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9년 금융위기 논쟁

윤소영님 외 3명 · 사회과학
176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5.0
평균 별점
(2명)
2008년 말에 출판된 윤소영의 <금융위기와 사회운동노조>와 2009년 말에 출판된 윤소영의 <2007-09년 금융위기>의 후속. 윤소영의 「2007-09년 금융위기: 마르크스주의적 분석과 대안」과, 윤종희 박상현의 「2007-09년 금융위기 논쟁 비판」이 실려 있다. 윤소영의 2007-09년 금융위기: 마르크스주의적 분석과 대안은 2009년 12월 20일에 광주에서 ‘2007-09년 금융위기와 한국 노동자운동’이라는 주제로 평등과연대를위한민중행동의 전욱 씨가 주선한 사회운동강좌를 녹취한 것이다. 먼저 2007-09년 금융위기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 강의를 하고, 토론 시간에 남한 노동자운동의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는 마르크스주의적 대안을 모색한다. 윤종희 박상현의 2007-09년 금융위기 논쟁 비판은 본래 경제와 사회 2010년 여름호에 기고한 것인데, 잡지지면의 제약으로 대폭 축소할 수밖에 없었던 원고를 복원한 것이다. 또 독자의 편의를 위해서 이태훈이현공민석이 작성한 문헌해제도 추가한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목차

서문 2007-09년 금융위기: 마르크스주의적 분석과 대안 금융위기의 원인 이윤율의 하락 경향 금융세계화와 이중적자 금융혁신과 신용의 증권화 금융위기의 전개과정과 정책대응 금융위기의 전개과정과 재무부와 연준의 정책기조 재무부의 구제금융 연준의 통화완화정책과 스트레스테스트 금융위기의 전망 더블딥 논쟁 재정위기에 대한 보론 2차 대불황에 대비한 ‘플랜 B’ 질의와 응답 사회운동노조의 이념조직정책 여성운동생태운동이주노동자운동 연구자와 활동가의 관계 2007-09년 금융위기 논쟁 비판 서론 금융위기의 원인 과소소비와 이윤율 하락 금융세계화와 달러본위제 금융혁신과 신용의 증권화 정책대응과 향후전망 좌파적 대안 케인즈주의 비교자본주의론 국유화론 기본소득론 정세적 대안 결론 문헌해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공산주의자들은 다른 노동자당에 대립하는 특수한 당이 결코 아니다. 그들은 실천적으로 모든 나라의 노동자당의 가장 단호하고 언제나 추동적인 일부다. 그들은 이론적으로 다른 노동자대중에 앞서 노동자운동의 조건, 경과, 보편적 결과에 대한 인식을 갖는다. ― 마르크스·엥겔스, 공산주의자 선언 2007-09년 금융위기 논쟁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2008년 말에 출판된 윤소영의 금융위기와 사회운동노조와 2009년 말에 출판된 윤소영의 2007-09년 금융위기에 후속하는 것이다. 윤소영의 2007-09년 금융위기: 마르크스주의적 분석과 대안은 2009년 12월 20일에 광주에서 ‘2007-09년 금융위기와 한국 노동자운동’이라는 주제로 평등과연대를위한민중행동의 전욱 씨가 주선한 사회운동강좌를 녹취한 것이다. 먼저 2007-09년 금융위기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 강의를 하고, 토론 시간에 남한 노동자운동의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는 마르크스주의적 대안을 모색한다. 2007-09년 금융위기(공감, 2009)를 개관하는 동시에 보충하는 강의는 세 단락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락에서는 이번 금융위기의 원인을 구조적인 것과 정세적인 것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이번 금융위기의 전개과정을 개관하면서 금융위기에 대한 부르주아적 정책대응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 세 번째 단락에서는 이번 금융위기의 전망에 대해 설명한다. 윤종희 박상현의 2007-09년 금융위기 논쟁 비판은 본래 경제와 사회 2010년 여름호에 기고한 것인데, 잡지지면의 제약으로 대폭 축소할 수밖에 없었던 원고를 복원한 것이다. 또 독자의 편의를 위해서 이태훈이현공민석이 작성한 문헌해제도 추가한다. 과천연구실 세미나’ 개관 I.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와 성적 차이의 페미니즘 윤소영, 마르크스주의의 전화와 ‘인권의 정치’: 알튀세르를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1, 문화과학사, 1995;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개정판), 과천연구실 세미나 15, 공감, 2005;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소련사회주의, 과천연구실 세미나 16, 공감, 2002;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평의회 마르크스주의, 과천연구실 세미나 18, 공감, 2003;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과 대안세계화 운동, 과천연구실 세미나 20, 공감, 2003. 윤소영,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 개론(개정판), 공감개론신서 1, 공감, 2008; 알튀세르를 위하여(개정판), 공감개론신서 6, 공감, 2010(예정); 마르크스의 ‘자본’, 공감개론신서 3, 공감, 2009;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이념과 운동(개정판), 공감개론신서 4, 공감, 2009(예정); 권현정,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현재성, 과천연구실 세미나 17, 공감, 2002; 권현정 외,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가족과 성욕을 둘러싼 쟁점들, 과천연구실 세미나 19, 공감, 2003. 에티엔 발리바르, 마르크스의 철학, 마르크스의 정치, 과천연구실 세미나 2, 문화과학사, 1995; 에티엔 발리바르피에르 마슈레, 스피노자의 철학, 스피노자의 정치 (윤소영, 알튀세르의 현재성: 마르크스, 프로이트, 스피노자, 과천연구실 세미나 5, 공감, 1996에 실림); 에티엔 발리바르 외, ‘인권의 정치’와 성적 차이, 과천연구실 세미나 21, 공감, 2003; 뤼스 이리가레 외, 성적 차이와 페미니즘, 과천연구실 세미나 8, 공감, 1997. II. 포스트구조주의 비판 윤소영,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의 철학에 관하여 (윤소영, 알튀세르를 위한 강의: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를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3, 공감, 1996에 실림); 알튀세르와 라캉: 마르크스주의 전화를 위한 쟁점들 (루이 알튀세르 외, 알튀세르와 라캉: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과천연구실 세미나 4, 공감, 1996에 실림); 뤼스 이리가레의 ‘성적 차이의 윤리’ (윤소영, 마르크스주의의 전화와 ‘인권의 정치’: 알튀세르를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1, 문화과학사, 1995에 실림); 데리다의 마르크스의 유령들에 관한 단상들 (윤소영, 알튀세르를 위한 강의: ‘마르크스주의의 일반화’를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3, 공감, 1996에 실림); 스피노자-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비판 (메이너드 솔로몬 외, 베토벤: ‘윤리적 미’ 또는 ‘승화된 에로스’, 공감, 1997에 실림). 윤소영, 알튀세르를 위하여(개정판), 공감개론신서 6, 공감, 2010;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 세미나, 공감개론신서 5, 공감, 2009. 에티엔 발리바르, 마르크스의 철학, 마르크스의 정치, 과천연구실 세미나 2, 문화과학사, 1995; 에티엔 발리바르피에르 마슈레, 스피노자의 철학, 스피노자의 정치 (윤소영, 알튀세르의 현재성: 마르크스, 프로이트, 스피노자, 과천연구실 세미나 5, 공감, 1996에 실림); 메이너드 솔로몬 외, 베토벤: ‘윤리적 미’ 또는 ‘승화된 에로스’, 공감, 1997; 루이 알튀세르 외, 알튀세르와 라캉: ‘프로이트-마?크스주의’를 넘어서, 과천연구실 세미나 4, 공감, 1996; 뤼스 이리가레 외, 성적 차이와 페미니즘, 과천연구실 세미나 8, 공감, 1997; 에티엔 발리바르 외, ‘인권의 정치’와 성적 차이, 과천연구실 세미나 21, 공감, 2003. III. 신자유주의 비판 윤소영, 쉬잔 드 브뤼노프의 신자유주의 비판 및 뤼스 이리가레의 ‘성적 차이의 윤리’ (윤소영, 마르크스주의의 전화와 ‘인권의 정치’: 알튀세르를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1, 문화과학사, 1995에 실림);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와 역사적 자본주의 분석, 과천연구실 세미나 6, 공감, 1998; 이윤율의 경제학: 헨릭 그로스만(1881-1950)을 위하여 (이윤율의 경제학과 신자유주의 비판, 과천연구실 세미나 13, 공감, 2001에 실림); 마르크스의 ‘경제학 비판’(개정판), 과천연구실 세미나 15, 공감, 2005. 윤소영, 브뤼노프의 신자유주의 비판 및 이리가레의 ‘성적 차이의 윤리’ (윤소영, 알튀세르를 위하여(개정판), 공감개론신서 6, 공감, 2010(예정)에 실림); 신자유주의적 ‘금융 세계화’와 ‘워싱턴 콘센서스’: 마르크스적 비판의 쟁점들, 과천연구실 세미나 11, 공감, 1999; 신자유주의 비판 (이윤율의 경제학과 신자유주의 비판, 과천연구실 세미나 13, 공감, 2001에 실림); 마르크스의 ‘자본’, 공감개론신서 3, 공감, 2009; 일반화된 마르크스주의 개론(개정판), 공감개론신서 1, 공감, 2008; 금융위기와 사회운동노조, 공감개론신서 2, 공감, 2008; 김석진 외, 자본주의의 위기와 역사적 마르크스주의, 과천연구실 세미나 14, 공감, 2001; 이미경, 신자유주의적 ‘반격’ 하에서 핵가족과 ‘가족의 위기’: 페미니즘적 비판의 쟁점들, 과천연구실 세미나 12, 공감, 1999. 장 로블랭 외,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비판을 위하여, 과천연구실 세미나 7, 공감, 1997; 조반니 아리기 외, 발전주의 비판에서 신자유주의 비판으로: 세계체계론의 시각, 과천연구실 세미나 9, 공감, 1998; 다이앤 엘슨 외, 발전주의 비판에서 신자유주의 비판으로: 페미니즘의 시각, 과천연구실 세미나 10, 공감, 1998.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