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데부

김선우 · 에세이
24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3.3(6명)
0.5
3
3.5
5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6명)
2022년 9월 서울옥션에서 조르주 쇠라의 그림을 오마주한 <모리셔스 섬의 일요일 오후> 작품이 1억 1,500만 원에 판매되어 일약 스타덤에 오른 화가 김선우. 일명 ‘도도새 화가’로 잘 알려진 그의 첫 에세이가 2024년, 독자들을 찾아왔다. 김선우가 그리는 ‘도도’는 천적이 없는 자연환경에 적응해 나는 법을 잊어버린 새. 마다가스카르 동쪽의 모리셔스라는 섬에 서식했던 이 새는 인간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1681년 결국 멸종을 맞이했다. 김선우 작가는 이 도도새를 그림으로써 “당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포기하지 말고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살라”라는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는 중이다. 독자들에게 선보이는 첫 번째 책 는 화가 김선우가 청춘의 시절 동안 보고 듣고 느끼고 경험했던 기록이다. 이 책의 타이틀 ‘랑데부’는 운명적인 만남, 삶을 바꾸는 순간의 중요함을 의미한다. ※ 누드 사철 제본 도서입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별점 그래프
평균3.3(6명)
0.5
3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작가의 일 — Bon voyage — 안부 — 풍경 — 고독을 위하여 — 지도 앞에서 — 작가노트 — 별을 바라보는 일 — Passing place — 인간을 사랑하는 일 — 떠나는 일 — 랑데부 — 선택 — 그런 계절 — 순례자 — 약속 — 일기 — 그림을 사랑하는 사람 — 보통의 삶 — 영원한 하루 — 번역과 고백 — C’est la vie — 계절 이별 — 울음의 의미 — 건배사 — 이카로스의 마음 — LIFE IS ONLY ONE — 서툰 안부 — LABOREMUS — 처세술 — 돌아보게 하는 일 — INTJ의 대답 — 달리기 — 나는 언제 꺾이게 될까 — 어른이 해야 할 일 — 바른생활을 하는 일 — 무역풍의 냄새 — 꿈꾸는 일 — 1초의 정의 — 통역 — 여행감각 — 다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가나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연 최연소 화가, 2024년 ‘MZ 세대에게 가장 인기 높은 작가’ 김선우가 한 줄 한 줄 그려낸 아름다운 힐링 에세이! 2022년 9월 서울옥션에서 조르주 쇠라의 그림을 오마주한 <모리셔스 섬의 일요일 오후> 작품이 1억 1,500만 원에 판매되어 일약 스타덤에 오른 화가 김선우. 일명 ‘도도새 화가’로 잘 알려진 그의 첫 에세이가 2024년, 독자들을 찾아왔다. 김선우가 그리는 ‘도도’는 천적이 없는 자연환경에 적응해 나는 법을 잊어버린 새. 마다가스카르 동쪽의 모리셔스라는 섬에 서식했던 이 새는 인간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1681년 결국 멸종을 맞이했다. 김선우 작가는 이 도도새를 그림으로써 “당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포기하지 말고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살라”라는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하고 있는 중이다. 독자들에게 선보이는 첫 번째 책 는 화가 김선우가 청춘의 시절 동안 보고 듣고 느끼고 경험했던 기록이다. 이 책의 타이틀 ‘랑데부’는 운명적인 만남, 삶을 바꾸는 순간의 중요함을 의미한다. 무중력인 우주공간에서는 극도로 미세한 조정을 거쳐야만 서로가 다치지 않고 온전히 만날 수 있지. 요컨대, 서로의 상대속도를 완전히 같게, ‘0’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거야. 그 찰나의 번뜩이는 순간에, 광막한 별들이 우리를 둘러싼 우주의 한가운데에서, 숭고할 만큼 고요했던 그 순간에, 우리는 만나게 된 거야. - <저자의 말> 중에서 고독한 하늘의 별을 갈망하다 어둠을 밝게 비추는 별이 된 화가 김선우의 이 세계를 따스하고 아름답게 건너는 법! 2024년 한국의 큐레이터 33인이 선정해 ‘MZ 세대에게 인기 높은 작가’ 중 한 사람으로 뽑힌 김선우는 나는 법을 잊어 멸종되어버린 도도새를 소재로 하여 현대인의 꿈과 가능성, 자유에 대한 이야기를 그려내는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가나아트센터에서 전시회를 연 최연소 화가이기도 한 그는 <Astrolabe>(2023, OKNP) 외 23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생의찬미>(2022,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In bloom>(2021, 하이트컬렉션), <일현트래블그랜트>(2015, 일현미술관)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해 다양한 기관 및 컬렉터들에게 소장되어 있다. ‘도도새’라는, 이미 오래전에 멸종되어 사라져버린 새를 그려온 지 10여 년이 흘렀습니다. 결코 짧지 않은 시간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그 시간 동안 ‘작가’라는 직함을 지켜냈다는 의미이기도 하겠습니다.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기쁘고 슬프고, 때론 주저앉고 싶을 정도로 절망적이었던 순간도 있었지만, 그 모든 시간들을 되돌아보는 지금, 저는 제 자신에게 “꿈을 지켜왔다”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 <저자의 말> 중에서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에 가려 미처 풀어내지 못했던 여행, 삶과 예술, 그리고 기쁜 사랑! 에서 김선우는 무명 시절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화가로서의 꿈을 이루기 위해 지나온 20대와 30대의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혼자의 노력만으로 헤쳐 나와야 했던 남루했던 20대, ‘도도새’라는 운명적인 존재를 만나게 된 시간,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된 현재까지. 그의 시간 속에서 가장 눈부시게 남아 있는 을지로 철공소 골목의 허름한 작업실, 여행길에서 추억을 더듬으며 살아가는 노년의 카페 주인, 2미터 높이로 쌓이는 눈의 한가운데를 산책하던 어느 겨울날, 순례자의 목적지를 앞에 두고 어느 숲에서 뜨거운 눈물을 흘렸던 시간들. 그는 기억 속에 강렬하게 각인된 시간들을 반추하며, 자신이 지나쳐온 모든 타인들과 순간들이 예술가로서뿐만 아니라 한 존재로서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시켰음을 고백한다.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듯 격변했던 10여 년의 시간을 되돌아보며 써내는 담담하면서도 솔직한 작가의 이야기는 예술에 대한 헌신, 사랑에 대한 굳건한 신뢰, 여행에 대한 찬미로 충만하다. 때론 놀랍고, 때론 인상적이며, 때론 안타깝고 슬프고, 때론 감동적인. 그에게 삶이란 떠나고 돌아오는 여정의 순환이다. 이 책은 글로 써내려간 그의 첫 번째 자화상이다. 저는 그다지 말주변이 없어 재미있는 농담을 하거나, 오래도록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는 일에는 서툽니다. 그러나 홀로 쓰고 지우기를 수없이 반복하는 동안 남겨진 문장과 성숙한 침묵을 남기는 일, 그 침묵이 전하는 세상의 이야기들을 읽는 일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모든 언어적 한계로부터 벗어나 캔버스 위에서 상상의 자유를 부여하는 일을 사랑합니다. 저는 그 일로 하여금 서로의 삶 속에 수많은 새로운 이야기들이 전해지기를 갈망하는 사람입니다. 이러한 마음들이 당신에게 전해지기를 바랍니다. - <저자의 말> 중에서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