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와 해설 성학십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
32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성학십도" 해제 제1부 역주편 "성학십도"를 올리는 차자:도를함께붙임進聖學十圖箚幷圖 제1도태극도第一太極圖 제2도서명도第二西銘圖 제3도소학도第三小學圖 제4도대학도第四大學圖 제5도백록동규도第五白鹿洞規圖 제6도심통성정도第六心統性情圖 제7도인설도第七仁說圖 제8도심학도第八心學圖 제9도경재잠도第九敬齋箴圖 제10도숙흥야매잠도第十夙興夜寐箴圖 제2부 해설편 1. 태극도∥유가의 세계관과 인간관 2. 서명도∥하나의 세계 안에 정립되는 자아 3. 소학도∥일상에서의 함양을 통한 인재교육 4. 대학도∥평천하를 지향한 성인의 공부 5. 백록동규도∥학교교육과 가치의 내면화 6. 심통성정도∥심성 구조와 작동의 원리 7. 인설도∥타자를 사랑하는 마음씨 8. 심학도∥성학의 마음공부를 시작하는 길 9. 경재잠도∥성인됨을 향한 마음의 주재, 거경수양 10. 숙흥야매잠도∥성인이 되어 가는 오늘 하루의 공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열 개의 그림 속에 담아 낸 퇴계 이황의 성리학적 이상 퇴계 이황의 학문을 ‘심학’으로 규정하는 예는 허다하다. 물론 왕양명의 ‘심학’과는 다른 의미이다. 마음에서 시작하여 마음에서 끝을 맺는 양명의 심학과는 달리, 퇴계의 심학에서는 우주의 이치에다 내 마음의 이치를 합일시키는 수양의 측면이 부각된다. 이때의 마음공부는 곧 ‘경敬’의 공부이다. 그래서 퇴계 이황은 달리 ‘경’의 철학자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그의 만년작 『성학십도』에는 경의 철학자로서의 퇴계와 심학으로서의 퇴계학이라는, 퇴계 이황과 그의 철학의 전 면모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성학십도』는 퇴계 이황이 자신의 평생 동안의 학문적 지향을 담아 펴낸 만년의 역작이다. 명종이 승하하고 열일곱 살의 어린 선조가 즉위하여 퇴계의 가르침을 구하자, 퇴계는 늙고 병듦을 이유로 몸을 움직이지 않고 대신 이 글을 올려 어린 왕을 깨우치고자 했다. 성인이 되는 길, 혹은 성왕이 되는 길을 가르쳐 주는 이 저작은 성리학적 이상이 담긴 대표적인 글 열 편과, 그것을 도표화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열 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학십도』 가운데 앞의 다섯 그림은 성리학 일반의 본체론과 공부론의 내용인 데 비해, 뒤의 다섯 그림은 퇴계가 파악한 학문의 본령과 방법 등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는 퇴계학에서의 독특한 마음 구조, 마음공부의 방법 및 자세 등을 보여 준다. 주자학이나 성리학 일반을 벗어난, 퇴계학을 퇴계학이게끔 하는 일관된 하나의 학문체계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마이클 칼튼을 위시한 외국의 퇴계 연구자들은 『성학십도』가 퇴계학의 정수를 담고 있음을 인정하여 이 책의 번역에 심혈을 기울였는데, 국내 학계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성학십도에 관한 연구서들은 이미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런 점 때문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산하 한국사상연구소는 이 책을 펴내는 과정에서 차별화를 위해서라도 각별한 공을 들여야만 했다. 무엇보다도 원도와 번역도를 나란히 실어 그림의 이해를 더욱 쉽게 했고, 제1부에 원문과 번역문을 소개한 데 이어 제2부에 각 도의 해제 내지 연구논문에 해당하는 열 편의 글을 실음으로써 성학십도에의 접근을 좀더 심화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테면 일반 독자와 전문 연구자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쫓고 있는 셈이다. 이 책이 기획의도에 얼마나 부합하였는지는 차치하고, 책을 펼치는 순간 이 책에 들인 공이 결코 범상치 않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