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해운대

오선영 · 소설
236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6(17명)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17명)
오선영 두번째 소설집. 부산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서울’이 아닌 ‘인부산’을 하고 싶어 하는 공시생, 지역작가로 불리며 자비출판의 씁쓸함을 견디는 소설가, 부산에 살면서도 해운대 한번 놀러 가기 어려운 사회초년생, 지방대학 출신 시간강사까지. 오선영은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풀어내는 동시에 평범하다고 여겨지는 삶 속에 스민 아픔을 짚으며 우리 사회 보편의 문제를 다룬다. 소설들은 대부분 부산을 배경으로 한다. 저자는 근래 어느 작가들에 견주어 보아도 지역의 숨결을 작품 안에 생생하게 담아낸다. 한발 더 나아가 시간강사, 저소득층 아동 후원, 비정규직, 산업재해, 부동산, 실업, 대학 내 성폭력, 인터넷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제를 세심하면서도 재치 있게 소설 곳곳에 녹여낸다.
별점 그래프
평균3.6(17명)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호텔 해운대 우리들의 낙원 다시 만난 세계 후원명세서 지진주의보 도서관 적응기 바람벽 해설 | 박혜진 작가의 말 수록작품 발표지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인부산 하고 싶다, 인부산.” 생활의 도시 부산, 쌉싸래하면서도 달달한 젊음의 이야기 예리한 감각과 활력 있는 문장으로 빛나는 오선영 두번째 소설집 2013년 부산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제9회 평사리토지문학대상, 제10회 요산김정한창작지원금 등을 받으며 입지를 다져온 소설가 오선영의 두번째 소설집 『호텔 해운대』가 출간되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일곱편의 작품을 엮은 이번 소설집은 부산을 삶의 터전으로 하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서울’이 아닌 ‘인부산’을 하고 싶어 하는 공시생, 지역작가로 불리며 자비출판의 씁쓸함을 견디는 소설가, 부산에 살면서도 해운대 한번 놀러 가기 어려운 사회초년생, 지방대학 출신 시간강사까지. 오선영은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풀어내는 동시에 평범하다고 여겨지는 삶 속에 스민 아픔을 짚으며 우리 사회 보편의 문제를 다룬다. “나와 비슷한 문제를 겪었던 사람을 떠올릴 수 있다는 있다는 점에서 공감대와 위로”를 주는 한편 “문제가 여전히 지속된다는 점에서 그 변화 없음에 대한 한계를 직면”(해설 박혜진)하게 하는 이번 작품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위로를 주는 동시에 각자가 서 있는 곳의 위치와 그 위치를 만드는 구조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할 것이다. "부산이 고향이라니까, 창문만 열면 바다 보이는 줄 안다니까. 그니까 니도 그딴 거 묻지 말라꼬." 『호텔 해운대』 속 소설들은 대부분 부산을 배경으로 한다. 오선영은 근래 어느 작가들에 견주어 보아도 지역의 숨결을 작품 안에 생생하게 담아낸다. ‘인서울’을 꿈꾸는 친구들 사이에서도 자신이 뿌리 내리고 있는 부산에 정착하고 싶다며 ‘인부산’을 말하는 고시생, 부산 사람에게 돼지국밥 먹어봤냐고 묻는 것은 실례이자 진부한 표현이라고 말하면서도 비싼 레스토랑의 메뉴판을 접고 “누가 뭐라캐도 부산 사람한텐 국빱이 최고제”를 외치며 돌아서는 사회초년생(「호텔 해운대」), 사업을 접고 서울의 집값에 밀려 부산으로 거처를 옮겼어도 서울깍쟁이인 척하는 부모와 롯데월드나 63빌딩과 같은 서울의 화려한 단어들로 학교에서 권력을 갖게 되는 딸(「우리들의 낙원」), 유명작가가 되고 싶으면 부산을 벗어나 서울에서 작가활동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서도 또다시 부산행 열차에 몸을 싣는 소설가(「바람벽」) 등등. 부산 사투리를 맛깔나게 구사하는 소설 속 인물들이 가깝고 친근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생활의 중심이 어디든 독자들이 공통적으로 느낄 만한 삶의 고민을 실감나게 대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학교와 직장에서 대중교통으로 한시간이 넘지 않는 곳에서 살고 싶은 마음, 가끔은 고급호텔로 호캉스를 떠나고 싶다는 푸념, 떨어질 줄 모르는 전셋값 속에서 자꾸만 도심에서 멀어지는 거주지, 화려한 단어들로 채워지는 친구의 인스타그램 속 해시태그를 볼 때면 불쑥 솟아오르는 경멸과 부러움은 대다수의 삶에 익숙함으로 스며 있다. 오선영은 한발 더 나아가 시간강사, 저소득층 아동 후원, 비정규직, 산업재해, 부동산, 실업, 대학 내 성폭력, 인터넷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문제를 세심하면서도 재치 있게 소설 곳곳에 녹여낸다. 몸담고 있는 대학에서 성폭력 사건이 발생해 피해자와 연대하는 성명서에 이름을 올린 시간강사 희정은 ‘반대’ 세력의 타깃이 되어 ‘다음 학기 피해야 할 명단’에 오르고 만다. 같은 성명서에 서명을 했어도 남성인 정규직 교수는 명단에서 제외된다. 자신의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들의 얼굴을 떠올리며 괴로워하던 희정은 문득 이십대 초반에 만났던 유리 언니를 떠올린다. 유리 언니는 여성운동 동아리 활동 중 교문에서 콘돔을 나누어주다가 신상정보가 인터넷에 공개되며 잠적한다(「다시 만난 세계」). 한편 「후원명세서」의 윤미는 어릴 적 우연히 저소득층 아동 후원 TV프로그램에 출연했던 경험으로 특별전형으로 사회복지학과에 가게 되고 이후 자연스럽게 아동후원 단체에 취업하게 된다. “분수를 알아야” 한다는 엄마의 말에 늘 자신이 원하는 것보다는 타인의 시선이 요구하는 것을 따랐던 윤미는, 후원자에게 자신이 가지고 싶던 한정판 운동화의 이름을 말한 후원아동의 사연을 듣고 자신이 흘려보냈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된다. 그런가 하면 「지진주의보」는 무심코 지나쳤던 흔들림과 지진 경보가 마트에서 판매직으로 근무하던 엄마의 죽음을 불러오는 데서 시작한다. 이렇듯 오선영의 소설들은 부산 특유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그려내면서도 우리 사회 곳곳에서 오래도록 해결되지 못했던 문제들을 하나하나 짚어낸다.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 언니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당연히 지켜져야 할 안전수칙이 지켜지지 않아 허망하게 잃은 존재들을 호명하며, 쉽게 훼손되고 조롱되는 가치들을 돌려놓으며 그것들의 자리를 지켜낸다. 그 이름과 자리는 멀지 않다. 오선영의 작품은 언젠가 잃어버렸던 각자의 이름 혹은 그리운 누군가의 빈자리를 불러내며 뭉근하게 오래도록 힘 있는 여운을 전한다. 부산 앞바다가 물씬 떠오르는 이 소설이 남기는 ‘짠맛’은 언제고 우리의 입안을 맴돌았던 삶의 비린맛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