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불교

도업
28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5 제1강 불교의 종교적 이해 17 1. 불교란 무엇인가?·17 1) 불교의 핵심 구성인 불·법·승·17 2) 신앙·19 3) 종교·21 2. 불교의 종교적 특징·21 ??문제 풀어보기 28 / <생각해 봅시다> 32 제2강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 33 1. 팔상성도에 대한 이해·33 2.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이해·55 ??문제 풀어보기 63 / <생각해 봅시다> 68 제3강 세상의 이치는 무엇인가 69 - 연기법 1. 불교에서 말하는 법의 의미·69 2. 연기법 - 열반으로 인도하는 진리·71 3.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인 십이연기법·75 4.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의인 삼법인·84 1) 제행무상: 조건에 의해 생겨난 모든 현상은 영원하지 않다·84 2) 제법무아: 모든 법들은 영원한 자아가 없다·85 3) 일체개고: 조건에 의해 생겨난 모든 현상은 괴로움이다·86 4) 열반적정·87 ??문제 풀어보기 90 / <생각해 봅시다> 97 제4강 성스러운 삶에 이르는 4가지 진리 99 - 사성제와 팔정도 1. 사성제: 성스러운 네 가지 진리·99 2. 도성제의 여덟 가지 실천방법(팔정도): 팔정도는 무엇이며, 사성제와의관계성은?·111 ??문제 풀어보기 117 / <생각해 봅시다> 121 제5강 불교의 존재론은 무엇인가 123 - 삼과설 1. 오온설이란 무엇인가?·123 2. 4가지 원소인 사대·129 3. 12장소인 십이처설·130 4. 십팔계설이란 무엇인가?·131 5. 삼계사생설·132 1) 삼계·132 2) 사생·133 ??문제 풀어보기 136 / <생각해 봅시다> 140 제6강 우리의 삶은 어떻게 계속되는가 141 - 업과 윤회 1. 업설의 기원과 의미·141 2. 업설의 특징·143 3. 열 가지 악업과 열 가지 선업·144 4. 업설의 취지·146 5. 윤회설·147 1) 윤회의 의미·147 2) 무아의 윤회(불교)와 자아의 윤회(힌두교)·147 3) 윤회의 내용·148 4) 윤회의 원인·149 5) 인간의 삶과 죽음·149 ??문제 풀어보기 152 / <생각해 봅시다> 157 제7강 번뇌의 원인은 무엇인가 159 - 삼독과 사종탐 1. 삼독의 의미·159 1) 탐(貪: 욕심)·163 2) 진(瞋: 성냄, 분노)·165 3) 치(痴: 어리석음, 그릇된 견해)·167 2. 탐욕의 4가지 성질인 사종탐·168 3. 5가지 장애, 삼독의 또 다른 표현인 오개·169 ??문제 풀어보기 171 / <생각해 봅시다> 176 제8강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177 - 대승불교의 실천수행법인 육바라밀 1. 부파불교·177 2. 대승불교·178 3. 대승불교의 실천덕목인 육바라밀·180 ??문제 풀어보기 188 / <생각해 봅시다> 195 제9강 부처님은 어떻게 중생을 교화하였을까 197 1. 사섭법: 네 가지 포용방법·197 2. 사무량심·202 3. 해탈(=열반)·207 4. 술에 대하여 - 술을 마시면 생기는 36가지 허물·210 ??문제 풀어보기 213 / <생각해 봅시다> 216 제10강 불전사물과 불상의 수인 217 1. 불전사물이란?·217 2. 수인·219 ??문제 풀어보기 226 / <생각해 봅시다> 229 제11강 한국 사찰문화에 담긴 의미를 찾아서 231 - 사찰과 심우도, 공양 1. 사찰·231 1) 탑(스투파)·231 2) 사찰 건축물·233 2. 심우도: 법당 밖의 벽화 십우도(심우도)에 담긴 의미는?·233 3. 공양·244 1) 발우 공양·244 2) 육법 공양(향·등·꽃·과일·차·쌀)의 의미·247 3) 향과 초를 부처님 전에 밝히는 의미·248 ??문제 풀어보기 249 / <생각해 봅시다> 254 제12강 불교의 효孝사상 255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제1분. 법회를 이루다(서분 - 이 경의 연유)·256 제2분. 마른 뼈의 가르침(정종분)·257 제3분. 잉태하였을 때의 고생·259 제4분. 낳으시고 기르신 은혜·261 제5분. 불효·271 제6분. 보은의 어려움·274 제7분. 불효의 과보·277 제8분. 은혜 갚는 길·277 제9분. 경의 이름(유통분)·278 ??문제 풀어보기 280 / <생각해 봅시다> 282 참고문헌·283 ??문제 풀어보기 정답·28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불교에 첫걸음을 내딛는 사람을 위한 불교의 기본 상식과 교양, 문화에 대한 간결하고도 알기 쉬운 설명서! 1. 불교는 대체 어떤 종교일까? 불교의 기본 가르침은 뭐지? 불교는 세상과 인간을 어떻게 바라볼까? 불교가 지향하는 삶의 모습은 무엇일까? 우리 주변의 불교문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 의미는 뭘까? 일반인들이 불교에 대해 흔히 가질 수 있는 물음들이다. 세상에는 많은 종교가 있지만, 한국인들의 무의식 속에 깊이 뿌리내린 종교를 말하라면 단연 불교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불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심지어 불자들에게조차 불교는 여전히 미지와 신비의 세계로 남아 있는 것은 아닐까? 이는 그만큼 불교의 세계가 방대하고 심오하여, 스스로의 힘으로 그 전모를 파악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반증일 것이다. 여기서 불교에 대한 기초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면서 정확한 입문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책은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 특히 우리 사회의 젊은이들에게 불교에 대한 기본적인 교리 내용과 역사, 그리고 불교문화 전반을 소개하는 입문서라 할 수 있다. 저자는 대학에서 신입생에게 교양과목을 강의해 왔는데, 불자가 아닌, 생전 처음 불교라는 것을 접하는 학생들에게 불교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민과 접근이 필요했다. 이 책은 그러한 과정과 노력의 결과물이다. 다시 말해 불교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이 되는 내용을 불자가 아닌 학생들과 일반인들 누구라도 친근하고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입문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이 책이다. 2. 이 책은 모두 12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제1강은 이 책의 서론 격으로, 종교로서의 불교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제2강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다룬다. 제3강은 세상의 이치를 설명하는 연기법을, 제4강은 성스러운 삶에 이르는 4가지 진리(사성제)를 다루는데, 이 두 개념은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교리이다. 제5강은 불교의 존재론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삼과설이고, 제6강은 업과 윤회에 대한 설명이다. 제7강은 삼독과 사종탐에 대한 이해이고, 제8강은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그리고 대승불교의 실천수행법인 6바라밀에 대한 이해이다. 제9강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중생 교화를 경전 속의 일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10강과 제11강, 제12강은 불교문화상식에 관한 것으로, 불전사물과 불상의 수인, 사찰과 심우도, 불교의 효孝사상 등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이 책의 큰 특징으로는, 매 주제가 끝날 때마다 ‘문제풀이’를 각 장의 말미에 배치함으로써 공부한 내용을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자신의 불교 실력을 확인하는 쏠쏠한 재미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3. 이렇듯 이 책은 대학생들을 위한 교양서적의 역할을 위해 저술되었지만, 학생이 아닌 일반인들에게도 불교에 대한 기본적인 교리 상식과 불교문화 이해를 위해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불자들에게는 그간 자신이 배운 불교 전체의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하는 기회도 제공해준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