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히 낮으신

크리스티앙 보뱅 · 에세이
17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9(17명)
0.5
4
5
평가하기
3.9
평균 별점
(17명)
코멘트
더보기

독자들을 사색으로 이끄는 시적인 언어와 간결하고 독특한 문체로 자신만의 음악을 탄생시켰다고 평가받는 크리스티앙 보뱅이 13세기의 성인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삶을 그려냈다. 지금도 여전히 프랑스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지극히 낮으신>은 1992년에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간되어 1993년 되마고상, 프랑스 가톨릭 문학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즉위식 방송 중에 가브리엘 랑레는 이 책을 인용하며 크리스티앙 보뱅을 ‘위대한 시인’이라 말한 바 있다. 보뱅은 13세기 성인의 삶을 통해 21세기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진리란 무엇인가, 믿음과 사랑은 무엇인가. 그렇지만 보뱅은 그 답이 결코 책 안에 있지 않음을 알고 있다. 답변은 책 안에 있기보다 책을 “읽는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임을 잊지 않는다. “답변은 읽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 “몸과 정신과 영혼으로 느끼는 것”이기에. 그리하여 보뱅은 ‘성 프란체스코의 생애를 객관적으로 나열하거나 교훈을 전달하려고 하는 대신 성인의 삶에 끼어드는 사건과 장면들을 포착해 윤곽을 그리며 가볍고 정확한 터치의 언어로 그 안에 담긴 은총을 전달한다. 그리하여 짧은 숨결의 문장이 동심원을 그리며 물결처럼 다가와 우리 안에 스며든다’. 그 아름다운 문장들이 우리가 배워온 모든 것들의 위계를 불현듯 뒤집어 놓는다.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은 지극히 낮으신 하느님으로 우리 곁에 머문다, 진리는 높은 곳이 아닌 낮은 곳에 있음을. 충족 속에 있기보다 결핍 속에 있음을 느끼게 된다. 영혼의 성장은 몸의 성장과는 반대로 이루어짐으로 어른이 꽃이라면 어린이가 열매임을 우리는 깨닫는다. 그리하여 만나게 되는 것은 기쁨. 어린아이의 순전한 기쁨, 기쁨에 넘치는 사랑이다.

선택을 기다리는 고요한 전장 ⟨콘클라베⟩

~5/1(목)까지 20% 할인가로 만나보세요!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 3.9(17명)
0.5
4
5

선택을 기다리는 고요한 전장 ⟨콘클라베⟩

~5/1(목)까지 20% 할인가로 만나보세요!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11p - 답변이 불가능한 질문 하나 25p - 사실 성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39p - 달콤한 무無 51p - 일각수, 불도마뱀, 귀뚜라미 63p - 그림자로 가득한 몇 마디 말 77p - 보세요, 전 떠납니다 93p - 사천 살, 그리고 먼지 107p - 내 형제 당나귀 121p - 여자들의 진영, 하느님의 웃음 133p - 노쇠한 하느님 145p - 당신들은 저를 사랑한다 말하면서 제 마음을 슬프게 합니다 161p - 추한 이미지, 거룩한 이미지 169p 성 프란체스코, 가난한 자의 얼굴 (역자 후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진정한 믿음과 사랑이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1993년 되마고상, 프랑스 가톨릭 문학대상 수상 13세기의 성인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삶을 통한 깊은 사색과 깨달음 21세기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믿음과 사랑은 무엇인가? 진리란 무엇인가? 독자들을 사색으로 이끄는 시적인 언어와 간결하고 독특한 문체로 자신만의 음악을 탄생시켰다고 평가받는 크리스티앙 보뱅이 13세기의 성인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의 삶을 그려냈다. “신앙을 가지고 있든 아니든 상관없다. 종교가 아니라 신성한 것들로 가득한 글이다.” “그의 문장과 단어들은 모두 시와 같아서 순수한 행복을 느낀다.” “이 책의 가치는 단지 정교하게 세공된, 시적이고 의미가 깊은 언어 사용에만 있지 않다. 보뱅이 우리에게 전하는 삶의 본질에 대한 사색이야말로 이 책의 가치다.” 지금도 여전히 프랑스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지극히 낮으신>은 1992년에 프랑스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간되어 1993년 되마고상, 프랑스 가톨릭 문학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교황 프란치스코의 즉위식 방송 중에 가브리엘 랑레는 이 책을 인용하며 크리스티앙 보뱅을 ‘위대한 시인’이라 말한 바 있다. 가난한 자들의 얼굴,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 하느님을 노래한 음유 시인이며 가난한 이들의 친구, 동물들의 수호성인이기도 한 프란체스코. 13세기 초 청빈을 신조로 ‘작은 형제회’를 조직하고 세속화된 로마 가톨릭교회 내부의 개혁 운동을 이끈 탁발 수도승이다. 우리에겐 무엇보다 <평화의 기도>와 <태양의 노래>로 기억되는 성인. 리스트는 그의 삶에 감복해 <새들에게 설교하는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를 작곡했고, 그의 삶을 연작 벽화로 그린 조토의 그림을 통해서도 우리에게 몹시 친근한 성인이다.(옮긴이의 말) "우리는 그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모르며, 이것이 오히려 좋습니다. 누군가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그를 진정으로 알게 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프란체스코는 12세기 말, 이탈리아의 아시시라는 도시에서 태어나 부유한 상인의 가정에서 자랐다. 젊은 시절 술과 여자와 노름을 즐기던 청년은 기사도와 영광을 꿈꾸며 전쟁에 나가지만 포로가 되고 감옥에 갇히고 병으로 쇠약해져 그곳을 벗어난다. 하지만 그 어두운 감방에서도 그는 쾌활함을 잃지 않는다.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며 포로가 된 동료들을 위로한다. 이는 세상이 아닌 다른 곳에서부터 온 기쁨의 발견이다. “우리가 정말로 살고 있는 곳은 하루하루를 보내는 그곳이 아니라, 무얼 희망하는지도 모르면서 우리가 희망하는 그곳이며, 무엇이 노래하게 만드는지도 모르면서 우리가 노래하는 그곳”이기에. 고향으로 돌아온 프란체스코는 삶이 변해야 한다는 것을 느낀다. 이 삶을 버리고 다른 삶을 살아야 함을 깨닫는다. 그러나 어떻게 해야 할지 알지 못한다. 또다시 전쟁일 일어나고, 길을 떠난 그는 스폴레토라는 도시에서 잠 속에 찾아든 하느님을 만난다. 천둥 같은 목소리로 호령하는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이 아닌, 잠든 이의 귓속에 대고 속삭이는 ‘지극히 낮으신’ 분을. 페루자의 감옥, 아시시에서 앓은 병, 스폴레토에서 꾼 꿈. - 이 세 가지 은밀한 상처로 인해 야망의 나쁜 피는 사라져 버린다. 친구, 여자, 노름에서 얻는 즐거움은 시들해지고, 이 땅에서 젊고 사랑받는 존재가 되는 것보다 더 큰 기쁨을 소망하게 된다. 진리는 분명 높은 곳에 있기보다 낮은 곳에 있음을, 충족 속에 있기보다 결핍 속에 있음을. 성인의 본질을 정의하고, 순전한 사랑과 어린아이의 기쁨을 찾아가는 여정 “우리는 이제 진리가 어디에 있는지 안다. 진리는 섹스에 있고, 경제에 있고, 문화에 있다. 우리는 이 진리의 궁극적인 진실이 어디에 있는지도 잘 안다. 다름 아닌 죽음이다. 우리는 섹스를 믿고, 경제를 믿고, 문화를 믿고, 죽음을 믿는다. 그 모두를 아우르는 결정적인 한마디는 결국 죽음이라 믿는다. 죽음이 이를 갈며 먹이를 단단히 물고 있다고.” 보뱅은 13세기 성인의 삶을 통해 21세기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진리란 무엇인가, 믿음과 사랑은 무엇인가. 그렇지만 보뱅은 그 답이 결코 책 안에 있지 않음을 알고 있다. 답변은 책 안에 있기보다 책을 “읽는 사람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임을. “답변은 읽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것” “몸과 정신과 영혼으로 느끼는 것”이기에. 그리하여 보뱅은 성 프란체스코의 생애를 객관적으로 나열하거나 교훈을 전달하려고 하는 대신 성인의 삶에 끼어드는 사건과 장면들을 포착해 윤곽을 그리며 가볍고 정확한 터치의 언어로 그 안에 담긴 은총을 전달한다. 짧은 숨결의 문장이 동심원을 그리며 물결처럼 다가와 우리 안에 스며든다. 그 아름다운 문장들이 우리가 배워온 모든 것들의 위계를 불현듯 뒤집어 놓는다.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은 지극히 낮으신 하느님으로 우리 곁에 머문다, 진리는 높은 곳이 아닌 낮은 곳에 있음을. 충족 속에 있기보다 결핍 속에 있음을 느끼게 된다. 영혼의 성장은 몸의 성장과는 반대로 이루어짐으로 어른이 꽃이라면 어린이가 열매임을 우리는 깨닫는다. 그리하여 만나게 되는 것은 기쁨. 어린아이의 순전한 기쁨, 기쁨에 넘치는 사랑이다. “어른스럽고 성숙하며 이성적인 사랑이란 있을 수 없다. 사랑 앞에선 어른이 없으며 누구나 아이가 된다. 완전한 신뢰와 무사태평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의 마음, 영혼의 방치가 있을 뿐. 나이는 합산을 하고, 경험은 축적을 하며, 이성은 무언가를 구축한다. 그러나 어린아이의 마음은 아무 계산도 하지 않고, 축적하지도 구축하지도 않는다. 어린아이의 마음은 언제나 새롭고, 언제나 태초에서 다시 출발해 사랑의 첫발을 떼어 놓는다. 이성적인 사람은 축적되고, 쌓이고, 구축된 사람이다. 그러나 어린아이의 마음을 지닌 사람은 이런 합산의 결과물인 사람과는 반대된다. 그는 자신에게서 벗어나 있으며, 만물의 탄생과 더불어 매번 다시 태어난다. 공을 갖고 노는 바보, 혹은 자신의 하느님에게 이야기하는 성인聖人이다. 동시에 둘 다거나.” “너를 사랑해. 이것이 그가 하려는 말 전부이다. 거기서 어떤 독창적인 책, 작가의 책이 탄생할 수는 없다. 사랑은 전혀 독창적이지 않으니까. 사랑은 작가의 발명품이 아니니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