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구해근 · 사회과학
339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0(32명)
0.5
4
5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32명)
코멘트
더보기

이 책은 미국 코넬대학출판부(Cornell University Press)에서 2001년에 출간된 하와이대학 구해근 교수의 을 중앙대학교 신광영 교수가 번역한 것이다. 10여년에 걸친 자료수집 및 노동운동가들과의 방대한 인터뷰에 기초해 씌어진 이 책은, 계급론에 있어 고전이 된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을 쓴 E.P.Thompsom의 '계급형성론'을 통해 한국의 노동계급과 노동운동을 분석한 시도이다. 이러한 계급형성론에 의한 계급분석은 생산관계 내에서 차지하는 노동자들의 위치적 동일성 뿐만 아니라 그들이 공유하는 생활경험, 전통, 언어, 가치체계에도 주목한다. 이 책은 1960년 최초의 도시 임금노동자가 등장하여 노동현실에 순응하고, 불의를 인식하게 되고, 막연한 저항과 몸부림에서 점차 정치적으로 의식화되어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별점 그래프
평균 4.0(32명)
0.5
4
5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서론: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제2장 산업화와 노동자의 출현 제3장 한국 기업에서의 노동과 권의 제4장 순교자, 여성노동자와 교회 제5장 노동자와 학생 제6장 노동자 정체성과 의식 제7장 거대한 노동공세 제8장 기로에 선 노동계급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