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왕이 이르니

위래 · 판타지/SF/소설
38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0(11명)
0.5
3.5
5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11명)
코멘트
더보기

본격 장르소설의 우아함, <슬기로운 문명생활> 위래의 첫 소설집. 위래 작가는 독자가 장르 장 안에 한 발쯤은 들여놓았으리라 가정하고 간단히 세계를 설명하며 훌쩍 규칙을 넘는다. 작가가 익숙한 게임을 제시하는 것을 깨달았을 때 더 신이 나는 독자 부류가 있다. 이 ‘익숙한 게임’에서 독자가 기대하는 것은 하나다. ‘내가 아는 것을 보여주되, 내가 지금껏 보지 못한 이야기를 보여줄 것’. 문장 자체에 모순이 있듯이, 많은 이들이 시도하지만 쉽지 않은 길이다. 그리고 위래 작가는 이 기대를 만족스럽게 충족한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4.0(11명)
0.5
3.5
5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동전 마법 • 7 르네 브라운을 잊었는가 • 43 아래에서 • 75 성간 행성 • 111 쿠소게 마니아 • 145 미궁에는 괴물이 • 161 술래잡기 • 201 영웅은 죽지 않는다 • 229 우리 • 269 백관의 왕이 이르니 • 305 작품해설_365 작가의 말_373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미학적인 논리를 펼치는 경쾌하면서도 묵직한 환상 위래 작가의 이름을 언제부터 들었던가, 거의 내 데뷔연도만큼이나 오래된 듯하다. 한 번도 교류하거나 만난 적은 없건만, 그 이름은 내가 흘러다니는 인터넷 장 어딘가에서 내내 어른거렸다. 서평이나 비평, 리뷰와 댓글 사이에서. 그 이름을 처음 각인했을 때는 서울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한 주민 발의 운동 무렵이었다. 당시 내가 블로그에서 서명 이벤트를 했을 때, 위래는 가장 많은 서명을 받아온 사람이었다. 그는 그 후로도 계속 눈에 어른거렸고, “상업성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 순문학의 기준이라면 한국에서는 판타지 단편이야말로 진정한 순문학이다.” 같은 도발적인 선언을 하는 사람으로 기억에 남아 있었다. 소설을 쓰는 줄은 알았으나 출간 소식은 들리지 않아서, 괜히 저 사람 어떻게 먹고사나 걱정하기도 했다. 그러다 한 인디 출판사에서 출간한 용 앤솔러지에 수록된 〈백관의 왕이 이르니〉(《드래곤에게 가는 길》, 미씽아카이브)를 읽은 날, 나는 그간 이름만 알던 이 사람이 어느덧 큰 작가로 훌쩍 자라났음을 깨달았다. 이 중편은 최근 몇 년간 읽은 한국 장르 소설 중에서도, 가장 큰 만족감을 준 작품 중 하나다. 인터넷이 생겨난 이후 제도권 출판의 검열 없이 작가와 독자가 직접 소통하게 되면서 한국 장르 시장은 크게 꽃을 피웠지만, 인터넷이라는 무한한 지면이 대하 장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단편과 짧은 경장편 장르 소설은 지면이 없는 시절을 더 감내해야 했다. 내가 속한 곳이 SF 장이었기에 늘 SF 지면에만 몰두해 왔고, 어느덧 그럭저럭 좋은 시절이 찾아와 안심하던 차였는데, 〈백관의 왕이 이르니〉를 보자마자 그간 판타지 단편이 소외되고 있음을 깨닫고 혼자 애가 닳았다. 미국의 휴고상, 네뷸러상도 국내에서는 SF 상으로만 알려져 있으나, 명백히 판타지인 《해리포터》도 휴고상을 수상하듯이 SF와 판타지를 엄밀하게 나누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 한국에서는 새로 생겨난 공모전도 과학기술에 천착하는 편이고, 과학기술에 천착하지 않으면 현실에 천착하는 바람에, 정통 판타지 단편은 어째 설 자리가 없어 보인다. SF와 판타지의 경계가 SF와 일반소설의 경계보다도 좁건만! 마치 예전에, ‘SF는 장르에서 받아주겠지’, ‘단편은 일반소설의 영역이지’, 하며 양쪽에서 무관심한 바람에 ‘SF 단편’이 갈 곳이 없었던 것처럼……. 위래 작가의 말마따나, 현대 한국에서 판타지 단편을 쓰는 일이야말로 돈과 명예는커녕 출간조차 고려하지 않는, 가장 순수한 창작행위가 되고 만 듯하다. 위래 작가가 《슬기로운 문명생활》을 비롯한 웹소설을 활발하게 쓰고 있음은 알고 있었으나, 그래서 이 우아한 작품은 어디서 출간되어야 하나 괜히 혼자 걱정이었다. 이렇게 책이 나오고 또 내 언어로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 내가 처음 접했던 위래의 소설이 〈동전 마법〉이기도 해서 나는 이 소설집이 근래 보기 힘들었던, 검과 마법이 등장하는 정통 판타지 단편선이 되리라 지레짐작했었다. 하지만 소설집에는 특이점 이후를 다룬 하드한 SF까지 포함하여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추리소설을 본격과 사회파로 나누는 흐름이 있다고 안다. 본격 추리는 트릭과 추리 그 자체에 집중하며, 작가가 짜놓은 무대에서 독자에게 게임을 제안하고, 독자는 그 게임의 규칙에 맞추어 두뇌 싸움을 한다. 사회파는 추리 자체보다도 소설의 현실성과 현실과의 접목에 더 초점을 맞춘다. 물론 모든 소설을 그렇게 정확히 딱 나눌 수 없을 테니, 그저 느슨한 경향성에 대한 용어다. 언젠가 이수현 번역가께서 SF도 그렇게 본격과 사회파로 나눌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씀하신 이후로 저 분류가 인상에 남았다. 그분은 팬덤에서 흔히 말하는 ‘하드 SF’는 실상 진짜 ‘어려운 SF’가 아니라, ‘본격 SF’를 말하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하셨다. 물론 ‘본격’이라는 단어가 주는 인상과 달리, 소설의 방점이 어디에 있는가로 나누는 단순한 분류상의 용어라 하겠다. 위래 작가의 소설은 ‘본격’이라는 이름을 붙여도 좋을 계열에 있다. 작가가 소설 초반에 무대를 꾸미고, TRPG 마스터처럼 세계의 규칙을 선언한다. 그리고 제시된 규칙 하에서 3단, 다단 논법을 연쇄적으로 펼치듯이 소설을 전개한다. A가 가능하다고 전제했으면 B도 가능하며, A와 B가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이제껏 상상하지 못했던 C가 가능하며, A와 B와 C가 가능하다면 놀랍게도…… 하며 뛰어넘는다. 소설은 현실의 적합성이 아니라 논법의 적합성에 따라 펼쳐지며, 현실에서 있을 법하지 않은 일도 제시된 세계의 구조 안에서는 명확하고 분명하며 예측 가능하다. 독자는 체험이 아니라 작가의 규칙에 맞추어, 더해서 장르의 규범에 맞추어 전개를 기대한다. 소설의 미학은 물론 논리 그 자체에 있다. 이런 소설은 순수하게 장르적인 쾌감을 준다. 고백하자면 이것이 원래 내게 익숙한 장르 소설의 한 갈래다. 지금 현재의 한국 장르 단편 시장에서 흔치 않은 기법이기도 하다. 지금의 장르 단편 시장 흐름의 가치와는 별개로, 이렇게 꿋꿋이 자기 색을 지키는 작가를 발견하는 것도 또 내심 반가운 것이다. 독자는 작가가 초반에 제시하는 한두 문장, 단서로 빠르게 세상의 구조를 파악하게 된다. 장르에 익숙할수록 이 단서들은 손쉽게 파악된다. 위래 작가는 독자가 장르 장 안에 한 발쯤은 들여놓았으리라 가정하고 간단히 세계를 설명하며 훌쩍 규칙을 넘는다. 작가가 익숙한 게임을 제시하는 것을 깨달았을 때 더 신이 나는 독자 부류가 있다. 이 ‘익숙한 게임’에서 독자가 기대하는 것은 하나다. ‘내가 아는 것을 보여주되, 내가 지금껏 보지 못한 이야기를 보여줄 것’. 문장 자체에 모순이 있듯이, 많은 이들이 시도하지만 쉽지 않은 길이다. 그리고 위래 작가는 이 기대를 만족스럽게 충족한다. 〈동전 마법〉은 이런 작가의 기법을 보여주는 친절한 도입부다. ‘고작 동전을 뒤집는 마법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은 ‘동전을 뒤집을 수 있다면 또 무엇을 뒤집을 수 있는가?’ 하는 질문으로 변한다. 독자는 작가가 그 답을 훌쩍 도약하는 모습을 멍하니 지켜보다가 감탄과 웃음을 같이 터트리게 된다. 〈아래에서〉는 어느 평범한 아침, 학교에 가려고 아파트 엘리베이터를 타고 1층으로 내려가는 일상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멈추지 않고 더 하강한다. ‘왜 하강하는가’ 하는 질문은 ‘만약 엘리베이터가 하강한다면 어디까지 하강할 수 있겠는가?’로 변한다. 하강의 경로는 상식과 상상을 넘어서지만 주어진 규칙 안에서는 문제가 없다. 〈우리〉는 수업이 끝난 어느 평범한 날, 어째서인지 계속 친구들이 사라지는 교실에서 시작한다. ‘왜 사라지는가?’ 하는 질문은 ‘어떻게 하면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질문으로 변하고, 독자는 주인공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소멸을 피하기 위한 두뇌게임에 돌입한다. 〈성간여행〉은 ‘도시’의 시점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우아한 작품이다. 독자는 도시의 한정된 정보와 시야와 기계의 논리를 따라 차츰 세계의 구조를 파악하며 시야를 넓혀나간다. 그 세계는 익숙하나 익숙하지 않고, 낯설지만 낯설지 않은 영역에 있어 장르적인 쾌감을 준다. ‘익숙한 듯한데도 지금껏 보지 못한 전개’가 펼쳐지는 것은, 위래 작가의 소설이 주어진 논리 안에서 아름답게 비약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인물들의 선택이 늘 초인간적이리만큼 인간적이기도 해서다. 큰 고난을 인내심 있게 감내한 이들은 무심하리만치 고결한 선택을 한다. 작가가 그려내는 세상이 현실을 벗어나 명쾌하듯이, 인물들마저도 현실의 인간이 속물적인 기질 없이 명쾌하다. 이들은 마치 어느 이상적인 판타지 세계에서 다른 가치를 두고 살아온 사람들처럼 순수한 길을 선택한다. 〈쿠소게 마니아〉는 여객기가 학교에 충돌하는 대재난 직전 시간 회귀에 빠진 소년의 이야기다. 시간 회귀로 문제를 해결하는 소설은 장르 독자에게 익숙하건만, 주인공에게 주어진 시간은 하루나, 한 시간, 몇 분도 아니고 단 17초다. 17초. 이 경악스러운 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