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철학의 역사

스티븐 P. 슈워츠
49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1(7명)
0.5
4
5
평가하기
4.1
평균 별점
(7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분석철학의 역사』는 영미 분석철학의 모든 주요 측면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해 포괄적으로 개관하고 있다.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G, E. 무어의 씨 뿌리는 작업에서 시작함으로써 스티븐 P. 슈워츠는 이미 언급한 인물들 외에 비트겐슈타인, 카르납, 콰인, 데이비드슨, 크립키, 퍼트넘, 롤스,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을 포함하여 분석철학의 주요 인물들과 학파들을 망라해 다룬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 4.1(7명)
0.5
4
5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옮긴이의 말 ? 7 지은이 서문 ? 15 감사의 말 ? 21 서론 분석철학이란 무엇인가? ? 23 지도적인 분석철학자들 ? 29 1 러셀과 무어 ? 33 경험주의, 수학, 기호논리학 ? 33 논리주의 ? 38 한정기술에 관한 러셀의 견해 ? 48 G. E. 무어의 상식철학 ? 57 감각자료에 관한 무어와 러셀의 견해 ? 61 무어와 러셀의 반헤겔주의 ? 65 요약 ? 72 2 비트겐슈타인, 비엔나 학단, 논리 실증주의 ? 83 머리말 ? 83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철학론』 ? 85 역사에 대한 짧은 언급: 비엔나 학단과 그 동맹자들 ? 99 형이상학 제거와 논리 실증주의 프로그램 ? 100 비엔나 학단의 서거 ? 113 논리 실증주의자들의 영향 ? 115 3 논리 실증주의에 대한 반응: 콰인, 쿤, 미국 실용주의 ? 125 머리말 ? 125 검증가능성 유의미성 기준의 서거 ? 127 분석/종합 구별에 대한 콰인의 거부 ? 133 독단 없는 콰인 식 경험주의 ? 138 콰인 이후 미국 실용주의자들: 넬슨 굿맨, 리처드 로티, 힐러리 퍼트넘 ? 158 4 옥스퍼드 일상언어철학과 후기 비트겐슈타인 ? 183 머리말 ? 183 형식주의에 대한 공격―스트로슨과 라일 ? 189 언어철학―오스틴과 비트겐슈타인 ? 195 심리철학―라일, 스트로슨, 비트겐슈타인 ? 209 감각자료 이론에 대한 거부 ? 223 일상언어철학의 유산 ? 232 5 일상언어철학에 대한 반응: 논리, 언어, 정신 ? 241 제1부 형식논리학과 언어철학 ? 242 괴델과 타르스키 ? 242 데이비드슨 ? 249 그라이스 ? 260 카르납―의미와 필연성 ? 266 촘스키 ? 268 제2부 심리철학 ? 272 기능주의 ? 272 기능주의에 대한 반론―박쥐와 중국어 방 ? 279 변칙적 일원론 ? 284 정신적 인과의 문제 ? 287 6 형이상학의 부활 ? 301 양상논리학 ? 301 가능세계 ? 312 표준이 되는 가능세계 개념의 문제 ? 318 통세계 동일성과 동일성 확인 ? 327 존재론적 논증의 양상 버전 ? 336 7 명명, 필연성, 자연종: 크립키, 퍼트넘, 도넬란 ? 349 머리말 ? 349 의미와 언급에 대한 전통적 이론 ? 350 전통적 이론에 대한 크립키와 도넬란의 비판: 이름과 기술 ? 354 자연종 용어 ? 360 새 언급이론의 문제 ? 367 심리철학에 대한 새 언급이론의 적용 ? 372 의미와 언급의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기초 ? 376 8 분석적 전통에서 윤리학과 메타윤리학 ? 383 머리말 ? 383 G. E. 무어의 『윤리학원리』 ? 385 C. L. 스티븐슨의 비인지주의 ? 391 R. M.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 ? 394 실질 윤리학으로의 귀환 ? 398 사실/가치 구분 의문시하기 ? 403 피터 싱어와 동물해방 ? 407 존 롤스의 정의론 ? 412 9 맺는말: 분석철학의 오늘과 내일 ? 433 1980년 이래 분석철학 ? 433 분석철학의 미래는 무엇인가? ? 462 참고문헌 ? 471 찾아보기 ? 48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분석철학의 역사: 러셀에서 롤스까지』를 출간하였다. 이 책은 스티븐 P. 슈워츠의 A Brief History of Analytic Philosophy를 옮긴 것으로, 전북대학교 철학과 한상기 교수가 번역을 맡았다. 이 책은 20세기 분석철학을 논리학, 언어철학,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분석철학의 주역들, 이론들, 운동들, 논쟁들에 대해 명료하게 해설하며, 그것들을 ‘논증’이라는 실을 통해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분석철학자들이나 그들의 사상이 나오게 된 사회적·문화적·정치적 배경에 대해서도 소개함으로써 독자에게 분석철학 주역들의 시대적 배경과 더불어 그들의 숨은 이야기를 전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20세기 분석철학의 문제적 연결과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철학 공부를 해온 독자들에게 익숙한 용어와 문제들에 대한 설명으로 본문을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각 장의 말미에 배경이 되는 단편적 지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간결하게 구성하였다. 제1장의 끝에서는 기호논리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기초적 기호체계에 관한 배경을 제공하였는데, 각 장의 끝에서 주제들을 더 깊이 추구하거나 다른 촉수를 따르는 데 흥미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해설이 달린 ‘더 읽을거리’ 목록을 덧붙이고 있다. 또한, 저자는 이 책에서 논의한 각각의 철학자에 대한 해설을 예증하기 위해 관련 있는 대표적 인용구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철학자들이 자신을 변호하고, 자신의 목소리로 소리를 내는 방식에 대한 느낌을 제시할 기회가 되기를 바라는 의도를 담은 것이다. 이 책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1905년에서 시작하여 1970년대까지 이어지는 연대순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분석철학의 역사는 직접적인 연대기적 발전 과정이 아니며, 현저하게 다른 몇 가지 가닥이 동시에 나타난다. 분석철학의 전통 내에서 이전의 생각들을 비판하고, 재고하고 다시 손질하는 일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며, 버트런드 러셀과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같은 주요 인물들은 이전의 자신들을 공격함으로써 자신들의 견해를 바꾸었다. 저자는 “이 역사서가 최종 결정이 아닌 시작을 의도한 것이며 <분석철학>, <20세기 철학>, <현대철학> 같은 과목의 교재로 적당할 것”이라고 전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몇 가지 이유로 1970년대 이후의 분석철학에 대해서는 아주 간단히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다. 그 한 가지 이유는 분석철학이 역사가 아니라 현재의 사건들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난 30년간의 철학에 대해 역사적 견해를 갖기에는 너무 가까이 있다. 그간 분석철학은 대체로 철학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지만, 이제 한 세기가 넘는 세월에 걸쳐 분석철학 자체가 하나의 독특한 역사를 형성했고, 분석철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멀게 느꼈던 분석철학에 관심을 갖는 독자가 많아지기를,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분석철학의 본성과 활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