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구술사와 민중 생애사》 1. 민중 개념과 계보 2. 민중 생활과 구술 생애사 |제1장| 시대 배경과 공간 조건 1. 시공간의 제약 2. 일과 생계 3. 재생산과 교육 기회 4. 빈곤과 결핍 |제2장| 가족과 젠더 1. 가족의 해체와 이산 2. 아버지의 부재 3. 가족주의와 가부장제 4. 남녀 차별과 젠더 |제3장| 성과 사랑, 결혼 1. 성과 인종, 계급, 권력의 교차 2. 자유로운 성과 친밀함의 이상과 역설 3. 결혼의 실제와 양상 |제4장| 의식의 형태와 층위 1. 전통과 신성: 미신 2. 전통과 신성: 속설ㆍ통념 3. 전통과 신성: 전설과 설화 4. 근대와 세속: 종교 5. 근대와 세속: 신념과 윤리 6. 근대와 세속: 이념과 정치 《제2부 근대화 초기 기록 서사와 민중》 1. 기록 서사의 형성과 전개 2. 동아시아와 한국에서 기록 서사와 르포 |제5장| 근대화 초기 기층 민중의 현실과 빈곤 1. 기층 민중의 내용과 서민의 얼굴 2. 빈곤의 효과와 집단 심성 |제6장| 기층 민중의 생계와 가족의 생존 전략 1. 가계와 빈곤의 실상 2. 결핍과 빈곤에서 살아남기 3. 가족의 생존 전략과 젠더 불평등 |제7장| 민중 생활에서 노동과 기술 1. 기술의 내용과 특성 2. 기술의 동기와 계기 3. 민중 기술의 현실과 생계 4. 기술의 이중성과 의미 맺음말 주 참고문헌|참고자료|찾아보기 수록 도판 크레디트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총서 ‘知의회랑’ 총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