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스타트업 경영의 본질을 본격적으로 다룬 국내 최초 스타트업 경영 바이블 대한민국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의 개척자이며 대표적인 멘토로서 번개장터, 위트스튜디오, 데일리호텔, 텔레톡비, 온오프믹스, 스타일쉐어, 마이리얼트립 등 30여 개의 스타트업을 투자, 육성한 권도균 프라이머 대표가 스타트업 실전 노하우를 스타트에서부터 엑시트까지의 성공 전략 로드맵으로 담은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스타트업을 스타트하는 최고의 실전 전략>을 출간했다. 길지 않은 스타트업 역사에서 성공 사례나 창업 매뉴얼을 다룬 책들은 여럿 있었지만, 대기업 위주의 경영에서 벗어나 한국의 스타트업 현실에 맞는 경영 전략을 다룬 책은 부재했다. 이니텍과 이니시스를 보안?전자 지불 분야 국내 1위 기업으로 성장시키면서 4000억 원이라는 창업 신화를 쓴 권도균 대표는 <권도균의 스타트업 경영 수업>의 출간을 통해 ‘한국적 현실’ 속에서 성공하는 ‘대기업과 차별화된 스타트업만의 경영 전략’을 소개한다. 이 책은 10년간 창업 현장에서 발로 뛴 경험과 이후 5년간 30여 개의 스타트업을 인큐베이팅하여 깨달은 지혜, 3천 명 이상의 창업자와 예비창업자들과 함께 공부하며 정리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쓰인 대한민국 스타트업의 경영 바이블이다. “스타트업에게 필요한 것은 돈과 아이디어가 아니다!”라며 그는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사업의 본질에 다가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에서 글로벌 스타트업이 나오지 않는 이유 정부 통계를 보면, 벤처기업 수는 올해 초를 기준으로 3만 개를 초과했다. 1998년 2,042개에서 2006년 1만 2,218개, 2010년 2만 4,645개에 이르더니 올해 초에는 3만 21개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창업 동아리 수도 2012년 1,222개에서 2013년 1,833개에 이르렀고, 2014년에는 2,949개로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하는 등 대학가의 창업 열기도 활발하다. 하지만 이러한 창업 활성화 현상 속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손에 꼽을 정도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청년들이 창업을 진로 선택의 중요한 대안으로 고민하는 단계까지 이르기에는 청년 등의 기업가 정신이 미흡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국에서 글로벌 스타트업이 나오지 않는 이유를 저자는 ‘경영’에서 찾는다. 창업자가 아이디어와 자본, 그리고 열정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는 있겠지만 성장 과정에서 레벨 업을 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걸맞는 경영자의 마인드와 경영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영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초기의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성공한 대기업의 경영 전략을 가져다 쓸 수도 없다. 글로벌한 외국 기업의 사례도 끌어다 쓸 수 없다. 바로 한국적 스타트업 환경 때문이다. 정부의 지원도 미비하고, 재벌과 대기업과의 상생도 힘든 척박한 상황을 이겨내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창업자에게 기업가 정신이 절실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더불어 이 책은 실패하지 않는 창업으로 가는 법, 성과를 만드는 법, 스타트업의 강력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법, 차별화된 스타트업 마케팅 전략뿐만 아니라 협력자(직원)을 구하는 법,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 생존이 최우선 과제인 스타트업 위기관리 등을 소개한다. 끝으로 저자는 사장의 윤리는 회사를 비추는 거울이라며, 사업의 본질에 다가설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왜냐하면 그곳에 성공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 인터뷰 | 프라이머 대표 권도균 저자 출간 기념 인터뷰 (2015년 7월 8일) 먼저 프라이머를 소개해달라. 활발하게 활동하는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회사는 4~5개 정도 된다. 프라이머를 2010년 1월에 설립하고 인큐베이팅을 시작했는데,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투자한 회사의 숫자, 후속 투자의 비율, 엑시트한 규모를 보면 프라이머가 선두에서 활동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어떻게 쓰게 되었나? 처음 프라이머라는 스타트업 인큐베이터를 만들어서 스타트업을 돕기로 했을 때, 나는 이미 창업한 경험도 있고, 큰 회사를 경영한 경험도 있었기 때문에 쉽게 도와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스타트업을 만났을 때 그들의 질문과 나의 대답이 서로 엇박자가 나는 것을 느꼈다. 알고 봤더니 내가 대답하고 가르쳐준 것들은 스타트업에 적합하지 않은 것들이었다. 스타트업할 때의 경험과 지식은 잊어버리고, 큰 회사가 된 상태에서 경험한 것들을 들려주고 있었던 것이다. 이 책에 들어간 많은 내용들은 스타트업들이 나한테 가르쳐주고 또 물어봐줘서 반대로 내가 배우고 깨닫게 된 새로운 지식들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을 더 많은 (예비)창업자들과 공유하고 싶었다. 인큐베이팅 사업의 본질은 스타트업의 옥석을 가리는 것이라 생각한다. 권 대표만의 기준은 무엇인가? 사람을 우선 본다. 외모를 보는 것이 아니고, 그 사람이 왜 그 사업을 하기로 했는지, 사업을 하기 전에 어떤 일을 해 왔는지, 사업에 대해 어떤 태도와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 그 사람이 사업에 적합한 특성과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본다. 그 다음에 보는 것은 비즈니스 모델이다. 아무리 좋은 사업이더라도 비즈니스 모델이 현실 세계의 필요, 니즈를 반영하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가 중요하다. 한국의 기업가 정신에는 신화가 있는 것 같다. 뛰어난 개인이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중간에 회사를 매각하지 않고 끝까지 일궈내고 경영하는 것에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신화적인 창업자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창업해서 큰 회사를 만들고 오랫동안 힘을 잃지 않고 창업자 스스로가 성장하면서 회사를 키워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많은 경우, 창업자들은 어떤 단계를 넘어가면 자신의 능력이 미치지 못함을 알게 된다. 회사가 더 성장해야 할 때 창업자가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경우에 따른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중간에 엑시트를 하든, 계속해서 경영을 하든 자신의 역할을 잘하는 창업자라면 양자 모두 좋은 경영자다. 현재 분위기를 볼 때 스타트업은 활성화되고 있는 것 같다. 업체 수도 늘었고, 투자 금액도 늘고 있다. 클라우드 펀딩에 대한 법안도 마련되었다. 이런 현상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기업에서 일하거나 대학에서 공부하다가 스타트업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늘었고 투자자도 많이 생겼고 정부 지원도 늘고 있다. 환경으로 보면 모바일, 소셜 등 기술의 변화로 보는 스타트업 창업의 기회가 더 많아졌다고 본다. 거시적으로 보면, 지속 가능한 경제는 숲과 같다고 생각한다. 큰 나무가 자라고 이파리를 떨어뜨리고 노쇠해서 죽으면 그 양분을 가지고 작은 나무들이 자라나는 선순환 고리가 있어야 하듯이 경제도 그렇다. 한두 개의 대기업만이 나라의 경제를 끌고가는 모델은 위험하다. 경쟁력 있는 작은 기업들이 다양하게 숲을 이뤄야만 건강하고 지속적인 경제가 된다. 따라서 스타트업들이 활발히 혁신을 일으키며 한국 경제를 끌고나가는 일들이 더 많이 생겨야 한다. 청년 실업의 대안으로 스타트업를 바라보는 프레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스타트업 활성화를 실업률 해소나 개선과 연계해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그런 논란과 상관없이 미래에는 정기적으로 출근해서 봉급을 받는 자리가 계속 줄어들 것이라는 게 시대적 흐름이다. 취직이 아닌 창직의 시대가 오는 것이다. 그런 시대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자기 스스로 자기만의 일을 창조해 나가는 창업의 경험이 젊었을 때 꼭 필요하다.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꼭 당부하고 싶은 것은? 현실적으로 정말 당부하고 싶은 것은, 창업할 때 빚은 절대로 지지 않는다는 각오로 시작하라는 것이다. 창업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