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지상 최후의 농담, 오세혁 지음
배경은 포로수용소. 10분마다 한 명씩 수감자가 불려나가고, 이들은 예외없이 죽는다. 남은 수감자는 동료의 죽음을 지켜보며 자신에게 주어진 생이 몇 분인지 헤아린다. 매 순간은 죽음을 향해 가는 시간이다. 웃으며 죽을 수 있다면…. 그렇게 지상 최후의 농담 배틀이 시작된다.
2017 애국가.함께함에 대한 하나의 공식, 극단 즉각반응 공동 창작
미하일 마르마리노스(Michael Marmarinos)의 구상에 따랐으며 원구상의 핵심적 질문, 대사, 지문은 유지하고 2016년 8월 강애심, 김홍파, 이주영, 이수미, 서동갑, 박성연, 임영준, 이진경, 임동욱, 전윤지, 하수민이 워크숍을 통해 공동으로 창작한 대본이다. 동시대의 고민, 그것을 담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엿보인다.
사람을 찾습니다, 김학선 지음
규남은 잃어버린 개를 찾는 전단지를 붙이는 일로 생계를 꾸려 간다. 부동산 중개업자 원영은 그런 규남을 이용하고 학대한다. 동네에서 계속해서 강아지가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고 사람들마저 사라지기 시작하는데, 원영은 우연히 규남의 거처에서 참담한 광경을 목격한다.
초혼(招魂) 2017, 안민수 지음
‘동랑레퍼터리’ 극단에 의해 1980년 10월 28일부터 10일간 서울 남산 ‘드라마센타’에서 안민수 연출로 초연되었다. 누군가의 죽음 이후 상여가 나가고 장례 의식이 모두 끝날 때까지 대사는 오직 아이고아이고 하는 곡성뿐이다. 장례의 격식에 따라 진행되는 극은 특별한 대사와 갈등 없이도 관객과 독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원무인텔, 홍창수 지음
대학 동창이던 중환과 명숙은 오랜만에 만나 은사의 장례식장으로 향한다. 함께 고고학을 전공했지만 두 사람의 처지는 많이 달라져 있다. 중환은 서울에서 잘 나가는 논술학원 원장이, 명숙은 문화재청장이 되었다. 반가운 인사로 시작된 둘의 대화는 점점 불화로 치닫는다. 격한 대화 가운데 두 사람의 과거사가 조금씩 드러난다.
페스카마-고기잡이 배, 임선빈 지음
우리나라 최악의 선상 반란인 페스카마호의 실화를 다뤘다. 1996년 8월 남태평양에서 조업 중이던 온두라스 국적의 참치잡이 원양어선 페스카마호에서 일어난 선상 반란으로 한국인 선원 7명을 포함한 11명의 선원이 살해됐다. 인권과 인간의 잔혹함을 조명했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말 잘 듣는 사람들, 김수정 지음
서울 강남에서 성업 중인 삼계탕집이 배경이다. 복날을 맞아 홀도 주방도 정신없이 바쁜 와중에 매장 매니저 미옥은 경찰의 전화를 받는다. 매장에서 발생한 절도 사건을 수사하는 데 협조해 달라는 것. 형사는 얼마 전 들어온 아르바이트생 예슬을 강력한 용의자로 지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