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은 1936년 비평가 백철에게 추천되면서 "금일 창작의 최고봉"이라는 찬사를 받은 작품 '탁류'를 「조광」에 발표하여 소설가로 등단했다. 그는 1940년대 초반까지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며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잔등', '습작실에서' 등의 대표작을 발표하다가 1941년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해방 후에는 귀국하여 홍명희, 임화, 박태원 등과 함께 활동하였고, 한국전쟁 직전 월북하여 이후의 행적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작품은 미완성작까지 포함해도 열 편 남짓뿐이지만, 배제의 전선이 복잡하게 그어지던 해방 전후에도 엄격한 윤리적 글쓰기를 지향하며 "식민지 시대의 분노와 복수심, 해방의 감격과 무질서를 뛰어넘는 새로운 인간 정신"을 모색하고자 한 허준이 한국의 소설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한국문학전집 허준 중단편선 <잔등>은 허준의 전작을 망라하기보다는 미학적으로 의미 있는 작품을 선하여 수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으며, 중간에 자료가 멸실되거나 연재가 중단된 작품('황매일지', '임풍전 씨의 일기' 등)과 일본어로 발표된 콩트('습작실로부터') 등은 수록하지 않았다. 이번 선집에서는 다양한 판본들의 대조로 텍스트의 정확성을 높였으며, 조선어와 일본어의 이중어문학적 측면과 당시대의 방언을 최대한 살리고자 노력했다. 더불어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석 또한 상세히 달았다. 이 책은 허준 문학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그의 진면목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