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들어가는 글 공포 영화로 철학을 한다는 것은 1부 진정한 공포란 무엇인가? 1장 공포의 원형 1. 공포의 세 가지 요소 '어라 무서워 꺄' 체험의 변주 | 영화 속 '어라 무서워 꺄' 체험 2. 공포의 인지적 측면 공포는 지향성을 지닌다 | 우리는 '잘못된 공포'를 품을 수 있다 | 대상의 평가는 언제 이루어지는가 | 머리로 알아도 무서운 것은 무섭다 | 공포는 신체적 반응에서 시작된다 3. 공포의 신체적 측면 정서는 복잡하게 뒤섞여 있다 | 정서의 다양한 예 | 정서와 비슷한 단어들 | 공포와 놀람의 관계 | 공포의 현상학적 기술 | 왜 긴박한 상황에서 사랑에 빠질까? | 정서의 2요인 이론 | 느낌만으로는 정서를 특정할 수 없다 | 공포의 신체적 반응 4. 공포의 동기 부여적 측면 공포가 촉진하는 행동들 | 공포와 행동의 순환적 관계 | 왜 〈스크림〉의 범인은 '표정이 있는 가면'을 썼을까? | 슬픈 표정을 지으면 슬퍼질까? 2장 공포의 본질 1. 정서의 본질은 무엇일까? 정서란 신체적 반응의 '느낌'이다 - 제임스-랑게 이론 | 정서는 머릿속에서 발생한다 - 캐넌의 중추기원설 | 자극과 행동의 관계만을 다뤄야 한다 - 왓슨의 행동주의 심리학 | 마음을 행동으로 환원하자 - 라일의 철학적 행동주의 2. 정서를 무엇과 동일시해야 하는가? 다시 마음에 주목하다 | 정서란 심적 능력이 움직이는 방식이다 - 처리모드 이론 | 철학자는 '사고'를 좋아한다 - 순수인지 이론 3. 정서를 어떻게 모델화할 수 있을까 정서 하이브리드 이론 - 데카르트부터 2요인 이론까지 | 판단이 정서에 앞선다 - 인지적 평가 이론 | 차원적 평가 이론의 최후 | 래저러스의 실험 | '부분의 문제'의 올바른 해결법 4. 인지가 먼저인가 감정이 먼저인가 자이언스가 논쟁의 도화선이 되다 | 래저러스의 반격 | 프린츠의 심판 | 인지적 평가 이론은 틀렸다 3장 이것이 공포 모델이다! 1. 다마지오와 정서의 합리성 한때 '기계 속 유령' 이론이 우세했다 | 정서가 합리적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 정서가 저하되었을 때 일어나는 일 | 신체적 반응은 대상에 대한 평가 | 알면서도 불리한 선택을 하는 이유 | 이성과 정서는 상호 보충한다 | 합리적인 행동은 이성의 전매특허가 아니다 | 소마틱 마커의 경고를 무시하면 생기는 일 | 정서에도 적절함이 필요하다 | 공포의 부재를 그린 호러 2.표상이란 무엇인가 표상의 개념 | '나타내다'와 '본래 기능' | 본래 기능은 무엇으로 정해지는가? | 잘못된 공포도 설명할 수 있다 3.프린츠의 체현된 평가 이론 평가 이론과 신체 이론이 만나다 | 정서와 신체적 반응의 관계 | 정서는 중핵적 관계 주제를 표상한다 | '정서의 대상'이라는 표상은 양의적이다 | 정서란 무엇인가 | '체현된 평가 이론'이라는 이름에는 이유가 있다 2부 호러를 둘러싼 질문들 4장 호러의 정의 호러는 장르를 가리지 않는다 | 호러와 SF는 겹친다 | 호러의 괴물은 '정상적인 세계의 이상한 존재' | 호러 속 등장인물이 공포에 떠는 이유 | 거울 효과 | 괴물은 혐오의 대상 |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리플리컨트 | 호러의 세 가지 조건 | 호러가 일반화되었을 때 5장 왜 우리는 그토록 다채로운 대상을 무서워할까? 1. 정서는 태어날 때부터 있었을까? 논쟁은 표정에서 시작했다 | 표정에는 보편성이 있다? | 표정은 정서의 표출일까, 커뮤니케이션 수단일까 | 러셀의 지적 | 유사 문제로서 '태생이냐 교육이냐' 2. 공포의 대상은 이미 다양하다 지금 거기에 있는 다양한 위협 | '어라 무서워 꺄'와 '푸시미풀유 표상' 3. 죽음을 무서워하는 것은 사실 어렵다 죽음의 공포를 둘러싼 오해 | '죽음 그 자체'가 왜 나쁜가 | 무서워하는 것은 '상태'가 아니다 | 좀비가 된 학자는 왜 불행할까 | 박탈 논법의 주안점 | '죽음에 느끼는 공포'가 요구하는 표상 능력 4. 표상의 진화와 호러의 심화 푸시미풀유 동물이 하지 못하는 것 | 신념과 욕구의 독립 | 푸시미풀유 표상에서 준사실적 표상으로 | 괴물을 표상하는 능력의 근원 | 쥐는 어떻게 미래를 예지하는가 | 추론과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표상 능력 5. 추론하는 힘과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힘 목적 수단 추론의 네 가지 특징 | 연쇄살인마는 자기중심적 표상을 좋아한다 | 주관과 객관의 사이에서 피어난 죽음의 공포 | 밀실 공포 | 시뮬레이션 이론과 마음 이론 | 의도가 불분명한 놈이 더 무섭다 6. 자기 동일성 상실이라는 공포 자기 동일성 상실은 죽음과 같다 | 우리는 푸시미풀유 동물이다 6장 왜 우리는 허구인 줄 알면서 무서워할까? 1. 풀어야 할 패러독스 양립할 수 없는 세 가지 조건 | 일치 조건이란 | 정서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의 일치 2. 신념 조건을 버리면 어떻게 될까? - 착각설 모순은 사라졌지만 바보가 된다 | 관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