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판 서문
개정판 서문
프롤로그 ― 나와 노동자 연구
1. 10년 전의 나
제헌절 아침녘에 그를 생각해내다|아버지의 추억|'오! 한강'과 13년
2. 연구자, 타자(他者)로서 살아가기
김소진과 에드워드 톰슨|'간장선생'|지식과 현실의 거리|좌파와 타자|입장과 담론
3. 민중, 민족 그리고 오늘의 민중
광주의 역사 해석, 드라마 '낮에도 별은 뜬다'|삼일절과 민(民), 그리고 민중
식민지는 오래 지속된다|'민중'이란 단어|전쟁과 반공국민
4. 밑바닥에서 세상 읽기
삼류인생|드라마 읽기: 노희경과 김운경
5. '여공'으로 가는 길
초기 프로포잘|구성신화를 되묻다|<전태일 평전>의 재해석: 지식인이 본 전태일
'중성적' 노동사?: 민주노조 담론 비판|여성전사: 전사.투사론
6. 푸코를 만나다: 계보학을 통한 여성 담론 분석
푸코읽기(1): 계보학|푸코읽기(2): 계보학
7. 왜 '여공'인가?: 여공담론의 대상과 사료
1장 식모는 위험했나? ― 산업화 시기 주변부 여성노동을 둘러싼 담론들
식모: 잊혀진 여성 노동자들|식모: 그들은 누구였는가?|'무작정 상경'과 농촌 출신 누이들
"무서운 서울역전"|식모와 '요보호 여성'|식모의 하루, '가정'의 이질적 존재|'부녀'라는 이름
'요보호 여성', 잠재적 윤락 여성|'식모는 위험하다': 주변부 여성 노동에 대한 담론들
중산층 가족 형태와 '식모폐지론'|'근대적 노동윤리'와 근검절약하는 여성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근대적 모성|'식모 폐지론'을 둘러싼 담론
식모 관련 사회문제 사건 목록, 1960~1979
박정희 정권 노동윤리 관련 문헌들
2장 여공 되기 ― 희생양 담론과 공장 동경
희생양 담론|여공의 이농과 가족|농촌 탈출과 가족의 생계: 여공의 담론들
익명적 지식: 공장 동경|다락방 담론과 공장 동경|'인간시장'과 다락방 담론
"평화시장 아가씨들은 3년만 고생하면 고물이 된다"|여공들의 '공장 동경'|
2장 공장을 들여다보니 ― 여성들은 어떻게 공장에 들어갔나?
여공의 공장 동경|한국 여성 노동력의 창출 구조: 개괄적 개요|사회통계를 통해 본 '여공'의 삶
일상에서 여공의 경험과 삶: 주거 공간|판자촌의 벌집의 위생담론|여공들의 주거 공간 구조
여공들의 식사|여공의 이농과 가족|세 여공의 이야기: 여공들의 생애사|여공과 공장 동경
작업장 내부 여성의 신체 배치|시다, '이름없는' 소녀들|'오야 맘대로', 평화시장 봉제공장
사람 잡는 기계들, 섬유업종|도급제와 공임제|소녀들의 손을 잡어먹은 '캔디'
미숙련공의 생활: 요꼬쟁이 모가지는 아흔아홉 개|실 잇기 시험 희생양|담론과 여공
3장 힘세고 건강한 소녀들 ― '여성노동'과 성별분업
여공의 저임금, 생계보조적 임금|잔업 논쟁: 여공 보호론과 잔업 불가피론
'열등함'의 상징, 여성 노동|작업장 폭력과 남성적 심리구조|성적 통제, 순결을 통한 여공의 관리의인화된 권위, 완장 찬 반장 언니|작업장 질서와의 공모, '제도화된 경쟁'
산업화 시기 전통의 '재발명'|가족 공동체: 가족 같은 회사
비정한 아버지, 고용주: "당신에게 나, 은혜 입은 거 없어!"|'새마음운동'과 박근혜
'모범 노동자들'의 이야기|민족공동체 담론: '수출은 성전(聖戰)이다'
여공의 다른 이름, 산업전사|'여성노동' 범주와 성별 노동분업
남성 생계부양형 가족과 가족임금
'대중경제론'과 노동문제 인식
산업화 시기 여성 노동운동에 대한 지배적 해석
산업화 시기의 시다
1970년대 마산수출공업단지와 여성노동자
종법사상(宗法思想)과 가부장제도
홉스바움과 '전통의 발명'
전전 일본과 산업화 시기 한국의 국가주의 담론
조국 근대화를 위한 일상적 의례와 상징들
4장 계집들이 노조를 만든다고! ― 여성들의 노조 만들기
민주노조 담론의 형성과 모순|생산적 남성지배 노조 담론|'여성' 민주노조에 대한 지배적 담론들
"내일 잘 산다고 오늘 굶을 수는 없지 않소?": 초기 노동자들의 노조관
'어용노조' 대 '민주노조'|남성지배 노조|잃어버린 '이름' 찾기|'여성' 노조 만들기
여성노조와 리더십|여성 민주노조의 네트워크: 대의원 제도|민주노조 10년과 소모임, 원풍모방
여공과 '정치적인 것'
박정희 시기 노동조합의 유형
여성의 공적 참여에 대한 유교 담론
유교 담론에서 음양설
5장 여공들은 '투사'였나? ― '민주화 담론'의 구성신화 비판
청계피복노조, 지식인의 정치적 실험장|학생운동 식의 활동방식|학생운동식 활동방식
동일방직, 1970년대 민주노조의 신화|문명순, 숨겨진 '어용'의 이름
조작된 신화: 외부화 투쟁을 둘러싼 담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