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며 1 브란덴부르크의 호엔촐레른가(家) 심장 지대 | 왕조 | 종교개혁 | 부푼 기대 2 참화 전선들 사이에서: 1618~40년 | 정치 | 온통 잿더미 3 독일의 특별한 빛 복구 | 팽창 | 동맹 | 통치권 | 궁정과 시골 | 유산 4 왕권 대관식 | 문화혁명 | 행정 | 군대 | 아버지 대 아들 | 국가로서의 한계 5 프로테스탄트 칼뱅파 군주-루터파 백성 | 제3의 길: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경건주의 | 신앙과 정책 6 땅에 있는 권력 도시 | 지주 귀족 | 지주와 소작인 | 성, 권위, 대지주 사회 | 근면한 프로이센 7 지배권을 위한 투쟁 유일한 프리드리히 | 세 차례의 슐레지엔 전쟁 | 후베르투스부르크의 유산 | 애국자들 | 프로이센령 폴란드 | 왕과 국가 8 감히 알려고 하라! 대화 | 프로이센의 유대인 계몽주의 | 반계몽주의? | 두 얼굴의 나라 9 오만과 인과응보: 1789~1806년 _ 3 9 3 혁명기 프로이센의 외교정책 | 중립의 모험 | 중립에서 패배에 이르기까지 10 관료들이 만든 세계 ‘새 왕조’ | 관료와 장교 | 토지개혁 | 시민권 | 말 11 강철 시대 헛된 기대 | 애국자와 해방자 | 전환점 | 전쟁에 대한 ‘기억’ | 프로이센인인가 아니면 독일인인가? 12 역사를 통한 신의 행진 새로운 이원론 | 보수로 방향을 선회하다 | 정치 변화 | 신앙 갈등 | 선교 국가 | 국가의 신격화 13 정치적 혼란의 확산 정치적 낭만주의 | 대중 정치 | 사회적 물음 | 하르덴베르크의 시한폭탄 | 혁명 전야의 프로이센 14 프로이센 혁명의 찬란함과 비참함 베를린의 바리케이드 | 상황 반전 | 독일이 부른다 | 실패의 교훈 | 새로운 통합 15 네 개의 전쟁 이탈리아 전쟁 | 비스마르크 | 덴마크 전쟁 | 프로이센의 대독일 전쟁 | 대프랑스 전쟁 | 새로운 유럽 16 독일로 합병되다 독일 헌법 속의 프로이센 | 정치적·문화적 변화 | 문화 전쟁 | 폴란드인, 유대인 그리고 그 밖의 프로이센인 | 프로이센 왕과 독일 황제 | 군인과 민간인 | 군대와 국가 | 왕은 떠나고 국가는 남고 17 종말 프로이센 혁명 | 프로이센 민주주의 | 프로이센의 해체 | 프로이센과 제3제국 | 엑소시스트 | 다시 브란덴부르크로 주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