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공간

미셸 푸코 · 인문학
305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4명)
권력과 공간에 대한 푸코의 사유가 담긴 텍스트 선집 『권력과 공간』이 또 다른 푸코 선집 『헤테로토피아』(2014년 초판 출간)의 개정판과 함께 ‘채석장 시리즈’로 동시 출간되었다. 푸코의 철학은 지리학, 건축학, 도시공학 등 다양한 공간 관련 연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왔다. 푸코가 공간에 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펼친 사상가였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다양한 연구 작업 속에서 부수적이고 산발적인 형태로 공간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내놓았는데, 특히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논의하는 강의 원고들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헤테로토피아』에 담긴 이 텍스트들만으로는 공간에 대한 푸코의 시각과 접근 방식을 전체적으로 균형 있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공간 문제를 둘러싼 푸코의 사유는 권력에 대한 사유와 맞물려 상당한 진폭을 그리며 운동했기에, 그 변화의 세세한 흔적을 잘 되짚어보지 않고 그의 언급들을 개별적으로만 분석한다면 그의 전체 철학의 맥락 안에서 다소 모순적인 입장을 드러내는 것으로 오해되거나 일종의 지적 일탈의 행보로 비춰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에 처음 소개되는 『권력과 공간』에는 공간을 두고 펼쳐진 푸코 사유의 전체 궤도를 그려보는 데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여덟 편의 텍스트들을 담았다. 푸코 및 부르디외의 철학을 국내에 소개해온 이상길 교수가 텍스트를 선별하고 번역했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1부 권력이란 무엇인가 권력의 그물코 권력과 전략 권력에 관한 해명─몇 가지 비판에 대한 답변 2부 권력의 공간화 애티카 감옥에 관하여 지리학에 관해 푸코에게 보내는 질문 『헤로도토스』에 보내는 푸코의 질문 권력의 눈 18세기의 건강정치 옮긴이의 말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는 공간들의 전체 역사를 다시 써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동시에 권력들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공간과 권력에 대한 푸코의 사유가 담긴 두 편의 선집 『권력과 공간』 『헤테로토피아』 출간! 권력과 공간에 대한 푸코의 사유가 담긴 텍스트 선집 『권력과 공간』이 또 다른 푸코 선집 『헤테로토피아』(2014년 초판 출간)의 개정판과 함께 ‘채석장 시리즈’로 동시 출간되었다. 푸코의 철학은 지리학, 건축학, 도시공학 등 다양한 공간 관련 연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왔다. 푸코가 공간에 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펼친 사상가였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다양한 연구 작업 속에서 부수적이고 산발적인 형태로 공간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내놓았는데, 특히 ‘헤테로토피아’라는 개념을 논의하는 강의 원고들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헤테로토피아』에 담긴 이 텍스트들만으로는 공간에 대한 푸코의 시각과 접근 방식을 전체적으로 균형 있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공간 문제를 둘러싼 푸코의 사유는 권력에 대한 사유와 맞물려 상당한 진폭을 그리며 운동했기에, 그 변화의 세세한 흔적을 잘 되짚어보지 않고 그의 언급들을 개별적으로만 분석한다면 그의 전체 철학의 맥락 안에서 다소 모순적인 입장을 드러내는 것으로 오해되거나 일종의 지적 일탈의 행보로 비춰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번에 처음 소개되는 『권력과 공간』에는 공간을 두고 펼쳐진 푸코 사유의 전체 궤도를 그려보는 데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여덟 편의 텍스트들을 담았다. 푸코 및 부르디외의 철학을 국내에 소개해온 이상길 교수가 텍스트를 선별하고 번역했다. 공간-권력에 대한 푸코의 사유의 궤적 푸코의 권력론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지만, 푸코의 철학을 공간 인식의 차원에서 정리하는 작업은 드물었다. 그는 단일하고 정형화된 권력 이론을 구성하기보다 구체적인 권력 분석들,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다양한 ‘이론화’의 시도만을 남겼는데, 이러한 태도는 공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게다가 그의 공간 관련 논의는 권력에 대한 이론화와 역사 서술에 부수적인 형태로, 그나마도 간헐적으로만 이루어졌다. 때문에 푸코의 공간 인식과 그 변천의 경로를 탐색하는 일은 권력 이해의 진화 과정을 뒤쫓는 작업과 나란히 갈 수밖에 없다. 이 책에서는 푸코의 ‘공간-권력’론이라고 이름 붙일 법한, 공간과 권력에 대한 그의 고유한 시각을 암묵적으로 드러내는 글들을 소개한다. 1부 ‘권력이란 무엇인가’는 푸코가 자신의 권력 개념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세 편을 담고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권력의 미시물리학’이라는 푸코의 기획이 공간에 어떻게 접근하고자 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첫번째 글 「권력의 그물코」는 1976년 푸코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했던 강연을 옮긴 것으로, 그는 주권, 규칙, 금지 등에 기초한 권력의 법적 개념화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권력을 긍정적인 메커니즘 속에서 분석하기 위한 참조점으로 『자본론』을 소환한다. 또한 근대 권력의 작용이 군대나 작업장, 학교 같은 공간을 매개로 어떻게 현현하는지 논한다. 두번째 글 「권력과 전략」은 1977년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와 가진 서면 인터뷰로, 권력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며 구소련의 강제수용소 ‘굴라크’ 문제를 다룬다. 세번째 글 「권력에 관한 해명―몇 가지 비판에 대한 답변」은 1978년 푸코가 이탈리아 공산주의 철학자 마시모 카치아리의 비판에 대해 내놓은 글로, 『광기의 역사』 『감시와 처벌』 『지식의 의지』 같은 주저들에서 자신이 수행한 권력 분석이 어떤 원리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어떤 개념적 특징을 갖는지 설명한다. 푸코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드러낸 ‘권력-공간’론의 형상 2부 ‘권력과 공간화’에는 푸코가 공간과 자신의 작업 사이의 관련성을 언급하거나 직접적으로 공간을 분석하는 텍스트 다섯 편을 담았다. 첫번째 글 「애티카 감옥에 대하여」는 1972년 미국의 애티카 감옥을 방문한 직후 가진 인터뷰이다. 이 인터뷰 몇 달 전 애티카 감옥에서는 수감자들의 봉기가 일어났고, 이들을 무력 진압하는 과정에서 재소자와 간수 수십 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이 인터뷰에서 푸코는 감옥의 공간적 특성과 자본주의 사회의 노동력 생산을 위한 정치경제학적 기능을 지적하는 한편, 계급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두번째 글 「지리학에 관해 푸코에게 보내는 질문」은 1976년 마르크스주의적 지리학을 표방하는 학술지 『헤로도토스』에 실린 지리학자들과의 대담이다. 이 대담은 공간과 지리학에 대한 푸코의 인식을 집중적으로 탐문한다. 세번째 글 「『헤로도토스』에 보내는 푸코의 질문」은 앞선 대담이 있고 나서 얼마 뒤 푸코가 같은 잡지에 기고한 글로, 짧은 질문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이전 대담의 내용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그는 과학으로서의 지리학과 의료 지리학의 가능성 등에 관해 묻는다. 네번째 글 「권력의 눈」은 역사학자 미셸 페로, 언론인 장-피에르 바루와 가진 대담으로, 벤담의 『판옵티콘』 재간행본에 일종의 서문으로 수록되었다. 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판옵티콘을 규율권력의 범례로서 다룬 바 있는데, 여기서는 벤담의 기획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는 18세기 이후 권력의 성격이 변화하며 공간이 첨예한 정치경제적 문제로 떠올랐다고 지적하면서, 공간의 역사는 권력의 역사와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마지막 글인 「18세기의 건강정치」는 『치료 기계―근대 병원의 기원』이라는 책의 개정판 서문에 실린 것이다. 이 글은 건강, 인구, 치안을 연결하는 18세기의 정치 과정 속에 병원의 공간적, 제도적, 기술적 재조직을 맥락화함으로써 건축의 역사를 확장한다. ** 이 책에 실린 텍스트들은 푸코가 생전에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나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많은 논문, 인터뷰, 기고문 등을 사후에 한데 편집한 방대한 편저 『말과 글』 가운데서 선별한 것이다. 푸코는 책을 출판하고 나면 그에 관한 각종 대담, 토론, 인터뷰를 마다하지 않았고, 이러한 ‘말하기’는 그의 철학 활동을 특징짓는 하나의 독자적인 장르처럼 자리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옮긴이 이상길 교수가 들뢰즈의 말을 빌려 지적하듯, 푸코의 말은 “각 저서의 역사적 문제화를 현재적인 문제의 구성으로까지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체 저작의 “불가결한 부분”을 구성했다. 이러한 특징은 이론이 종종 ‘연장통’처럼 쓰이길 바랐던 푸코의 생각에도 잘 부합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푸코 논의의 현실적 맥락과 함의, 사유의 굴곡의 흔적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이 텍스트들은 우리가 ‘푸코라는 연장’을 우리의 지형 속에서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 책에는 또한 푸코의 지적 여정을 되짚어보면서 권력과 공간에 대한 푸코의 사유의 궤적을 상세하게 정리하고 분석한 이상길 교수의 해제가 실려 있다. 권력을 개념화하려는 푸코의 문제의식이 학문 외적인 여러 실천과도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한 만큼, 이상길 교수는 푸코에게 영향을 미친 당대의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해서도 충실한 설명을 덧붙였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6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