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청소가 끝난 자리에서 01. 청소 끝에 공간을 알다 : 청소와 문화 바닥, 그리고 걸레 물은 가장 오래된 약 과자 부스러기가 더러운가, 엎질러진 우유가 더러운가 태양의 살균력 마녀의 빗자루 청소의 기준 02. 청소 끝에 내려놓다 : 청소와 무(無) 비어 있었음을 인식하다 이미 채운 것을 돌아보는 힘 비움으로써 다시 채우는 힘 ‘없음’이 있다 가치를 키우다 생각하기 나름이라는 식상한 말 03. 청소 끝에 자아를 찾다 : 청소와 존재 내가 나를 나로 생각하면 내가 된다 누가 천지를 창조하는가 오점이냐 무늬이냐 알 수 없어 흥미로운 삶 자취를 치우는 이유 ‘나’라는 기막힌 존재 04. 청소 끝에 아물다 : 청소와 상처 끝이 있는 이야기 상처를 위한 시간 기억은 다르게 적힌다 더러워야 깨끗해진다 왜 버리지 못하나 걱정을 저장하는 인간 05. 청소 끝에 사회를 읽다 : 청소와 노동 계획을 위한 계획 '열심히' 하는 것 중에 예외적으로 폄하되는 일 혼자서, 다수를 위하다 공간을 지배하는 자 청소를 돈으로 환산해보기 익숙해서 몰랐던 고마움 06. 청소 끝에 자유롭다 : 청소와 유목 새것 같은 집 터전으로서의 집 담장 안의 청소와 담 너머의 청소 ‘카페’라는 자연 언제까지 행복을 미룰 것인가 누가 행복에 점수를 매기나 07. 청소 끝에 엄마를 보다 : 청소와 어머니 익숙해진다고 안 아픈 것은 아니지만 일상의 초능력 반짝거리는 순간 엄마니까, 엄마라서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08. 청소 끝에 인생을 만나다 : 청소와 나 사소한 것들의 사소함 자꾸 일이 꼬이면 당장 청소부터 방 정리, 생각 정리 ‘그때’의 내가 아니다 잊히는 것들 낡은 것이 좋다 Epilogue 걸레를 짜며, 다시 시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