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만약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써 내려간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하겠습니까?” 전 세계 4500만 부 베스트셀러 『소피의 세계』 작가 신작 영혼과 외로움, 언어에 대한 아름답고 쓸쓸한 이야기 ■ 이 책은 방대한 서양 철학을 독특한 소설 구조 속에 녹여낸 『소피의 세계』(1991)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오른 요슈타인 가아더의 신작 장편소설 『꼭두각시 조종사』(2016)가 노르웨이 문학 전문 번역가인 손화수의 번역으로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그동안 많은 작품에서 철학, 역사, 종교, 진화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를 소설로 풀어낸 저자는 이번 작품에서 노년의 언어학자를 주인공으로 삼아 오늘날 유럽 거의 대부분 언어의 뿌리인 ‘인도유럽어족’을 탐구하며 그의 인생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정교한 내러티브와 메타픽션 구조로 짜인 가아더의 소설은 등장인물들이 어떤 사건과 맞닥뜨리면서 자아와 세계에 대해 성찰해나가는데, 이를 통해 대중 독자들에게 이야기의 재미를 만끽하면서 사유의 폭을 넓히는 독서 기회를 마련해준다고 평가받는다. 이번 텍스트 곳곳에서 주인공의 목소리로 들려주는 언어 간의 유기적인 관계성은 나아가, 인생의 황혼기에 들어서서도 끊임없이 소속감을 찾고 있는 고독한 그의 삶과 비교되면서, 외로움이란 무엇인지, 무엇이 현재의 우리를 형성하였는지 등 인생에서 숙고해볼 존재론적인 질문들로 이어진다. ■ 줄거리 및 도서 상세 소개 60대의 언어학자, 야코브 야콥센은 신문의 부고면에 나온 장례식을 어김없이 찾아간다. 고인과의 추억을 풀어내는 야코브의 유려한 말솜씨에 주위 사람들은 귀를 기울이지만, 장례식이 끝나면 그는 또다시 홀로 남는다. 가족도, 친척도 없는 외로운 삶에서 그와 함께해주는 이는 오랜 벗 펠레뿐이다. 그러나 직설적인 펠레 때문에 야코브는 종종 곤란에 처하기도 한다. 어느 날, 야코브는 옛 스승의 장례식에 참석한다. 그런데 그가 스승과의 일화들을 들려주자, 유족들은 왠지 의심의 눈빛을 보내고, 야코브는 어색하게 그 자리를 떠난다. 그날 이후, 다른 장례식장들에서 스승의 유족과 계속 마주치게 되는 야코브는 곧 자신의 비밀이 탄로 날지도 모른다고, 즉 자신은 고인들과 아무런 친분도 없는 사이이며, 낯선 이들의 장례식을 찾아다니는 한낱 외톨이일 뿐임을 들킬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성찰하는 인생과 이야기 프롤로그와 등장인물의 이름인 아홉 개의 장으로 구성된 소설은 발트해의 한 섬에서 주인공 야코브가 앙네스라는 여인에게 편지를 쓰는 장면으로 문을 연다. 야코브의 어떤 행동에 얽힌 이유를 알고 싶다는 앙네스의 요청에 답하고자 편지를 쓰겠다고 밝히는 그는, 그로부터 10여 년 전 스승 에리크 룬딘의 장례식 일화를 시작으로 자신의 과거와 현재 이야기를 교차해 풀어나간다. 그리고 소설이 전개되면서 서서히 밝혀지듯이, 앙네스가 궁금해한 야코브의 기이한 행동은 바로 그가 낯선 이들의 장례식을 습관처럼 찾아다닌다는 것이었다. 일생 외롭게 살아온 야코브가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은 이야기를 지어내는 것이다. 늘 대가족의 삶을 갈망한 그는 자신이 지어낸 이야기를 통해 고인에 대한 애도를 전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무리에 섞이고자 한다. 이와 같이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채 이야기와 유구한 언어의 역사 속에서 소속감을 찾는 언어학자의 진실과 허구가 뒤섞인 삶의 고백은, 수천 년에 걸친 언어의 세계와 맞물리면서 한 존재의 광활한 뿌리의 지도를 펼쳐 보인다. 독특한 스토리텔링으로 빚어낸 텍스트 속 질문들 한편, 소설은 모르는 타인들의 장례식을 찾아다닌다는 주인공의 비밀이란 큰 줄기에서 그와 주변 인물들 간에 숨겨진 연결고리 및 또 다른 진실을 조금씩 드러내며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초반부에 스치듯 언급된 주인공의 과거 히피족 생활, 장례식에서 이따금씩 마주치는 남자, 그리고 유일한 벗 펠레에 얽힌 이야기들이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를 때, 소설은 반전의 묘미와 함께 다층적인 텍스트를 읽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나아가 소설 전체는 교묘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독자들을 사유의 세계로 이끄는데, 각각의 삶의 이야기가 담긴 장마다 새로운 철학적 주제를 녹여내며 그 깊이를 더한다. 천문학자의 장례식에서는 ‘우리 존재가 우주에서 얼마나 신비로운지’를, 성직자의 장례식에서는 ‘무엇으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정의할 수 있는가’ 등을 스스로 질문케 하는 소설은, 어느덧 하나하나의 인생과 이야기에서 ‘우리’라는 거대한 담론으로 전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