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인간에 대한 ‘확신’이 무너질 때 9 강의 1 AI와 인간 간에 대화는 가능할까? 13 ?로봇은 대화가 가능한가? 15 ?AI는 어떻게 번역하는가? 17 ?학습이란 ‘나누는’ 것 24 ?튜링테스트와 ‘중국어 방’ 25 ?지쳐본 적이 없는 사람은 ‘지쳤다’는 말을 이해 못할까? 28 ?AI는 ‘고양이’를 이해할 수 있을까? 31 ?어린 아이는 보이는 것만 알 수 있다? 34 ?말을 사용하는 것은 ‘정보를 털어내는’ 것이다. 35 강의 2 뇌와 AI, 차이는 무엇인가? 37 ?뇌의 기능과 AI 학습법의 유사성 38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42 ?틀렸으면 거슬러 올라간다, 오차 역전파법의 얼개 45 ?일본인이 L와 R의 발음이 서툰 이유 49 ?과잉학습: AI가 대응할 수 없을 때 52 ?뇌의 수수께끼와 AI의 진화 55 ?세계나 뇌는 계층구조로 되어있다 57 ?AI는 ‘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 60 ?연애는 사람의 ‘목적함수’를 규정한다 64 ?진화와 학습의 차이 65 ?인간은 본능이 있고 학습도 하는 동물 68 강의 3 AI는 예술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 71 ?AI는 어떻게 그림을 그릴까? 72 ?AI가 가장 잘하는 예술은 회화? 74 ?‘배우는 것’과 ‘모방하는 것’ 79 ?AI시대의 저작권 81 ?원숭이와 셰익스피어 82 ?장기, 코미디, TV는 AI로 바뀔 수 있다? 84 ?인간이 획득해온 것들이 갖는 의미 87 ?‘목적함수’를 가질 수 있다면 예술은 만들어진다? 88 강의 4 AI로봇은 왜 만들기 어려운가? 91 ?폭탄을 치우고, 짐만 가져오세요 92 ?‘세계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어떻게 해결하나? 96 ?로봇과 형용사, 로봇과 부사 99 ?로봇이 모방학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01 ?인간의 뇌도 데이터가 없으면 학습할 수 없다 103 ?운동신경이 좋은 사람이 머리 속에서 하는 것 105 ?인간의 의식이란 ‘이사회’다 108 ?인간의 지능은 ‘이층구조’로 되어 있다 111 ?‘생각하는’ 것은 ‘느끼는’ 것에 의지한다 116 강의 5 AI의 화상인식기술로 삶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119 ?클라우드 컴퓨팅과 엣지컴퓨팅 120 ?이미지 센서는 인간의 ‘눈’ 역할 123 ?인간의 활동을 데이터화하다 124 ?오감 중에서 AI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 127 ?AI가 개척하는 식품 산업의 미래 129 ?AI는 오리지널 레시피를 만들수 있을까? 132 ?화상인식의 다음은? 135 강의 6 AI와 인간은 융합할 것인가? 139 ?기능 확장: 100 % 기계 인간?! 140 ?새다움, 인간다움 142 ?기술적 특이점을 다시 한번 생각한다 146 ?인간이 ‘인간다움’으로부터 해방될 때 150 ?전체가 지식을 공유하고, 전체가 학습하는 미래 151 역자해설 인공지능과 인간: 딥 러닝의 역사와 주요개념, 그리고 쟁점 155 ?인공신경망과 심층학습의 잉태기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