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롤로그 - 집창촌 100년의 시간여행 I. 개항지유곽시대 (1876~1905) 개항지에 등장한 유곽과 윤락업소 기생들의 성거래 윤락업소의 서울 진출 집창촌의 탄생 19세기 유럽과 일본의 집창촌 ■ 집창촌 깊이 읽기 - 부산 완월동, 옐로우하우스, 대구 자갈마당 II. 철도유곽시대(1906~1930) 거점도시와 유곽 역전의 잡창촌 본격적인 공창제 도입 전국으로 확산된 집창촌 전국유곽안내에 나타난 조선의 유곽 유곽을 통해 본 사회 ■ 집창촌 깊이 읽기 - 목포 사쿠라마치, 대전 중동, 군산 신흥동유곽, 전주 선미촌 선화촌 III. 전쟁유곽시대(1931~1945) 카페의 등장과 사창의 만연 유곽이전 민원과 폐창운동 15년 전쟁과 위안부 강제모집 문학 속 유곽 ■ 집창촌 깊이 읽기 - 마산 신포동, 평택 쌈리, 원주 희매촌, 춘천 장미?난초마을 IV. 사창전국시대(1946~1961) 공창제 폐지 초기 미 기지촌 형성 임시수도 부산의 사창가 기지촌의 전국 확산 용산 도원동과 신정 유곽의 폐지 서종삼과 이봉익 산재된 사창의 집촌화 ■ 집창촌 깊이 읽기 - 동두천 기지촌과 생연7리, 파주 용주골, 태백 대밭촌, 동해안의 부산가 금호실업 V. 특정지역시대(1962~1980) 윤락행위 방지법과 특정지역 종삼 철거와 양동의 쇠퇴 텍사스촌의 전성기 기생관광과 종로의 부활 기지촌의 거대화와 형질변경 호스티스와 겸업형 성매매의 태동 ■ 집창촌 깊이 읽기 - 군산 대명동, 포항 중앙대학, 청량리 588, 광주 대인동 VI. 新사창시대(1981~2004) 통금해제와 올림픽, 그리고 산업형 성매매 전국으로 퍼진 티켓다방 윤금이 사건과 외국인 기지촌 여성 텍사스 수난기 영화 속 집창촌 군산 대명동, 개복동의 화재 ■ 집창촌 깊이 읽기 - 대전 유천동, 수원 고등동, 서울 용산역 앞 VII. 집창촌의 현재와 미래(2005~ ) 여성에 의한 여성의 법, 성매매특별법 성매매 여성들의 조직화와 한계 집창촌의 국제화 과거를 묻지 마세요 - 집창촌 재개발 외국의 성매매 규제와 집창촌 집창촌의 미래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