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누구와 함께 시설사회에 맞설 것인가 _나영정 1부 가족 1 강제된 장소, 강제된 관계를 질문하는 탈시설 운동 _김순남 2 해외입양과 미혼모, 그리고 한국의 정상가족 _김호수 3 탈가정 청소년의 주거, 보호가 아닌 권리로 _변미혜 4 한부모, 장소가 만들어 내는 차이: 탈시설에서 답을 찾다 _오진방 5 친밀한 통제, 시설화의 또 다른 얼굴 _강진경 2부 도시 6 도시의 감금회로망적 상상: 유동하는 수용시설의 경계와 그 사이의 몸들을 언어화하기 위하여 _김현철 7 노숙인의 도시에 대한 권리 _김윤영 8 ‘지역사회’라는 유일한 선택을 위해: 대구시립희망원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과 함께 살기 _전근배 3부 보호소 9 한국사회와 난민, 그리고 탈시설 _고은지 10 난민은 어떻게 시설에 갇히는가: 외국인보호소와 동향조사 _김연주 11 요양병원이 종착지가 된 에이즈 환자들 _권미란 12 정신장애인의 안전할 권리 찾기: 치안이 아닌 ‘치료’, 관리가 아닌 ‘권리’ _노다혜 4부 담론과 제도 13 탈시설 운동은 ‘없애는 것’ 넘어 ‘만드는 것’ _김지혜 14 ‘좋은 왕’과 ‘나쁜 왕’이 사라진 자리: 불온한 타자의 삶을 가능케 할 반폭력, 탈시설의 윤리 _김은정 15 탈시설과 중증장애인 노동권: ‘현저히 낮은 근로 능력’이라는 기준은 누가 정하는가 _정다운 16 장애인의 권리를 빼앗는 소비자주의와 바우처제도 _조현수 5부 저항의 현장 17 쉼터는 어떻게 시설화를 넘어설 수 있을까 _여름 18 탈시설 운동으로 나아가는 엑시트와 자립팸: 청소년과 ‘동료-하기’를 수행하는 현장에서 _한낱 19 시설화된 관계를 넘어 동료시민으로 살아가기: 발달장애인과 조력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_진은선 20 장애인 탈시설 운동에서 이뤄질 ‘불구의 정치’ 간 연대를 기대하며 _조미경