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말 시작하며_ 로지컬 씽킹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서장. 로지컬 씽킹이란 로지컬 씽킹을 활용하면 업무가 어떻게 달라질까 - ‘주장’과 ‘근거’를 의식하면 수상한 점이 보인다 - 로지컬 씽킹, 일과 인간관계에 도움을 주는 만능 스킬 로지컬 씽킹에 효과적인 ‘두 가지 사고의 도구’ - 사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역적 사고법 - 연역적 사고법 전개 시 주의할 점 - 사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귀납적 사고법 - 귀납적 사고법 전개 시 주의할 점 1장. 이슈 설정하기 행동에 앞서 ‘지금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 사건 현장의 이슈는 무엇인가 - 되돌아보기를 통해 이슈 설정에 능숙해질 수 있다 끊임없는 이슈 의식, 과제 해결로 나아가는 지름길 - 어떤 상황에서도 이슈에 집중한다 - 이슈를 계속해서 의식하는 방법 2장. 구조 만들기 구조란 무엇인가 - 구조는 3개를 기준으로 만든다 - 로직 트리로 머릿속을 정리하라 - 구조를 만드는 단계 - 코난의 추리가 늘 설득력 있는 이유 - 구조를 만들지 못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비즈니스 현장에서 기존의 구조 활용하기 - 비즈니스 프레임워크 활용 시 주의할 점 - MECE로 분해하기 - 코난이 분해를 활용한 예시 3장. 초기 가설 세우기 초기 가설이란 - 초기 가설의 중요성 - 초기 가설을 세우는 첫 단계 - 나만의 지식 서랍 채우기 - 초기 가설에 구체성 부여하기 초기 가설 세울 때 주의할 점 - ‘Why? True?’ 활용법 - ‘숨은 전제’를 놓치지 않으려면 4장. 초기 가설을 검증하고 진화시키기 초기 가설 검증하기 - 분해를 통해 초기 가설을 확장하라 - 초기 가설에 유일무이한 정답은 없다 - 가설 검증 우선순위 정하는 방법 초기 가설 진화시키기 - ‘1차 데이터’의 중요성 - 과감한 해석으로 강고한 가설 세우기 5장. 결론 내리기 결론을 내릴 때는 2단계로 - 지나친 확신과 자신이 가진 정보 의심하기 - 어떤 경우에도 이슈와 구조 설정하기 - 각 구조의 결론 도출하기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