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란 무엇인가

하워드 리사티
511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 역자 서문 ● 서문_케네스 R. 트랩 ● 머리말 ● 서론 ● 1부 공예의 기능성과 용어 고찰 1장 목적, 사용, 기능 2장 실용적인 기능에 따른 공예의 분류법 3장 여러 가지 실용적 기능_도구와 공예품 4장 기계, 도구, 공예품의 비교 5장 공예의 목적과 생리적 필요 6장 자연과 공예품의 기원 ● 2부 공예와 순수미술 7장 순수미술은 무엇이고, 무엇을 하는가 8장 사회적 관습 대 물질적 필요 9장 순수미술, 공예 그리고 자연 10장 기술지식과 손기술 11장 손과 몸 그리고 공예 12장 손과 몸 그리고 순수미술 13장 물질성 대 시각성 14장 사물의 사물성 ● 3부 공예와 디자인의 쟁점 15장 재료와 손기술 16장 디자인, 기량, 장인정신 17장 공예와 디자인의 의미 19장 손, 기계, 그리고 재료 ● 4부 미적 사물과 미적 이미지 20장 공예와 미학 이론에 대한 역사적 관점 21장 기능/비기능의 이분법과 미학 22장 칸트의 순수미술의 목적 23장 순수공예, 순수미술, 순수디자인 24장 의도, 의미 그리고 미학 25장 미, 관조, 그리고 미학적 차원 26장 미학적 관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27장 비평적 공예품의 탄생 ● 결론 ● 미주 ● 참고문헌 ● 색인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오늘날 공예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재료나 기술 같은 실제적 문제에 치우쳐 있습니다. '공예란 무엇인가'라는 문장은 전통적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논의를 끌어낼 수 있는 근본적이고 개념적인 접근입니다. 공예가 무엇인지 충분히 검토함으로써 '기능을 가진 사물은 예술이 될 수 없다'는 편협한 개념을 부정하고,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초월하여 인간의 가치와 인간의 성취를 근본적으로 표현하는 공예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질문'은 한곳에 매몰되기 십상인 우리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이정표이자, 자신의 가치관과 생각을 정리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인간이 생존을 위해 발명했던 '공예'의 가치 기준이 '실용'에서 '미관'으로 기울고 있는 요즘, 에 대한 담론은 '공예'가 가진 진정한 의미와 공예품 안에 담긴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다시금 일깨울 것입니다. '공예란 무엇인가'에서 여러분이 찾고 있던 답을 발견하세요.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