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자 서문
제1권 근대 독일 철학과 그 대표자 포이에르바하, 부르노 바우어 및 슈티르너
서문
제1편 포이에르바하. 유물론적 시각과 관념론적 시각의 대립
Ⅰ
1. 이데올로기 일반, 특히 독일의 이데올로기
2. 역사의 유물론적 이해를 위한 전제들
3. 생산과 교류 ? 노동 분업과 소유형태 -부족적, 고대적, 봉건적
4. 유물론적 역사관의 본질,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Ⅱ
1. 인간의 실제적 해방을 위한 전제 조건들
2. 포이에르바하의 관조적이고 비일관적인 유물론
3. 근원적인 역사 관계들, 혹은 기본적인 사회 활동 양태들 : 생존 수단의 생산, 새로운 욕구의 생산, 인간의 재생산(가족), 사회적 교류, 의식
4. 노동의 사회적 분업과 그 귀결 : 사유재산, 국가 및 ‘소외된’ 사회 활동
5. 공산주의의 물질적 전제 조건 및 생산력 발전
6. 유물론적 역사관의 결론들 : 연속적 과정으로서의 역사. 역사의 세계사로의 발전, 공산주의 혁명의 필요성
7. 유몰론적 역사관의 총괄
8. 관념론적 역사관 일반, 특히 헤겔 이후 독일 철학의 비일관성
9. 관념론적 역사관과 포이에르바하의 의사(擬似) 공산주의
Ⅲ
1. 지배 계급과 지배 의식. 역사에 있어 정신의 지배라는 헤겔과 철학자들의 관념은 왜 출현했는가?
Ⅳ
1. 다양한 생산 용구와 다양한 소유형태
2. 물질적 노동과 정신적 노동의 분화. 도시와 농촌의 분리. 길드 시스템
3. 새로운 노동 분업. 상업과 공업의 분리. 여러 도시들 간의 노동문업. 매뉴팩처
4. 가장 확대된 노동 분업. 대규모 공업
5. 사회 혁명의 근거인 생산력과 교류 형태 간의 모순
6. 개인들 간의 경쟁 및 계급의 형성. 개개인들과 그들의 생활 조건 간의 대립. 부르조와 사회에서의 개개인의 환상적 공동체와 공산주의 사회에서의 개개인의 참된 공동체. 사회적 생활 조건의 단결된 개개인의 힘 아래로의 복속
7. 생산력과 교류 형태 간의 모순으로서의 각 개인과 그 생활 조건 간의 모순. 생산력의 발전과 교류 형태의 변화
8. 역사에 있어서 폭력(정복)의 역할
9. 대규모 공업 및 자유 경쟁 하에서의 생산력과 교류 형태간의 모순. 노동과 자본 간의 모순
10. 사유재산제 폐지의 필연성, 전제 조건 및 그 결과
11. 국가와 법의 소유에 대한 관계
12. 사회 의식의 여러 형태들
* 라이프찌히 회의
제2편 성 브루노
1. 포이에르바하에 반대하는 ‘캠페인’
2. 포이에르바하와 슈티르너 간의 투쟁에 관한 성 브루노의 견해
3. 성 브루노 대(對) 《신성 가족》의 저자들
4. 모제스 헤스(M. HESS)의 부고장
부록 / 184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수고) - 칼 마르크스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엥겔스의 편집) - 칼 마르크스
브루노 바우어의 반비판에 대한 답변 -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학습을 위한 제언 / 옮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