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서른의 나, 이룬 게 아무것도 없다. 미래 인생을 위해 아직 준비되지 않은 내가 서른 살, 지금 시작해야 할 것들! 이십 대에는 대학생활을 보내며 젊음을 마음껏 발산하기도 하고, 자신이 원하는 것들을 시도하며 앞으로의 인생을 고민하고 방황하며 성장해 간다. 또한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책상 앞에서 고군분투를 하기도 하고, 수없이 많은 이력서를 내며 때론 좌절하기도 하고 많은 노력 끝에 취업에 성공하기도 한다. 직장에서는 좌충우돌하며 조금씩 어른으로 성장하며 어느새 서른을 맞이하게 된다. 이렇게 맞이한 서른, 그러나 아직 아무것도 이룬 게 없다. 아직 아무것도 준비돼 있지 않다. 그래도 이십 대에는 꿈을 찾아 헤매기도, 자아를 찾아 나 홀로의 여행을 떠날 여유가 있다. 이십 대를 돌아보며 나름 열심히 살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서른이 되고 앞으로의 인생을 생각하면 아무것도 준비되지 않아 조바심이 난다. 그것은 삼십 대는 자신의 미래 인생을 결정짓는 가장 소중한 시기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청춘들에게 인생은 그리 짧지 않다고 말한다. 평균 100세 시대를 살아갈 앞으로의 긴 인생을 지금 서른부터 계획하고 실천해 나간다면 조바심 낼 필요 없다고 위로한다. 라이프워크, 인생 후반의 무기가 된다! 서른부터 특히 ‘혼자의 시간’을 확보해야 만족한 삶을 얻을 수 있다. 저자는 동생을 위하는 형처럼 이삼십 대가 인생을 계획해 나가는데 전반적인 도움을 주고자 자신이 경험을 통해 얻은 삶의 지혜와 방법을 전한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사는 시간을 공적, 사적, 개인적 시간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개인적 시간, 즉 ‘혼자의 시간’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특히 삼십 대는 현장에서 자신의 실력을 발휘하며 일에서 성장해가는 시기이며, 가장 많은 시간을 공적 시간에 투자하기도 한다. 그리고 결혼하여 가정의 행복을 키워가는 사적 시간을 보내는 시기이기도 하다. 또 결혼하지 않았다면 친구와 사회적 활동으로 인맥을 키워가기도 한다. 이런 탓에 좀처럼 개인적 시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개인적 시간을 확보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나 취미, 즉 라이프워크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것은 인생 후반의 무기가 되어 자신이 원하는 만족하는 삶을 얻는 비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앞으로의 인생을 고민하는 삼십 대의 훌륭한 멘토! 저자 역시 20대에는 나름 충실한 대학생활을 보냈고, 직장 초년생 때는 좌충우돌하며 여느 젊은이들처럼 유흥에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30대에는 20대의 시절을 돌아보며 삶의 방식을 리셋(reset)하여 발밑을 파고들어 성장해 나갔다. 40대에는 자신의 경험과 서른 살부터 개인적 시간에 투자해왔던 취미활동이 밑거름이 되어 교수로서의 제2의 인생을 다시 걷게 되었고, 50대에는 보다 충실한 삶을 보내며 현재의 60대에 이르게 되었다. 저자는 현재의 행복한 자신의 삶을 보내며, 혼자 보내기가 아까워 경제적 성장기의 혜택을 받았던 자신의 젊은 시절보다 몇 배나 혹독한 현실 속에 있는 지금의 삼십 대, 앞으로 삼십 대를 맞이할 이십 대, 지나버렸지만 아직 늦지 않은 사십 대에게 자신의 경험과 지혜를 진솔하게 전하며, 자신이 만족하는 삶과 행복한 인생을 만드는 설계도 그리는 법을 알려준다. 이 책은 지금의 삼십 대가 서른 이후, 더욱 훌륭한 인생을 위해 자신의 인생 설계도를 만들어나가는 데 훌륭한 멘토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