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컴퓨터 내부의 언어 체계 ▶ 컴퓨터는 어떤 말을 사용할까 ◀ 언어란 무엇인가 문자 언어 비트 논리 연산 ___불리언 대수 ___드모르간의 법칙 정수를 비트로 표현하는 방법 ___양의 정수 표현 ___2진수 덧셈 ___음수 표현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 ___고정소수점 표현법 ___부동소수점 표현법 ___IEEE 부동소수점 수 표준 2진 코드화한 10진수 시스템 2진수를 다루는 쉬운 방법 ___8진 표현법 ___16진 표현법 ___프로그래밍 언어의 진법 표기법 비트 그룹의 이름 텍스트 표현 ___아스키 코드 ___다른 표준의 진화 ___유니코드 변환 형식 8비트 문자를 사용한 수 표현 ___출력 가능하게 변경한 인코딩 ___베이스64 인코딩 ___URL 인코딩 색을 표현하는 방법 ___투명도 추가 ___색 인코딩 정리 2장. 전자 회로의 조합 논리 ▶ 컴퓨터는 어떤 논리로 비트를 다루는가 ◀ 디지털 컴퓨터의 사례 ___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___하드웨어에서 크기가 중요한 이유 ___디지털을 사용하면 더 안정적인 장치를 만들 수 있다 ___아날로그 세계에서 디지털 만들기 ___10진 숫자 대신 비트를 사용하는 이유 간단한 전기 이론 가이드 ___전기는 수도 배관과 유사하다 ___전기 스위치 비트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___릴레이 ___진공관 ___트랜지스터 ___집적 회로 논리 게이트 ___이력 현상을 활용한 잡음 내성 향상 ___차동 신호 ___전파 지연 ___출력 유형 게이트를 조합한 복잡한 회로 ___가산기 ___디코더 ___디멀티플렉서 ___셀렉터 정리 3장. 메모리와 디스크의 핵심: 순차 논리 ▶ 컴퓨터는 비트를 어떻게 기억하는가 ◀ 시간 표현과 상태 기억 ___발진자 ___클록 ___래치 ___게이트가 있는 래치 ___플립플롭 ___카운터 ___레지스터 메모리 조직과 주소 지정 ___임의 접근 메모리 ___읽기 전용 메모리 블록 장치 플래시 메모리와 SSD 오류 감지와 정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교 정리 4장. 컴퓨터 내부 구조 ▶ 컴퓨터 하드웨어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메모리 입력과 출력 중앙 처리 장치 ___산술 논리 장치 ___시프트 ___실행 장치 명령어 집합 ___명령어 ___주소 지정 모드 ___조건 코드 명령어 ___분기 명령어 ___최종 명령어 집합 구성 마지막 설계 ___명령어 레지스터 ___데이터 경로와 제어 신호 ___데이터 흐름 제어 RISC와 CISC 명령어 집합 GPU 정리 5장. 컴퓨터 아키텍처와 운영체제 ▶ 컴퓨터는 어떻게 프로그램과 메모리를 조직적으로 관리할까 ◀ 기본적인 구조 요소들 ___프로세서 코어 ___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컴퓨터 프로시저, 서브루틴, 함수 스택 인터럽트 상대 주소 지정 메모리 관리 장치 가상 메모리 시스템 공간과 사용자 공간 메모리 계층과 성능 코프로세서 메모리상의 데이터 배치 프로그램 실행 메모리 전력 소비 정리 6장. 입출력과 네트워킹 ▶ 컴퓨터는 외부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 저수준 I/O ___I/O 포트 ___버튼을 눌러라 ___빛이 있으라 ___빛, 동작, 그리고 상호 연동 ___밝기 조절 ___그레이의 2n가지 그림자 ___쿼드러처 ___병렬 통신 ___직렬 통신 ___파동에 올라타라 ___범용 직렬 버스 네트워킹 ___최근의 LAN들 ___인터넷 아날로그 처리 방법 ___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 ___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 ___디지털 오디오 ___디지털 이미지 ___비디오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___터미널 ___그래픽 터미널 ___벡터 그래픽 ___래스터 그래픽 ___키보드와 마우스 정리 7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