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들어가며 프롤로그 Q 왜 ‘세대’와 ‘불평등’을 연결시키는가? Q 불평등의 세대, 무엇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1장 386세대의 부상―권력의 세대교체 Q 왜 ‘386세대’를 이야기하는가? Q 386세대는 어떻게 권력을 형성했는가? Q 386세대의 약속은 지켜지고 있는가? Q 386세대의 리더들은 어떻게 권력을 분배하고 있는가? 2장 세대와 불평등―‘네트워크 위계’의 탄생 Q 386세대는 어떻게 ‘새로운 불평등 구조’를 탄생시켰는가? Q 386세대는 어떻게 시장을 장악했는가? Q 386세대는 얼마나 오래, 얼마나 많은 부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 Q 386세대와 다른 세대와의 소득 격차는 얼마나 큰가? 3장 산업화 세대의 형성―불평등의 탄생 Q 산업화 세대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Q 산업화 세대는 어떻게 불평등 구조를 싹 틔웠는가? 4장 세대 간 자산 이전과 세대 내 불평등의 확대―자산 불평등 Q 한국 사회에서 ‘세대 간 자산의 불균등한 형성’은 어떤 불평등 구조를 만들었는가? Q 386세대의 자산과 소득 구조는 산업화 세대와 어떻게 다른가? 5장 한국형 위계 구조의 희생자들―청년, 여성 Q 한국형 위계 구조의 희생자는 누구인가? Q 위계 구조의 희생자들 1―청년 Q 위계 구조의 희생자들 혹은 경쟁자들 2―여성 Q 나가며―청년과 여성의 미래 6장 세대와 위계의 결합―네트워크 위계 Q 세대 내 불평등이 세대 간 불평등보다 크다? Q 위계와 세대는 어떻게 서로를 재생산하는가? Q 위계 구조에서 앎이란 무엇인가? Q 위계 구조는 왜 필요한가? Q 위계 구조의 위기는 어디서 비롯되는가? 7장 에필로그―세대 간 형평성의 정치 Q 세대 간, 세대 내 불평등과 그 불평등의 재생산 구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