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철학에 길을 묻다 플라톤, 진리를 향한 정신적 열망 · 19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VS 르뇨 〈쾌락의 팔 안에서 알키비아데스를 끌어내는 소크라테스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45 - 데카르트 《성찰》 VS 렘브란트 〈철학자의 사색〉 니체, 이성이라는 우상을 파괴하다 · 73 - 니체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VS 뭉크 〈니체의 초상〉 화이트헤드, 진정한 이성이란 무엇인가? · 99 - 화이트헤드 《이성의 기능》 VS 소롤라 이 바스티다 〈사마로 박사의 연구 2부 문화의 사려 깊은 매력 말리노프스키, 문화와 제도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127 - 말리노프스키 《미개사회의 성과 억압》 VS 루소 〈꿈〉 푹스, 성 풍속은 사소한 문제일 뿐인가? · 151 - 푹스 《풍속의 역사》 VS 부셰 〈쉬고 있는 소녀〉 벤야민, 무한 복제가 가능한 시대의 예술 · 173 -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VS 다빈치 〈최후의 만찬〉 보드리야르, 이미지가 지배하는 사회 · 195 -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VS 마네 〈올랭피아〉 부르디외, 소비문화의 내밀한 속을 들여다보다 · 221 - 부르디외 《혼돈을 일으키는 과학》 VS 보초니 〈현대의 우상〉 3부 살맛 나는 사회를 위하여 톨스토이, 인간의 얼굴이 사라진 법을 고발하다 · 245 - 톨스토이 《부활》 VS 도미에 〈변호사〉 베버, 관료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 273 - 베버 《경제와 사회》 VS 다비드 〈테니스코트의 서약〉 오르테가 이 가세트, 대중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다 · 301 - 오르테가 이 가세트 《대중의 반역》 VS 슬론 〈선거의 밤〉 프롬, 인간의 역사는 자유를 확대해왔는가? · 325 -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VS 들라크루아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러셀, 여가 확대는 인류의 가장 현명한 판단 · 351 -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VS 벨로스 〈녹아웃〉 4부 경제를 생각한다 로크, 사적 소유는 정당한가? · 379 - 로크 《통치론》 VS 프리스 〈부와 빈곤〉 하이에크, 신자유주의를 선언하다 · 403 - 하이에크 《자유헌정론》 VS 호가스 〈선거: 투표〉 폴라니, 시장의 신화에 도전하다 · 429 -폴라니 《인간의 경제》 VS 비어드 〈시장의 황소와 곰〉 리프킨, 노동 정신에서 놀이 정신으로 · 453 - 리프킨 《소유의 종말》 VS 레제 〈건설자들〉 참고문헌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