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카프카의 작품 중 카프카의 문학 세계를 잘 보여 줄 수 있는 다섯 단편을 골라 실었다.
첫 작품 <선고(Das Urteil)>는 카프카의 문학 역정에서 첫 ‘돌파구’에 해당하는 소설로 호평받았을 뿐 아니라 이후 카프카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요소들이 들어 있어 가장 많이 읽히면서 아울러 가장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는 소설이다. 둘째 작품 <변신(Die Verwandlung)>은 카프카가 시민사회와 글쓰기 사이에서 갈등하며 실존적인 위기를 겪었던 1912년 11월에 쓰인 소설로 카프카의 대표적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셋째 작품 <시골 의사(Ein Landarzt)>와 넷째 작품 <학술원에 보내는 보고서(Ein Bericht f?r eine Akademie)>는 1917년에 쓰인 것으로 모두 중기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작품 <단식 광대(Ein Hungerk?nstler)>는 1922년, 그러니까 말기에 쓰인 소설이다.
시민적인 삶에 안주하지 못하고 이 세상에서 불편을 느낀 카프카가 남긴 작품들은 독자들을 사로잡으면서도 쉽게 접근을 허용하지 않아 흔히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1945년 이후에 나온 엄청난 분량의 연구서들과 저작들 그리고 다양한 방향에서 이루어진 해석 시도들이 이를 말해 준다. 이러한 난해함은 어쩌면 지극히 평범하고 구체적인 묘사에도 불구하고 서술된 내용이 일반적으로 일상적이고 경험적인 현실에서 벗어나는 것 같은 인상, 다시 말해 서술의 냉철함과 서술된 내용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카프카의 작품들은 따라서 개방적이면서 동시에 폐쇄적이다. 여기에는 20세기의 환상성이라고 불릴 수 있는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어, 독자들로 하여금 마치 꿈의 세계를 헤매는 것 같은 착각을 갖게 하는 것도 한몫을 한다. 이에 따라 그의 작품에 대해 작품 내재적인 해석 외에도 정신분석학적, 철학적(실존주의적), 사회학적, 전기적, 종교적 해석 등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어 왔다. 또 유대주의가 끼친 영향도 카프카의 작품 이해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어쩌면 카뮈나 아도르노가 지적했듯이 한편으로 해석을 촉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해석을 거부하는 매력이 바로 카프카 작품의 위대함일 수 있다.
작품에 나타난 세계가 독자의 눈에는 비현실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카프카로서는 자신이 보는 ‘현실’을 기록한 것이다. ‘비현실’로 보이는 세계는 실은 카프카가 독자들에게 ‘진짜 현실’을 볼 수 있게 제시한 환상의 세계인 것이다. 예를 들어 <변신>에서 거대한 갑충으로 변한 주인공의 운명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 내의 가정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극단적 소외를 즉물적으로 보여 준 카프카의 문학적 착상이다.
카프카가 이러한 ‘현실’의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것은 그가 구스타프 야누흐와 나눈 대화에서도 나타난다. 프라하에서 개최된 피카소 전시회를 관람하고 돌아오는 길에서 야누흐가 카프카에게 “피카소는 방자한 데포르마시옹(변형, 왜곡)의 화가”라고 말하자, 이에 대해 카프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피카소)는 우리들의 의식 속에 들어와 있지 않은, 아직은 형체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을 묘사하고 있다. 예술은 하나의 거울이다. 예술은 때로는 시계와도 같이 ‘앞서 가는’ 것이다.” 피카소의 그림 속에 나타난 기형화 내지 데포르마시옹은 카프카의 비현실적인 묘사와 동일한 맥락에서 읽힐 수 있으며, 이러한 언급은 카프카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다. 피카소는 기형화된, 추악한 그림 속에 진실을 담고 있으며, 카프카는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세계를 통해 진짜 현실을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의 예술은 대상물(경험적 현실)의 단순한 모방에서 벗어나 주관적인 현실을 재현하고자 하는 서구 모더니즘 예술 추세에도 부응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