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장 미국의 해외 공보 전략 및 조직의 변화
1. 미국 정부의 해외 공보 전략 변화 및 해외 공보 조직의 변화
2. USIA 설립 이후 극동 아시아 지역의 공보 선전 정책 목표와 예산
2장 광복 이후 6・25 전쟁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공보
1. 광복 이후 6・25 전쟁 휴전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상영
2. 광복 이후 6・25 전쟁 휴전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제작
3장 6・25 전쟁 이후 1960년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상영 활동
1. 휴전 이후 1955년까지 USIA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공보 정책
2. 휴전 이후 1955년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상영 활동
3. 1955년 USIA와 주한 미공보원의 공보 정책 변화와 주한 미공보원의 조직 개편
4. 1956년부터 1959년까지 주한 미공보원의 상영 활동
4장 상남영화제작소의 설립 및 운영: 1952~1959
1. 1950년대 초 상남영화제작소의 설립 과정
2. 1950년대 초반기 상남영화제작소의 활동과 현지화 전략
3. 1950년대 중후반기 상남영화제작소의 이전 논의
4. 1950년대 중후반기 상남영화제작소의 제작 여건과 주요 활동
5. 1950년대 상남영화제작소의 영화 제작 활동이 지닌 역사적 의미
5장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과 경제 원조 기관 간의 협력 관계
1. 주한 미공보원과 경제 원조 기관 간의 업무 협조
2. OEC의 기술 협조 원조: 수원국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구축 지원
3. 1959년 공식적인 ‘ICA–USIA 협정’ 체결
6장 1950년대 중후반기 이후 경제조정관실의 기술 정보 개선 사업
1. 인디애나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리더십 프로그램’
2. 기술 협력 원조 기관인 유엔한국재건단(UNKRA)과 OEC 간의 관계
3. 시러큐스 계약
4. 잉글만 계약
7장 1960년 이후 주한 미경제협조처의 기술 정보 개선 사업
1. 1960년 전후 미국의 대외 원조 정책 변화와 주한 원조 기관의 변화
2. 미국 대외 원조 기관의 커뮤니케이션 관련 원조 사업의 커뮤니케이션 철학
3. 1960년 이후 계약 만료까지 시러큐스 계약 사업의 진행과 계약의 수행성 평가
4. 사업 종료 무렵 워싱턴 ICA의 기술 정보 개선 사업에 대한 평가
8장 1960년대 상남영화제작소의 위상과 폐지 논의
1. 1960년대 초 상남영화제작소의 존립 정당성 논란과 제작 여건
2. 1960년대 초반 상남영화제작소의 제작 상황
3. 상남영화제작소의 미래 전망에 대한 평가와 논의
9장 1960년 이후 1960년대 말까지의 주한 미공보원의 영화 상영 활동
1. 1960년 이후 주한 미공보원 영화 공보의 여건 변화
2. 1960년대 주한 미공보원의 상영 활동
냉전기 주한 미공보원/주한 원조 기관 활동의 역사적 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