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제의 무덤

웨난
30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진시황은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황제로 그가 묻힌 진시황릉의 병마용 발견과 발굴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병마용 군진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 2천여 년 전 대제국의 황제 진시황과 그 신하들의 서로 다른 운명을 더듬고, 진시황 본인과 그가 손수 창조한 제국의 위용을 재현한다. 지하에 2천 년 동안 묻혀 있었던 병마용은 진시황의 강력한 군대를 그대로 축소해놓은 것이다. 진용의 조형과 제작기술은 중국은 물론 세계 조각가의 진귀한 보물이며, 찬란한 중국 고대 문명의 상징이다. 문화혁명 당시 유가를 배척하고 법가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된 시대적 상황을 진시황제 당시 분서갱유의 사건과 연관시켜 이야기를 전개한다. 가장 최근에 발굴된 진시황릉 6, 7호갱에서 새로 발굴된 청동학, 비전투 인물인 문관용, 무덤 건설인들의 무덤과 궁궐 연회에서 춤을 추는 백희용까지 포괄하며, 진황제가 통치하던 진나라의 정치, 군사, 문화, 예술적 측면을 보인다. 또한, 탐침결과 규모는 밝혀졌으나 아직 전체 묘실은 발굴되지 않은 지하궁전에 관해서도 다룬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제1장 리산(驪山) 자락에서의 기이한 만남 1. 우물에서 나타난 ‘도기 영감’ 2. 절망 속에서 희망을 만나다 3. ‘내참(內參)’으로 장칭을 놀라게 하다 4. 리셴녠(李先念)의 긴급명령 제2장 천 년 전 이야기 1. 역사의 먼지 속에 묻힌 정보 2. 1호 용갱의 발견 3. 재물과 미인을 앞세운 여불위(呂不韋)의 거래 제3장 20세기 고고학의 최대 발견 1. 청동검으로 풀어낸 역사의 수수께끼 2. 녜룽전(?榮臻) 원수의 제안 3. 강궁(强弓)과 경노(勁弩) 제4장 철혈제왕과 그의 군대 1. 신비한 지하 군단 2. 기병의 성장 3. 3호갱의 비밀 4. 완전한 고대 군사 배치도 5. 진시황의 6국 합병 제5장 세계 제8대 불가사의 1. 믿을 수 없는 발견 2. 발굴의 비극 3. “계급이 없어서는 안 된다” 제6장 보물찾기 1. 순장묘와 진제국의 몰락 2. 진시황릉을 불태우다 3. 마구갱(馬廐坑)과 진수갱(珍獸坑) 제7장 말 울음소리 1. 갱 밖에서 찾아낸 말머리 2. 고분 안팎에서 치솟는 봉화 3. 동거마 쟁탈전 4. 세계를 놀라게 하다 제8장 세상을 다시 놀라게 하다 1. 채색용의 절묘한 자태 2. 갑옷갱의 놀라운 발견 3. 희귀한 어린갑(魚鱗甲) 제9장 궁궐 발굴 1. 갖가지 형태의 백희용(百戱俑) 2. 문관용(文官俑) 3. 땅속에서 날아오른 학 제10장 진시황릉 지하 궁전의 비밀 1. 지하 궁전의 형태 2. 묘실 안의 강과 바다 3. 지하 궁전 속 암노(暗弩)의 비밀 맺는말 - 고독한 분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진시황은 최초로 중국을 통일한 황제이다. 지하에 2천 년 동안 묻혀 있었던 이 기세당당한 병마용은 진시황의 강력한 군대를 그대로 축소해놓은 것이다. 진용의 조형과 제작기술은 중국은 물론 세계 조각가의 진귀한 보물이며, 찬란한 중국 고대 문명의 상징이다. 이 책은 천고 유일의 황제 진시황릉의 병마용 발견과 발굴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병마용 군진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 2천여 년 전 대제국의 황제 진시황과 그 신하들의 서로 다른 운명을 더듬어보고, 진시황 본인과 그가 손수 창조한 제국의 위용을 재현해냈다.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문화혁명을 비교 전개하는 저자의 독특한 시각 신간 《진시황제의 무덤》에서는 문화혁명 당시 유가를 배척하고 법가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된 시대적 상황을 진시황제 당시 분서갱유의 사건과 연관시켜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가는 저자의 시각이 흥미롭다. 또한, 기존 진시황릉에 관한 저서들은 병마용의 군진적 측면만 부각시킨 반면, 《진시황제의 무덤》은 가장 최근에 발굴된 진시황릉 6, 7호갱에서 새로 발굴된 청동학, 비전투 인물인 문관용, 그리고 무덤 건설인들의 무덤과 궁궐 연회에서 춤을 추는 백희용(百戱俑, 궁전 무희의 모습을 본떠 만든 도용)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진황제가 통치하던 진나라의 정치, 군사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적 측면을 처음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탐침결과 그 규모는 밝혀졌으나 전체 묘실까지는 아직 발굴되지 않은 상태인 진시황의 지하궁전에 관해서도 충분한 지면을 할애해주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발굴된 진시황릉 6호 부장갱 진시황릉 6호 부장갱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8좌의 문관 도용들은, 진나라 당시 감옥과 형벌, 사법을 책임졌던 관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관 도용들은 뭄에 칼과 숫돌을 지니고 있는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칼의 용도는 편지를 자를 때 사용되었으며, 숫돌은 칼을 가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즉, 무기가 아니라 문구였던 것이다. 또한, 소매에 손을 끼우고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저자 웨난은 6호 부장갱에서 불굴된 문관용들이 진시황릉 발굴 작업의 획기적인 이정표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그 전까지 발굴된 병마용 위주의 군진이 진나라 제국의 정치, 경제, 문화, 풍습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사마천의 《사기》에서도 진시황릉에는 “궁관宮觀과 백관百官”이 있었다는 대목이 나오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에 발굴된 진시황릉 7호 부장갱 진시황릉에 관한 기록은 사마천의 《사기》에서 최초로 언급된 이후에도 끊이지 않았다. 《사기》 이후에 쓰여진 반고의 《한서漢書》 에서는 진시황 능묘를 묘사하면서 “수은으로 강과 바다를 만들고, 황금으로 오리와 기러기를 만들었다”고 했다. 가장 최근에 발굴된 진시황릉 7호 부장갱 내에서는 청동 조류 유물 10여 점이 최초로 발굴되었다. 진시황릉 7호 부장갱에서 발굴된 유물은 사실로 입증하기 어려운 고대 문헌 기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국의 지질학자들은 진시황릉에서 수은 함량이 상당히 많은 부분을 탐측해냈는데, 무덤 속에 수은을 넣는 가장 큰 목적은 도굴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수은은 극독성 물질이어서 흡입하게 되면 정신 이상과 마비 증세가 오고 사망하게 된다. 《사기》에는 진시황릉 속에 “기계를 이용해 수은이 흐르게 했다”고 기록되었는데, ‘기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수은을 흐르게 하면 고농도의 수은 증기가 가득 차, 시신과 부장품들이 오랫동안 부패되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진황제의 통치력을 보여주는 진나라의 축소판 진시황제의 무덤 이밖에도, 《진시황제의 무덤》은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진 《사기》와 같은 역사적 기록의 일화를 뒷받침해주는 발굴사진 및 고대 삽화들이 매우 풍부하여 중국 문명을 진지하게 탐색해 보고자 하는 독자들의 눈을 즐겁게 해줄 것이다. 진시황의 생모와 여불위 간의 사연을 비롯하여, 진시황을 시해하려 했던 형가가 진왕을 찌른 이야기를 조각해 놓은 돌 등, 중국 고대문명사의 이야기를 가장 시각적으로 보완해주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굴된 업적은 진시황릉 탐사단이 30년이 넘도록 5만 개 이상의 구멍을 뚫어 탐침한 결과물이다. 무관, 병마용 군진의 발견을 넘어서 문관, 백희용, 청동 조류의 발굴 성과는 가장 최근의 업적이며, 독자들은 진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를 두루 이해하는데 소중한 계기를 접하게 될 것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