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 도서관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다가오는 미래^^ ▶ 도서관의 역사 ▷ 서양의 도서관 ▷ 중국의 도서관 ▷ 대한민국의 도서관 ▶ 공공도서관이 마주하고 있는 도전들 ▷ 사회 변화와 새로운 도전들 ▷ 책과 사서, 도서관 건물이 없는 인텔리전트 도서관의 도래 ▶ 대한민국 도서관 생태계의 현실 ▷ 도서관 현황 ▷ 사서 현황 ▷ 사서 배출 규모와 시스템 ▷ 문헌정보학 커리큘럼 ▷ 한국도서관협회와 사서단체 ▶ 공공도서관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응 전략 ▷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전략 ▷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사서의 전략 ^^2. 책과 사람, 공간의 재해석 ― 서울야외도서관의 실험^^ ▶ 광진정보도서관에서 시작된 도전 ▷ 독서동아리 인큐베이팅 ▷ 도시농업학교 ▶ 왜 서울도서관을 밖으로 끌어냈나? ▷ 도서관 혁신을 위해 서울도서관장에 도전 ▷ 서울야외도서관, 4가지 핵심 실험 ▶ 서울야외도서관이란 무엇인가? ▷ 서울야외도서관은 ‘도서관’이다 ▷ 서울야외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이다 ▷ 서울야외도서관은 ‘야외’도서관이다 ▷ 서울야외도서관은 ‘서울’의 도서관이다 ^^3. 서울야외도서관이 추구하는 가치들^^ ▶ 차별화된 경험과 새로운 독서문화 ▶ 도서관이 제공하는 행정 및 서비스 혁신 ▶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위한 전략 ▶ 서울야외도서관의 브랜드 경영 ^^4. 공공도서관 혁신을 위한 도전 ― 서울야외도서관의 성과^^ ▶ 개념 정립과 5개년 계획의 설계 ▷ 서울광장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 ▷ 도서관 건물을 넘어선 건물 없는 도서관 ▷ 서울야외도서관을 통한 공공도서관 혁신의 실험 ▷ 5개년 계획으로 도전한 서울야외도서관 ▶ 서울야외도서관, 4년간의 발자취 ▷ 2022년 서울야외도서관 : 서울야외도서관의 시작 ▷ 2023년 서울야외도서관 : 본격적인 ‘건물 없는 도서관’ ▷ 2024년 서울야외도서관 : 서울야외도서관 브랜드 아이덴티티 도입 ▷ 2025년 서울야외도서관 : ‘힙독클럽’ 출범, 시대적 흐름에 반응하는 도서관 ▷ 힙독클럽(Hip+讀+클럽) ▷ 서울야외도서관의 성과 : 서울야외도서관 4년의 수상 기록 ▶ 서울야외도서관 공간이 가진 이름과 의미 ▷ 책읽는 서울광장 ▷ 광화문 책마당 ▷ 책읽는 맑은냇가 ▶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도적 고민 ▶ 다 풀어놓지 못한 주제들 ▷ 공공특화도서관 ▷ 도서관 산업 개념의 도입 ^^글을 마치며^^ ▷ 독서문화 진흥 정책의 중요성 ▷ 우리 민족의 독서 전통, 독서당 ▷ 책 읽는 시민이 답이다! ▷ Reading Seoul, Leading Seoul! ▷ ‘Reading Korea, Leading Korea’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