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담은 그림

채운 · 인문학
31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프롤로그_흩어진 마음을 이제 스스로 돌볼 시간: 파울 클레, <고통에 봉헌된 아이> 1장_오늘 당신의 삶이 피로한 이유 몹시 피로한 순간이 찾아왔을 때 : 앤드루 와이어스, <크리스티나의 세계> 마음이 불편하다, 마음이 아프다 : 움베르토 보초니, 지금 이대로 행복할 수 있을까? : 외젠 들라크루아,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 나는 정말 나 자신으로 살고 있을까? : 에드워드 호퍼, <객실> 변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그것이 사랑 : 오귀스트 로댕, <키스>·에드가르 드가, <벨렐리 가족> 우리는 믿고 싶은 것만을 믿는다 : 르네 마그리트, <자연의 은총>·에드거 루빈, <루빈 의 잔> 2장_나를 떠나서 나에게 묻기 나의 습관, 세상의 습관에 얽매이지 마라 : 조르주 브라크, <바이올린과 주전자> 길을 잃지 않고서는 길을 찾을 수 없다 : 조지프 말러드 윌리엄 터너, <눈보라> 당신이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빈센트 반 고흐, <별이 빛나는 밤> 그들이 또 다른 내 모습이다 : 르네 마그리트, <복제되지 않는> 왜 똑같은 능력자가 되려고 할까? : 마리솔 에스코바르, <여인과 강아지> 우리가 붙들어야 하는 건 ‘동심’이다 : 파울 클레, <이 별이 구부리는 법을 가르친다> 3장_지금, 나 자신으로 살기 누구에게나 자기 몫의 삶이 있는 법 : 카라바조, <나르시스> 넘어진 순간은 삶의 ‘재’일 뿐일까? : 에드바르 뭉크, <재> 순간의 선택이 정말 미래를 결정할까? : 장 뒤뷔페, <풍경> 우리는 서로에게 서로의 선물이다 : 파울 클레, <파르나수스를 향하여> 상처 없는 삶은 없다 : 프리다 칼로, <헨리 포드 병원> 우리는 매일 죽고, 매일 다시 태어난다 : 클로드 모네, <수련이 핀 연못>·클로드 모네, 4장_당신의 삶을 실험하라 당신만의 패스워드를 만들라 : 조지 시걸, ’상품’이 될 것인가, ‘선물’로 살 것인가 : 클래스 올덴버그, <모든 것이 들어 있는 두 개의 치즈버거> 나를 떠나 너에게로 가는 법 : 앙리 마티스, <대화> 다시 실패하라, 더 멋지게 실패하라 :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론다니니의 피에타> 우리가 살기 위해, 우리 아닌 모든 것이 필요하다 : 바실리 칸딘스키, 에필로그_삶과 죽음 사이에 놓인 ‘자신’과 대면할 수 있기를 : 빈센트 반 고흐, <자화상>·에드바르 뭉크, <침대와 시계 사이의 자화상>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클레부터 올덴버그까지, 장자부터 니체까지 당신을 굳건히 지켜줄 그림 속 철학 앤드루 와이어스의 <크리스티나의 세계>. 그림 속 들판에 주저앉아 언덕 위의 집을 바라보는 크리스티나의 뒷모습을 보며 드는 생각은 저마다 다를 것이다. 철학자 채운은 등이 휠 것 같은 여인의 뒷모습에서 현대인의 ‘피로’를 느낀다고 말한다. 주저앉아서도 언덕 위의 집을 갈망하는 크리스티나의 모습은 턱밑까지 피로가 차 있으면서도 상위 몇 퍼센트에 들기 위해 아등바등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흡사하다. 그런데 철학자는 느닷없이 이런 질문을 던진다. 도대체 언덕 위의 집은 왜 올라 가야하지? 그것은 “자신의 믿음과 욕망에 대해 어떤 질문도 하지 않은 채” 무조건 목표를 향해 나아가려고만 하는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철학을 담은 그림》은 고전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미술 작품을 매개로 동서양의 철학적 사유를 통해 삶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이끌어내는 책이다. 저자는 파울 클레부터 클래스 올덴버그까지, 각기 다른 시간을 살았던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장자의 사상을, 니체의 철학을 전하며 각자의 삶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해석을 이끌어낸다. 저자가 크리스티나를 향해 던진 질문은 우리의 삶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이끄는 질문인 것이다. “우리는 고통에 대한 다른 감각을 배워야 한다” 어떤 위로도 소용없는 당신에게 권하는 책 한때 화가를 꿈꾸기도 했던 저자는 근현대미술사를 공부했고 근현대에 대한 탐구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고대에 대한 공부로 이어졌다. 현재 ‘고전비평공간 규문(奎文)’(http://qmun.org)의 연구원(대표)인 저자는 동서양의 철학과 역사를 공부하고 강의하며 여러 동서양 고전 연구 모임을 이끌어가고 있다. 지치지 않고 평생 고대를 탐험하는 것이, 동서양의 언어를 가로지르는 공부를 통해 각각의 사유와 예술에 새로운 뉘앙스를 부여하는 것이 앞으로의 바람이라고 말하는 저자는 이 책에서 시공간을 가로지르는 그림 속 철학을 우리의 삶과 연결 지어 놓는다. 저자는 그림을 고르는 데 신중했다. 저자가 이 책에서 가장 먼저 보여주는 그림은 피부가 서서히 굳어가는 병을 앓은 클레가 발병 무렵 그린 <고통에 봉헌된 아이>다. 그림 속 아이는 “여기저기 긁히고 얼룩진” 얼굴로 입가에 옅은 미소를 짓고 있는데, 저자는 이 그림을 “클레의 또 다른 자화상” 같다고 여긴다. 손이 굳어가는, 화가로서는 치명적인 병을 얻은 클레가 “고통에 허우적거리며 호들갑을 떠는 대신” 그림 속 아이로 “고통이 삶의 근원임을 깨달은 자의 미소”를 표현했다는 게 저자의 해석이다. 사실 이 그림은 저자가 지인 K에게 전하는 그림이기도 하다. 저자는 남부러울 것 없어 보이는 지인 K가 정처 없이 떠도는 마음을 다독이기 위해 돈도 시간도 아까워하지 않으며 ‘높은 경지’에 이른 사람을 찾아다녔다는 에피소드를 전한다. 지인 K가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깨달은 건 “나 아닌 누구도 나를 구원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결국 저자가 K에게, 그리고 이 책을 읽는 수많은 K들에게 클레의 <고통에 봉헌된 아이>를 통해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사는 게 고통스럽다면, 위로와 의지처를 찾아 헤맬 일이 아니라 고통에 대한 다른 감각과 사고를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걸 스스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를 떠나야 나를 찾을 수 있다” 그림 속 철학을 통해 나와 마주하는 법 저자는 “우리가 구축한 거대한 환상”을 깨는 것으로 시작해서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습속과 우리 자신으로부터 떠날 수 있는지, 그리하여 어떻게 다시 우리 자신에게 이를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이를 테면 저자는 로댕의 <키스>가 구축한 영원한 사랑에 대한 환상을 서로 시선이 마주치지 않는 드가의 <벨레리 가족>으로 여지없이 깬다. “어떤 것도 영원치 않다는 경험적 앎”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변치 않는 진정한 사랑”을 꿈꾸지만 그것은 우리가 구축한 환상일 뿐, 변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랑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일깨우는 것이다. 우리가 믿어온 환상이 깨지는 순간, 대체로 그 모습은 끔찍하다. 그러나 저자는 여기서 도망치지 말고 그 끔찍함과 마주하라고 말한다. “내가 구축해온 환상을 남김없이 부수는 용기”를 발휘할 때만, 우리는 비로소 “사랑하면 사랑하고, 헤어지면 죽을 만큼 고통스러워도 그뿐, 상대를 원망하거나 자신을 비하하거나 ‘진정한 사랑’을 찾아 헤매는 어리석은 짓”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에 대한 환상 외에도 우리는 자신에 대한 환상, 관계에 대한 환상, 돈에 대한 환상, 가족에 대한 환상, 국가에 대한 환상 등 여러 가지 환상 속에서 살아간다. 그런데 이러한 환상은 사랑에 대한 환상과 다르지 않다. “지속성과 불변의 정체성을 통해 불안한 세상에서 안정성을 보장받고 싶어 한다”는 맥락에서 우리가 구축한 환상의 메커니즘은 모두 비슷하다. 결국 우리가 환상을 깬다는 것은 “아름답고 행복한 만큼 고통스럽고 잔인하고 무상한 것으로서의 삶, 그런 ‘혼란의 도가니’로서의 삶”을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저자는 이러한 현실을 긍정하는 사람만이 “삶을 살아낼 수 있다”고 말한다. 이제 저자는 그림 속 철학으로 세상의 습속에 굳어진 우리가 자신을 떠나 우리 자신에 이르도록 이끈다. 터너의 <눈보라>를 통해 “목적을 향해 가고 있다는 건 착각일 뿐, 나를 살아가게 하는 건 목적이 아니라 뜻하지 않게 마주치는 사람과 사건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통해 “과거가 현재를 규정하는 게 아니라 내가 마주한 현재가 과거에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그런가하면 카라바조의 <나르시스>를 통해 ‘이상적 자아’가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살아가는 유일한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도록 이끌고 뒤뷔페의 <풍경>을 통해 가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을 놓고 우리가 걷고 있는 삶의 길에 마음을 다하도록 이끈다. “아픔의 순간마저 ‘나’로 사는 것, 그 삶이 예술이다” 저자는 그동안 우리가 당연하다고 믿어왔던 세상의 가치와 생각을 다르게 보게 함으로써 삶의 진실을 깨닫게 하고 ‘나 자신에 집중’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그림은 다른 가치, 다른 생각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훌륭한 도구가 된다. 이 책의 마지막에 이르러 저자는 고흐의 자화상과 뭉크의 자화상을 나란히 보여주며 세계와 자아에 대해 환상을 구축하지 않았던, 나 자신으로 살며 실패하고 시도하고 다시 실패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살았던 그들의 삶이야말로 진정한 예술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그리하여 이 책, 스물여덟 점의 그림은 삶에 대한 묵직한 물음과 함께 우리의 마음속에 남는다. 삶에 대한 철학을 그림과 함께 간직할 수 있다는 것, 그것이 이 책의 미덕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