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자기기만에 대하여
객관성에의 무능력|정의의 불가능성|자기인식을 거쳐 세계로
제1부 세계에 대하여
제1장 세계가 있는 이유 ― 순례인가 유배인가
융의 순례 이론|헤겔의 순례 이론|유배와 순례 사이에서 ― 플라톤|불교의 유배 이론|십자가의 요한의 유배 이론|『기적수업』의 자기유배 이론
제2장 최면과학을 통해 본 세계의 비(非)실재
세계의 사라짐|세계의 비실재성의 가능성
제2부 마음에 대하여
제3장 자아의 삶에 대하여
올바름에 대하여|빠져듦의 의미|빠져듦의 기본 형식 ― 원하지 않는 것을 욕망하기|빠져듦의 구조적 과정 ― 비교에서 박탈까지|성적 가치의 환상|정체성에 대하여|허무의 왕국|애착에 대하여
제4장 성스러움에 대하여
레비나스에게서 신성함과 성스러움의 대립|세계의 안과 바깥|자아의 범주로서 신성함|신성함의 특질|신성화의 두 형태 ― 주자학과 바울 신학|성스러움의 장소|세계에서 빠져나오기 ― 대립의 부재로|세계에 속하지 않음 ― 사랑에 대하여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