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글을 쓰거나 대화를 하기 전에 제1장 상대방에게 '전한다'는 것 '자신밖에 모르는 병' '얼치기 독심술사 증후군'에 걸려 있지 않은가?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하는 메시지란? 확인 1 : 과제(테마)를 확인한다 확인 2 : 상대방에게 기대하는 반응을 확인한다 무엇을 말해야 '답변'이 되는가 왜 상대방에게 자신의 '답변'이 통하지 않는 것인가 '결론'이 전달되지 않을 때의 두 가지 함정 '근거'가 전달되지 않을 때의 세 가지 함정 '방법'이 전달되지 않을 때의 두 가지 함정 - 감도 체크 제2장 설득력 없는 '답변'의 공통된 결함 이야기의 명백한 중복.누락.착오 이야기의 중복은 '내 머릿속은 혼란 상태'라는 신호 이야기의 누락은 '한 점 돌파, 전면 붕괴'로 이어진다 이야기의 착오가 본래의 목적과 테마로부터의 탈선을 초래한다 이야기의 비약 제2부 논리적으로 사고를 정리하는 기술 제3장 중복.누락.착오를 막는다 MECE - 이야기의 중복.누락.착오를 없애는 기술 MECE란? 많은 MECE 포켓을 만들자 알아두면 편리한 MECE의 프레임워크(frame work) 그룹핑 - MECE를 활용한 정보의 정리 그룹핑이란 누락.중복.착오가 없는 부분 집합을 만드는 것 - 집중 트레이닝 1 1. MECE에 강해지자 2. 그룹핑에 강해지자 4장 이야기의 비약을 없앤다 So What? / Why So? - 이야기의 비약을 막는 기술 So What? / Why So? 하는 습관을 기른다 두 종류의 So What? / Why So? '관찰'의 So What? / Why So? '통찰'의 So What? / Why So? 통찰의 So What?은 관찰의 So What? 없이는 안 된다 - 집중 트레이닝 2 1. '관찰'의 So What? / Why So?에 강해지자 2. 잘못된 '관찰'의 So What? / Why So?에 주의하자 3. '통찰'의 So What? / Why So?에 강해지자 제3부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기술 제5장 So What? / Why So?와 MECE로 '논리'를 만든다 논리란? 세로의 법칙 So What? / Why So? 가로의 법칙 MECE 논리의 기본 구조 논리는 간결할수록 좋다 세로 방향에 어디까지 계층화할 것인가? 가로 방향으로는 몇 가지로 어떻게 분해할 것인가? 6장 논리 패턴을 마스터한다 병렬형 병렬형 구조 사용상의 유의점 적용 케이스 해설형 해설형 구조 사용상의 유의점 적용 사례 - 집중 트레이닝 3 1. 논리 패턴의 기본을 마스터하자 2. 비논리적인 점을 간파하는 힘을 기르자 7장 논리 패턴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자 논리 패턴은 이렇게 이용하라 한 가지 과제에 답변할 때 두 가지 과제에 동시에 답변할 때 논리 FAQ - 집중 트레이닝 4 1. 정보를 논리 패턴으로 알기 쉽게 구성하자 2. 도표를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하자 3. 상대를 납득시키는 논리 구성의 능력을 기르자 - 글을 마치며 -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