 대해 고민했던 저자가 풀어놓는 본격 공부 탐구서! 시험문제를 ‘맞히는’ 공부, 시험만 끝나면 끝나는 공부, 요령 ‘피우는’ 공부는 이제 그만! 이제는 진짜 공부를 하자!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 공부 _ 세상을 밝히는 공부 이야기 『이것이 공부다』는 다양한 사회 주제들을 다루며 ‘생각하며 공부하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주어진 문제를 맞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기쁨을 맛보는 진짜 공부의 비결을 들려준다. 그런 공부를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는지 지난 십여 년 동안 저자가 터득한 시시콜콜한 요령들을 알려준다. 허당선생과 촛불이가 주고받는 이야기들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가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공부는 결국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과정임을 알게 된다. 시험 성적에 연연해하던 평범한 촛불이가 허당선생을 만나면서 세상 속에서 문제를 찾아내는 방법과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일상 사례를 통해 배워나가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공부 접근법 _ 반복하고 매듭짓기 공부는 반복하고 매듭짓는 과정에서 한 단계씩 앞으로 나아간다. 여기서 저자가 강조하는 반복의 진정한 의미는 기계적 반복이 아닌 더 나아지려는 의도를 지닌 반복이다. 무술 고수가 수련을 하듯 공부도 조금씩 전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며 반복한다면 공부 단계가 높아지고 있음을 스스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렇게 반복한 내용을 틈틈이 정리하면서 매듭을 잘 지을 때 공부가 한 단계 오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요령을 찾는 공부 _ 사소하지만 강력한 공부 기술 논술 성적을 위한 글쓰기가 아닌 생각을 정리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매개로서의 글쓰기를 강조한다. 작은 글들이 모여 큰 글이 만들어지기까지, 저자가 체득한 글의 뼈대 구성하기, 살 붙이기, 퇴고하기 등 글쓰기의 구체적인 방법들을 다양한 사회적 소재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글쓰기만큼 책 읽기의 요령도 강조한다. 무분별한 속독법을 비판하며 빨리 읽기와 술술 읽기의 차이를 말해준다. 나아가 단순한 외국어 독해가 아닌 종합적 책 읽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번역 방법을 소개하며 좀 더 짜임새 있는 책 읽기를 완성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저자는 본인만의 요령을 찾는 과정도 공부의 한 부분이라고 설명한다. 필기구 선택부터 그림을 그리면서 공부하는 요령까지 부담 없이 시도해 볼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공부 환경 만들기, 뇌가 아닌 몸을 쉬게 하는 방법 등을 통해 새로운 주의집중의 기술들을 제시한다. 생각을 굴리는 공부 _ 느리게 생각하기 저자는 결국 공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을 굴리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여러 가지 추론장비들로 생각의 포위망을 좁히는 방법, 만화의 구성을 통해 생각 굴리기의 방향을 살피는 법, 마음에 드는 지적 영웅을 찾아 팬이 되면 공부가 더 즐거울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우리가 생각을 굴리며 공부하는 것은 조금씩 더 나아지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며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자신만의 속도와 리듬으로 생각을 굴리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해야 하는 진짜 공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