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쟁과 평화의 구조에 대한 아시아적 전망의 오디세이│책을 펴내며
제 1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과 미중 갈등 그리고 한반도(2023)
1.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미중관계의 전제로서의 미일연합
2. 전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성립 : 냉전과 탈냉전을 관통하는 연속성
3. 2000년대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진화
4. 대분단체제 제3국면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5. 경직화하는 양극적 동맹체제에서 미일동맹과 한국의 선택
6. 가야 했지만 가지 않은 길
7. 맺는말 : 한반도 평화의 위기는 문명적·생태적 위기
제 2 장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의 역사인식과 동아시아(2023)
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한반도
2.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인간적 희생
3. 미국의 대일본 원폭사용 결정의 과정과 동기
4. 원폭과 전쟁종결의 역사적 인과(因果)
5. 원폭투하 사태에 대한 천황의 책임과 일본사회 내부 반전(反戰)의 문제
6. 전략폭격의 반인도성과 그 절정으로서의 원폭
7. 원폭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시선들
8. 원폭사용을 배제했을 때 역사의 향방에 관한 인식
9.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폐쇄회로와 히로시마·나가사키
제 3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신냉전, 그리고 그 너머(2022)
1. 대분단체제로 바라본 전후 동아시아
2. 탈냉전 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지속 : 3차원적 긴장의 재충전
3. 탈냉전기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제1국면과 제2국면
4. 2010년대 말 이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제3국면과 러시아-서방의 신냉전
5. 제3국면이 동아시아 평화에 제기하는 세 가지 도전
6. 미중 패권경쟁 속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논리들과 대안의 사고
7. 동아시아 사회들의 연결된 운명과 세 가지 선택
제 4 장 한반도 정전체제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평화체제 전환의 요건(2020)
1. 전후 동아시아질서의 구성과 한국전쟁의 동아시아적 맥락
2. 정전협정과 제네바회의에서 한국과 인도차이나
3. 한국 정전협정과 베트남 평화협정 무력화와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4. 한반도 정전체제,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그리고 미국 중심 세계체제
5. 냉전기 대분단체제의 타협국면 전환과 한반도 정전체제 변화의 기회와 좌절
6. 탈냉전 30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한반도 정전체제의 지속
7. 오바마 행정부와 북한 핵무장의 질주(疾走)
8. 2018년 한반도의 봄과 겨울 : 4·27 판문점선언과 6·12 싱가포르선언
9. 하노이회담 실패는 어떻게 준비되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