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 1장 경제성장은 왜 중요한가? 경제성장을 우선시하는 것에 대해서 왜 부정적인가? / 경제성장의 효용 2장 서구는 어떻게 잘살게 되었는가? 국제적 빈부격차 / 원래부터 서구가 잘살았는가? / 서구가 잘살게 된 요인은? 3장 식민지 착취 때문인가? 중상주의 시대 초기 제국주의 / 19세기에 나타난 경제적 제국주의 / 최근 실증주의 경제사학계의 연구 결과 / 식민지 경영의 비용 / 제국의 수익성 / 식민지 경영의 비경제적 동기 4장 서구의 경제가 발전했던 원인은 무엇인가? 경제발전에 대한 관심 / 효율적인 제도란? / 인센티브에 의한 사익 추구와 제도 / 신제도학파 경제학의 등장 / 신제도학파에서 제도를 중요시하는 이유 / 신석기혁명과 재산권: 재산권 확대의 역사 / 경쟁과 효율적 제도 5장 서구는 어떻게 효율적 제도 창출에 성공했는가? 효율적제도가 출현하기 이전의 시대 / 베네치아: 효율적인 제도 창출의 시작 / 문화의 극복과 종교개혁 / 신뢰: 비공식적 제도의 중요성 6장 영국 산업혁명과 기업의 발달 영국 산업혁명의 원인 / 명예혁명과 효율적인 제도 / 기업의 출현과 확산 / 대항해시대: 기업의 출현 / 산업혁명과 기업의 확산 7장 독일과 미국의 발전 19세기 후반 떠오르는 신흥세력 / 독일의 경제성장 / 미국의 경제성장 / 제2차 경제혁명 / 서구 국가들의 성공 비결 8장 제도 실패의 역사적 사례들 국가 실패의 원인과 제도 / 스페인의 실패 프랑스의 실패 / 19세기 말 영국 경제성장률 둔화의 원인 / 빈국의 첫 번째 이유: 시장경제를 거부 / 빈국의 두 번째 이유: 시장경제가 작동되지 않아서 / 19세기 조선이 실패한 이유 9장 한강의 기적과 시장경제 한강의 기적 / 일제강점기의 유산 /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과 시장경제 / 박정희 정부의 정부주도 공업화와 시장경제 /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기업의 역할 10장 20세기의 경제사: 시장인가 정부인가 제도의 효용에 대한 이해 / 시장경제와 정부역할 / 20세기 전반기 신중상주의 사조의 확산 / 20세기 후반 신자유주의 사조 11장 효율적인 제도가 인류를 구원할 수 있을까? 과거의 경제문제와 효율적 제도 / 미래의 경제문제와 효율적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